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테니스의 개요
Ⅰ. 테니스의 기원
1. 테니스의 역사
2. 우리나라 테니스의 발자취
3. 세계 테니스 대회
Ⅱ.경기장 및 용구
1. 코오트(court)
2. 보올(ball)의 규격
3. 라켓(racket)
4. 거트(gut)
제 2장 테니스의 기초기술
Ⅰ. 그립(grip)
Ⅱ.발리(volley)
Ⅲ. 스매쉬(smash)
Ⅳ. 서어브(serve)
Ⅴ. 리시브(receive)
제 4장 경기 방법
● 경기의 구성과 게임의 종류
Ⅰ. 테니스의 기원
1. 테니스의 역사
2. 우리나라 테니스의 발자취
3. 세계 테니스 대회
Ⅱ.경기장 및 용구
1. 코오트(court)
2. 보올(ball)의 규격
3. 라켓(racket)
4. 거트(gut)
제 2장 테니스의 기초기술
Ⅰ. 그립(grip)
Ⅱ.발리(volley)
Ⅲ. 스매쉬(smash)
Ⅳ. 서어브(serve)
Ⅴ. 리시브(receive)
제 4장 경기 방법
● 경기의 구성과 게임의 종류
본문내용
두껍게 치므로 가장 스피드가 나고 공격적이며, 페이스가 빠르다. 그러나 스핀이 적으므로 컨트롤하기 힘들다.
(3) 드라이브 발리
이것은 발리를 드라이브하는 것이며, 평행의 스윙이므로 볼은 떨어지지 않으며, 누르기 어려우므로 아웃되기가 쉽다. 컨트롤이 어렵고 플레이 하기가 힘들다.
(4) 드롭 발리
스톱 발리(stop volley)라고도 한다. 드롭 발리는 상대방 볼의 힘을 잘 죽여서 네트 앞에 살짝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네트 바로 밑에 떨어뜨리지 않으면 효과가 없을뿐더러 역습당하기 쉽다.
(5)로브 발리
로브 발리라 함은 발리의 로브를 말함이다. 로브 발리는 볼의 밑부분을 쓰다듬는 듯이 쳐서 로브를 한다. 이 때의 볼은 거의가 역 스핀이다.
Ⅲ. 스매쉬(smash)
스매쉬(smash)란 상대방이 높게 보낸 보올을 미리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내려치는 타구로서 가장 위력있는 공격 기술이다. 스매쉬는 일종의 힘의 기술이고,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강력한 결정적인 샷(shot)이어서 그 때문에 육체적인 단련이 필요하다. 그것은 특히 도약의 샷(shot)에 관해서이다. 이러한 샷을 위해 특별한 도약력을 발달시켜 오른쪽 다리를 강하게 해 발의 탄력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Ⅳ. 서어브(serve)
테니스에서의 시작이란 바로 서브인 것이다. 또한 서브는 테니스의 경기 중에서 유일하게 자기 의도에 의한 공격 수단이다. 현대의 서브의 테크닉에는 두가지 면에서 과거와 크게 달라지고 있다.
그 첫째는 힘의 균등화이다 즉 과거에는 1st 서브에는 강력한 플랫(flat) 서브를 넣고, 2nd 서브는 약한 스핀 서브를 넣지만, 현대의 선수들은 1st나 2nd 서브를 막론하고 거의 똑같은 힘으로 서브를 넣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서브 모션(serve motion)의 동일화이다. 즉 플랫 서브의 모션과 스핀이나 슬라이스 서브시의 모션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Ⅴ. 리시브(receive)
리시브라 하면 서브의 반구, 즉 받아 넘기는 것을 말한다. 일명 서비스 리턴이라고도 한다.
리시브는 수비가 되지만 정확한 리시브는 살인적인 강서브도 깨뜨릴 수 있으며, 중대한 시합에 이기려면 적어도 한두 번은 서브를 리시브로 깨뜨려야 한다.
제 4장 경기 방법
● 경기의 구성과 게임의 종류
1. 경기의 구성
테니스 경기는 포인트(point), 게임(game), 세트(set), 매취(match)의 4단계로 구성된다. 즉 4점(point)을 선취하면 1게임을 얻는다. 그러나 3:3의 포인트가 되면 듀스(deuce)라 하여 계속 2점을 얻을 때까지 제한없이 계속하게 된다. 세트(set)란 어느 한 선수가 6게임을 먼저 얻으면 1세트를 이기게 되며 게임 스코어가 5:5일 때는 게임 듀스(game deuce)라 하여 2게임의 차이가 날 때까지 계속하게 되며 이것을 롱 게임(long game)이라 한다. 그러나 롱 게임 일 때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요즈음은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tie break system)이라는 시합 방법을 실시하고 있다.
