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의 생태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비무장지대의 생태계

2. 비무장지대 자연 보호를 위한 정부의 노력

3. 비무장지대 자연 보호의 중요성 (나의 생각)

본문내용

, 멸종위기 동·식물 서식지, 우수 습지 등은 현행 법령상 보호지역으로 지정 보호할 예정이다.
다섯째, 이외에도 국립생물자원관이 내년에 건립될 예정으로 비무장지대 자생생물의 표본전시와 DB화를 추진하여 생물유전자원관리에 활용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국제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유네스코(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추진한다. 현재 우리나라(남한)에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제주도와 설악산 두 곳으로 이를 확대하여 비무장지대까지 포함하여 지정되는 경우 국제사회의 많은 호응과 지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직까지 비무장지대를 매개로 한 남북협력에 진전이 없어 보다 큰 틀에서 상호 협력이 전제가 되어 추진할 필요가 있다.
3. 비무장지대 자연 보호의 중요성 (나의 생각)
비무장지대는 분단이라는 한반도의 특수한 현실 때문에 생겨나게 된 자연의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민족의 분단을 대표하는 이 지역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잘 보전된 자연 환경이 생겨나리라고 누가 생각했겠는가. 이 지역을 한반도의 자연, 평화, 사랑의 상징으로 삼아 앞으로 더욱 잘 보전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나의 의견이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북한과의 협상이 있어야 할 것이고, 우리 민족은 자연이라는 이름하에 한 목소리를 내어 한반도를 보호 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파괴되어진 수많은 환경 속에서 우리의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게 물려 줄 수 있는 곳이 남아있다는 것이 무척 기쁘고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이 평화의 땅을 더 잘 보호해야만 할 것이다.
DMZ에서 만난 평화
제출자 :
담당 교수님 :
제출일 :

키워드

비부장지대 ,   생태계,   환경,   자연,   38선,   DMZ,   분단선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1.0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