목차
1. 서론
2. 종의 개념
2. 1 종 분화
2. 2 종의 분포
2. 3 멸종
3.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3. 1 자원으로서의 유전자
4. 종의 개체 수, 추정치, 그리고 멸종 추세
4. 1 멸종 추세
4. 2 멸종과 인류 환경
4. 3 열대밀림의 훼손
5. 지리적 생물다양성
6. 토지이용, 서식지 파괴, 그리고 생물다양성
6. 1 토지이용과 서식지 파괴
6. 2 희망적인 종
7. 멸종위기에 처한 종, 위협을 받고 있는 종, 그리고 보호되고 있는 종
7. 1 가장 위협받기 쉬운 생물종
8.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한 방안들
9. 요약
2. 종의 개념
2. 1 종 분화
2. 2 종의 분포
2. 3 멸종
3.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3. 1 자원으로서의 유전자
4. 종의 개체 수, 추정치, 그리고 멸종 추세
4. 1 멸종 추세
4. 2 멸종과 인류 환경
4. 3 열대밀림의 훼손
5. 지리적 생물다양성
6. 토지이용, 서식지 파괴, 그리고 생물다양성
6. 1 토지이용과 서식지 파괴
6. 2 희망적인 종
7. 멸종위기에 처한 종, 위협을 받고 있는 종, 그리고 보호되고 있는 종
7. 1 가장 위협받기 쉬운 생물종
8.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한 방안들
9. 요약
본문내용
야 한다.
이와 반대로 개별 생물체의 보호는 몇 가지 폭 넓은 수준에서의 생태학적 혜택을 준다. 겨별 생물종을 보호함으로써 이 생물종이 속한 생태계 역시 보호될 것이며 생물체와 서식지간의 거대한 네트워크 역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생물종 보호의 최악의 방법이 동물원같은 시설의 건립이다.
※국내서식 멸종위기 동식물 43종
1)멸종위기 동물
포유류 :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등 10종
조류 : 노랑부리백로,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혹고니, 흰꼬리수리,참수리, 검독수리, 매, 두루미,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크낙새 등 13종
양서.파충류 : 구렁이 1종
어류 : 감돌고기, 흰수마자, 미호종개, 꼬치동자개, 퉁사리 등 5종
곤충류 : 장수하늘소, 두점박이사슴벌레, 수염풍뎅이, 상제나비, 산굴뚝나비 등5종
무척추동물 : 나팔고둥, 귀이빨대칭이, 두드럭조개 등 3종
2)멸종위기 식물
: 한란, 나도풍란, 광릉요강꽃, 매화마름, 섬개야광나무, 돌매화나무등 6종이다.
3)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된 것
: 포유류(7종), 조류(46종), 양서·파충류(4종), 어류(7종), 곤충(14종), 무척추동물(21종), 식물(52종) 등 모두 151종
7. 1 가장 위협받기 쉬운 생물종
몇몇 종들은 다른 종에 비해 멸종 위험을 많이 받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위험한 종은 열대우림의 미세지역 종들이다.
이들은 미세한 서식지 요건을 가지고 있고 이들의 서식지 환경내에서의 약간의 불균형만 있어도 위협을 받게 되다.
ex)자이언트 팬터- 먹이를 대나무에만 의존, 대나무의 멸종은 팬더의 멸종과 연결된다. 현재 중국에 불과 1000여 마리의 팬더만이 야생에 생존한다.
8.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한 방안들
보전생물학적 방법과 경관생태학적 방안들
8. 1 손상된 환경의 복구
9. 요약
※인류의 총괄적 전략
생물다양성 보전은 지구 생태계의 기능을 지속시키고 인간의 존속을 위한 유일한 전략이다.
우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과제는 지구 환경을 어떻게 복구 보전하고, 경제 발전을 지속할 수 있어서 급증하는 인구를 충분히 부양할 수 있느냐 라는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세계의 인류 가족은 경제적으로 윤택한 산업 발전국과 후진적인 산업 개발 도상국으로 분단되어 가고 있으며 산업 발전 국은 나날이 부유해 가는 반면에 산업 개발 도상국들은 더 뒤떨어져서 세계의 경제 불균형은 악화되고 있다. 이 분기점에서 우리 인류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첫 발걸음을 장엄하게 내딛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1992년 6월의 리우정상회의로서 이는 전세계 지도자와 과학자들이 함께 모여 최초로 인구, 환경과 개발을 총괄적으로 다루면서 지속성 있는 인간 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채택된 리우환경선언은 인류의 생존과 존속을 위한 전략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중 특히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을 지구의 생명 부양계의 기반으로 간주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며 생물다양성 보전의 지침을 마련한 것으로 따라서 모든 지구상의 환경 파괴와 생물 다양성 파괴는 인간의 생명 활동에서 야기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우리 인류가 인위 멸종의 원인을 통제 관리하고 생물 종의 전멸을 중지하며 지구 생태계를 재활 보전하여야 함을 다짐하는 것으로 우리 후손이 영구히 윤택하고 평안하게 깨끗한 환경에서 살 수 있게 하는 길이라 볼 수있다.