매취(match)란 승패를 설정짓는 세트 수를 말하며 남자의 경우는 보통 5세트 매취로서 3세트를 선취하면 승리하게 되며 여자와 혼합복식 경기시는 3세트 매취로서 2세트를 선취하면 된다.
2.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tie break system)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이란 서든 데쓰 시스템(sudden death system)이라고도 하며 롱게임에 의한 무한정 시간 소모를 제한하기 위하여 1970년 국제 테니스 연맹의 결의에 의한 채점방식으로 그동안 공식화되지 않고 시험적으로 써 오다가, 1975년부터 공식화된 방식이다. 이것은 두사람의 게임 스코어가 6:6이거나 8:8일 때 마지막 한 게임으로 승패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9포인트 타이 브레이크와 12포인트 타이 브레이크가 병용되어 오다 12포인트 타이 브레이크만 사용하기로 되었다. 즉 12개의 포인트 가운데 누가 먼저 7포인트를 얻느냐로 승패를 결정되며 여기에서도 포인트 스코어가 6:6일때는 듀스로서 2포인트의 차이가 날 때까지 계속하게 된다. 서브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A가 먼저 서브라면)
제1서브 A(右) 제2서브 B(左)
제3서브 B(右) 제4서브 A(左)
제5서브 A(右) 제6서브 B(左)
제7서브 B(右) 제8서브 A(左)
제9서브 A(右) 제10서브 B(左)
제11서브 B(右) 제12서브 A(左)
※ 사이드 교체(두 사람의 스코어의 합이 6 또는 6의 배수일 때)
이 동안에 어느 한 선수(팀)가 먼저 7점을 얻으면 이기게 되나 6:6일때는 다시 사이드를 교체한 후 2점을 연속해서 얻을 때까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한다. 이때 포인트의 콜(call)은 원(one), 투(two), 쓰리(three) 식으로 콜하며 복식도 단식과 똑같다.
3. 게임의 종류
(1) 단식(singles game):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상대로 해서 단식 코오트(singles court)에서 하는 시합을 말한다.
(2) 복식(doubles game): 두 사람이 한조가 되어서 다른한조를 상대로 복식코트에서 하는
시합을 말한다
(3)혼합복식(mixed doubles):남녀가 한 조가 되어 다른 남녀한조를 상대로 복식코오트에서 하는 시합을 말한다.
4.스코어 부르는법
테니스의 스코어 코올하는 방법은 다른 경기와 달라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 같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다른 경기와 틀리는 것은 포인트 스코어 의 코올뿐으로 0을 러브(love), 1을 피프틴(fifteen), 2를 서어티(thirty), 3을 포오티(forty)라 부르는 것뿐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같다.
홍길동(serve) 황준(receive) 콜의 방법
0 : 0 love all
0 : 1 love fifteen
1 : 1 fifteen all
2 : 1 thirty fifteen
3 : 1 forty fifteen
3 : 2 forty thiry
3 : 3 deuce
4 : 3 advantage 홍길동 또는 advantage serve
4 : 4 deuce
4 : 5 advantage 황준 또는 advntage receive
4 : 6 game
(3) 드라이브 발리
이것은 발리를 드라이브하는 것이며, 평행의 스윙이므로 볼은 떨어지지 않으며, 누르기 어려우므로 아웃되기가 쉽다. 컨트롤이 어렵고 플레이 하기가 힘들다.
(4) 드롭 발리
스톱 발리(stop volley)라고도 한다. 드롭 발리는 상대방 볼의 힘을 잘 죽여서 네트 앞에 살짝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네트 바로 밑에 떨어뜨리지 않으면 효과가 없을뿐더러 역습당하기 쉽다.
(5)로브 발리
로브 발리라 함은 발리의 로브를 말함이다. 로브 발리는 볼의 밑부분을 쓰다듬는 듯이 쳐서 로브를 한다. 이 때의 볼은 거의가 역 스핀이다.
Ⅲ. 스매쉬(smash)
스매쉬(smash)란 상대방이 높게 보낸 보올을 미리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내려치는 타구로서 가장 위력있는 공격 기술이다. 스매쉬는 일종의 힘의 기술이고,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강력한 결정적인 샷(shot)이어서 그 때문에 육체적인 단련이 필요하다. 그것은 특히 도약의 샷(shot)에 관해서이다. 이러한 샷을 위해 특별한 도약력을 발달시켜 오른쪽 다리를 강하게 해 발의 탄력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Ⅳ. 서어브(serve)
테니스에서의 시작이란 바로 서브인 것이다. 또한 서브는 테니스의 경기 중에서 유일하게 자기 의도에 의한 공격 수단이다. 현대의 서브의 테크닉에는 두가지 면에서 과거와 크게 달라지고 있다.