생물 종의 다양성은 어느 지역에 많은 종의 생명체가 살고 있다면 그곳은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곳을 가르키는 것이다. 생물은 먹이 사슬에 의해 그 생존을 유지하기에 먹이사슬이 잘 작동한다는 것은 다양한 생명체가 살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과거 어느때 보다도 오늘날 생물종의 멸종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 같다. 인류는 의식주, 특히 음식물과 의약품 등을 다양한 생물로부터 얻어왔는데 생물 종의 중요성은 이것이 바로 환경이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지구상의 생물은 140만종 이상인데 이중 우리가 주식으로 삼고 있는 것은 10종 정도라고 한다. 앞으로 종 다양성만 잘 유지가 된다면 식량문제를 해결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다.
그러나 요즘에 들어서 심각해진 생물 종 다양성의 파괴는 경제적 가치나 심미적 즐거움, 생태계의 서비스를 앗아가고 결국 전체 생물계의 일원인 인류 자신도 그 희생자가 될 것이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우리 나라의 전략은 생물자원을 각국의 주권으로 인정하는 세계적 추세 속에 국내 생물 종의 효율적 관리와 이용을 위한 국가정책을 수립하고 99년 발효될 생물다양성협약 의정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개발논리에 밀려 뒷전으로 물러나 있던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관심이 국가 차원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최근 50년 동안 매우 빠르게 종다양성이 파괴되고 있고 이것이 세계적인 위기를 가져다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생물학자들은 종다양성의 손실을 현시대의 가장 심각한 문제이며, 우리의 미래와 가장 많은 관계가 있는 것 중 하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1992년 지구 정상회담에서 생물학적 종다양성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최근 국민들이 의식이 높아져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다양성의 범위와 본질이 일반적으로 정확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이런 종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가장 절실하게 노력해야 할 것은 국제적으로 종다양성 협정이라고 할 수 있고, 각 국민들의 의식에 관련한 노력 또한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Reference
뉴욕타임즈 뉴스신디게이트. 지오팩츠 174. 해냄. 2000
리처드 프리맥, 보전생물학 21-34. 사이언스북스. 2000.
에드워드 윌슨. 생명의 다양성. 까치. 1992
유진 오덤. 생태학 80-84. 사이언스북스 2000.
이인규 외.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민음사. 1994.
R. T. T. Forman. 토지모자이크 56- 59.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0
UNEP. 녹색공동체를 위한 실천 171-180. 나남출판. 1997.
Wenche E. Dramstad. 경관생태학 25-31. 태림문화사. 2000
이와 반대로 개별 생물체의 보호는 몇 가지 폭 넓은 수준에서의 생태학적 혜택을 준다. 겨별 생물종을 보호함으로써 이 생물종이 속한 생태계 역시 보호될 것이며 생물체와 서식지간의 거대한 네트워크 역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생물종 보호의 최악의 방법이 동물원같은 시설의 건립이다.
※국내서식 멸종위기 동식물 43종
1)멸종위기 동물
포유류 :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수달,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등 10종
조류 : 노랑부리백로,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혹고니, 흰꼬리수리,참수리, 검독수리, 매, 두루미,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크낙새 등 13종
양서.파충류 : 구렁이 1종
어류 : 감돌고기, 흰수마자, 미호종개, 꼬치동자개, 퉁사리 등 5종
곤충류 : 장수하늘소, 두점박이사슴벌레, 수염풍뎅이, 상제나비, 산굴뚝나비 등5종
무척추동물 : 나팔고둥, 귀이빨대칭이, 두드럭조개 등 3종
2)멸종위기 식물
: 한란, 나도풍란, 광릉요강꽃, 매화마름, 섬개야광나무, 돌매화나무등 6종이다.
3)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된 것
: 포유류(7종), 조류(46종), 양서·파충류(4종), 어류(7종), 곤충(14종), 무척추동물(21종), 식물(52종) 등 모두 151종
7. 1 가장 위협받기 쉬운 생물종
몇몇 종들은 다른 종에 비해 멸종 위험을 많이 받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위험한 종은 열대우림의 미세지역 종들이다.
이들은 미세한 서식지 요건을 가지고 있고 이들의 서식지 환경내에서의 약간의 불균형만 있어도 위협을 받게 되다.
ex)자이언트 팬터- 먹이를 대나무에만 의존, 대나무의 멸종은 팬더의 멸종과 연결된다. 현재 중국에 불과 1000여 마리의 팬더만이 야생에 생존한다.
8.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기 위한 방안들
보전생물학적 방법과 경관생태학적 방안들
8. 1 손상된 환경의 복구
9. 요약
※인류의 총괄적 전략
생물다양성 보전은 지구 생태계의 기능을 지속시키고 인간의 존속을 위한 유일한 전략이다.
우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과제는 지구 환경을 어떻게 복구 보전하고, 경제 발전을 지속할 수 있어서 급증하는 인구를 충분히 부양할 수 있느냐 라는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세계의 인류 가족은 경제적으로 윤택한 산업 발전국과 후진적인 산업 개발 도상국으로 분단되어 가고 있으며 산업 발전 국은 나날이 부유해 가는 반면에 산업 개발 도상국들은 더 뒤떨어져서 세계의 경제 불균형은 악화되고 있다. 이 분기점에서 우리 인류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첫 발걸음을 장엄하게 내딛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1992년 6월의 리우정상회의로서 이는 전세계 지도자와 과학자들이 함께 모여 최초로 인구, 환경과 개발을 총괄적으로 다루면서 지속성 있는 인간 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채택된 리우환경선언은 인류의 생존과 존속을 위한 전략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이중 특히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을 지구의 생명 부양계의 기반으로 간주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며 생물다양성 보전의 지침을 마련한 것으로 따라서 모든 지구상의 환경 파괴와 생물 다양성 파괴는 인간의 생명 활동에서 야기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우리 인류가 인위 멸종의 원인을 통제 관리하고 생물 종의 전멸을 중지하며 지구 생태계를 재활 보전하여야 함을 다짐하는 것으로 우리 후손이 영구히 윤택하고 평안하게 깨끗한 환경에서 살 수 있게 하는 길이라 볼 수있다.
생물 종의 다양성은 어느 지역에 많은 종의 생명체가 살고 있다면 그곳은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곳을 가르키는 것이다. 생물은 먹이 사슬에 의해 그 생존을 유지하기에 먹이사슬이 잘 작동한다는 것은 다양한 생명체가 살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과거 어느때 보다도 오늘날 생물종의 멸종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 같다. 인류는 의식주, 특히 음식물과 의약품 등을 다양한 생물로부터 얻어왔는데 생물 종의 중요성은 이것이 바로 환경이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지구상의 생물은 140만종 이상인데 이중 우리가 주식으로 삼고 있는 것은 10종 정도라고 한다. 앞으로 종 다양성만 잘 유지가 된다면 식량문제를 해결하기가 더 쉬워질 것이다.
그러나 요즘에 들어서 심각해진 생물 종 다양성의 파괴는 경제적 가치나 심미적 즐거움, 생태계의 서비스를 앗아가고 결국 전체 생물계의 일원인 인류 자신도 그 희생자가 될 것이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우리 나라의 전략은 생물자원을 각국의 주권으로 인정하는 세계적 추세 속에 국내 생물 종의 효율적 관리와 이용을 위한 국가정책을 수립하고 99년 발효될 생물다양성협약 의정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개발논리에 밀려 뒷전으로 물러나 있던 생물다양성 보전에 관한 관심이 국가 차원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최근 50년 동안 매우 빠르게 종다양성이 파괴되고 있고 이것이 세계적인 위기를 가져다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생물학자들은 종다양성의 손실을 현시대의 가장 심각한 문제이며, 우리의 미래와 가장 많은 관계가 있는 것 중 하나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1992년 지구 정상회담에서 생물학적 종다양성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최근 국민들이 의식이 높아져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다양성의 범위와 본질이 일반적으로 정확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이런 종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가장 절실하게 노력해야 할 것은 국제적으로 종다양성 협정이라고 할 수 있고, 각 국민들의 의식에 관련한 노력 또한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Reference
뉴욕타임즈 뉴스신디게이트. 지오팩츠 174. 해냄. 2000
리처드 프리맥, 보전생물학 21-34. 사이언스북스. 2000.
에드워드 윌슨. 생명의 다양성. 까치. 1992
유진 오덤. 생태학 80-84. 사이언스북스 2000.
이인규 외.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민음사. 1994.
R. T. T. Forman. 토지모자이크 56- 59.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0
UNEP. 녹색공동체를 위한 실천 171-180. 나남출판. 1997.
Wenche E. Dramstad. 경관생태학 25-31. 태림문화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