그 첫째는 힘의 균등화이다 즉 과거에는 1st 서브에는 강력한 플랫(flat) 서브를 넣고, 2nd 서브는 약한 스핀 서브를 넣지만, 현대의 선수들은 1st나 2nd 서브를 막론하고 거의 똑같은 힘으로 서브를 넣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서브 모션(serve motion)의 동일화이다. 즉 플랫 서브의 모션과 스핀이나 슬라이스 서브시의 모션에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Ⅴ. 리시브(receive)
리시브라 하면 서브의 반구, 즉 받아 넘기는 것을 말한다. 일명 서비스 리턴이라고도 한다.
리시브는 수비가 되지만 정확한 리시브는 살인적인 강서브도 깨뜨릴 수 있으며, 중대한 시합에 이기려면 적어도 한두 번은 서브를 리시브로 깨뜨려야 한다.
제 4장 경기 방법
● 경기의 구성과 게임의 종류
1. 경기의 구성
테니스 경기는 포인트(point), 게임(game), 세트(set), 매취(match)의 4단계로 구성된다. 즉 4점(point)을 선취하면 1게임을 얻는다. 그러나 3:3의 포인트가 되면 듀스(deuce)라 하여 계속 2점을 얻을 때까지 제한없이 계속하게 된다. 세트(set)란 어느 한 선수가 6게임을 먼저 얻으면 1세트를 이기게 되며 게임 스코어가 5:5일 때는 게임 듀스(game deuce)라 하여 2게임의 차이가 날 때까지 계속하게 되며 이것을 롱 게임(long game)이라 한다. 그러나 롱 게임 일 때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요즈음은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tie break system)이라는 시합 방법을 실시하고 있다.
매취(match)란 승패를 설정짓는 세트 수를 말하며 남자의 경우는 보통 5세트 매취로서 3세트를 선취하면 승리하게 되며 여자와 혼합복식 경기시는 3세트 매취로서 2세트를 선취하면 된다.
2.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tie break system)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이란 서든 데쓰 시스템(sudden death system)이라고도 하며 롱게임에 의한 무한정 시간 소모를 제한하기 위하여 1970년 국제 테니스 연맹의 결의에 의한 채점방식으로 그동안 공식화되지 않고 시험적으로 써 오다가, 1975년부터 공식화된 방식이다. 이것은 두사람의 게임 스코어가 6:6이거나 8:8일 때 마지막 한 게임으로 승패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9포인트 타이 브레이크와 12포인트 타이 브레이크가 병용되어 오다 12포인트 타이 브레이크만 사용하기로 되었다. 즉 12개의 포인트 가운데 누가 먼저 7포인트를 얻느냐로 승패를 결정되며 여기에서도 포인트 스코어가 6:6일때는 듀스로서 2포인트의 차이가 날 때까지 계속하게 된다. 서브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A가 먼저 서브라면)
제1서브 A(右) 제2서브 B(左)
제3서브 B(右) 제4서브 A(左)
제5서브 A(右) 제6서브 B(左)
제7서브 B(右) 제8서브 A(左)
제9서브 A(右) 제10서브 B(左)
제11서브 B(右) 제12서브 A(左)
※ 사이드 교체(두 사람의 스코어의 합이 6 또는 6의 배수일 때)
이 동안에 어느 한 선수(팀)가 먼저 7점을 얻으면 이기게 되나 6:6일때는 다시 사이드를 교체한 후 2점을 연속해서 얻을 때까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한다. 이때 포인트의 콜(call)은 원(one), 투(two), 쓰리(three) 식으로 콜하며 복식도 단식과 똑같다.
3. 게임의 종류
(1) 단식(singles game):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상대로 해서 단식 코오트(singles court)에서 하는 시합을 말한다.
(2) 복식(doubles game): 두 사람이 한조가 되어서 다른한조를 상대로 복식코트에서 하는
시합을 말한다
(3)혼합복식(mixed doubles):남녀가 한 조가 되어 다른 남녀한조를 상대로 복식코오트에서 하는 시합을 말한다.
4.스코어 부르는법
테니스의 스코어 코올하는 방법은 다른 경기와 달라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 같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다른 경기와 틀리는 것은 포인트 스코어 의 코올뿐으로 0을 러브(love), 1을 피프틴(fifteen), 2를 서어티(thirty), 3을 포오티(forty)라 부르는 것뿐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같다.
홍길동(serve) 황준(receive) 콜의 방법
0 : 0 love all
0 : 1 love fifteen
1 : 1 fifteen all
2 : 1 thirty fifteen
3 : 1 forty fifteen
3 : 2 forty thiry
3 : 3 deuce
4 : 3 advantage 홍길동 또는 advantage serve
4 : 4 deuce
4 : 5 advantage 황준 또는 advntage receive
4 : 6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