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N세대의 정의
2. 라이프스타일의 정의
3. N세대의 분석
- N세대의 문화적 특징
- 참여 가능한 대중문화
- 한국 N세대의 특징 (제4공간으로서의 가상공간)
- N세대의 소비문화
4. N세대 마케팅 전략
- 뉴 밀레니엄 시대의 주역
- N세대는 프로슈머
- 자기 개발의 가치관
-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
■ N세대를 향한 마케팅 전략
5. 결론 및 시사점
2. 라이프스타일의 정의
3. N세대의 분석
- N세대의 문화적 특징
- 참여 가능한 대중문화
- 한국 N세대의 특징 (제4공간으로서의 가상공간)
- N세대의 소비문화
4. N세대 마케팅 전략
- 뉴 밀레니엄 시대의 주역
- N세대는 프로슈머
- 자기 개발의 가치관
-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
■ N세대를 향한 마케팅 전략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족한다
B:생활을 즐기기 위해 어느정도의 낭비는 필요하다
C: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건 없건 절약을 해야한다
D:쇼핑은 즐겁다
* 자료:1999 제일기획 전국소비자조사
5) N세대를 향한 마케팅 전략
.스타마케팅
김희선 팔찌, 김남주 목걸이, 박찬호 향수, 서태지 T-셔츠등의 예에서 말해주듯이 N세대가 우상화하는 연예인이나 스포츠스타들을 마케팅에 활용, 그들에게 동질성을 찾게 하는 방법이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풀(PULL) 전략
은어를 쓰고 또래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를 좋아하는 N세대들에게는 그들의 주관심 사에 호소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자기개방과 개성이 강한 N세대들에게는 자신 스스로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때로는 자사의 제품을 프로슈머인 N세대가 직접 맞춤이 가능하도록 그들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방법도 주요한 마케팅 전략이라 할 수 있다.
5. 결론 및 시사점
.마케터는 NETWORK세대의 약칭인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많은
마케팅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세울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케터는 뉴밀레니엄을 주도하게 될 이들에게 건전하고 바람직한 소비생활을 유도하며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을 동시에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N세대는 인터넷이란 '이기'를 통해 정의가 규명되므로 마케터로서는 이들의 수치적
나이보다는 나이를 떠난 N세대 그들 자신만의 공통적인 특징 및 성향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신문 사례 1
화장품업계 "N세대" 마케팅 강화
* 매니아 회원 혜택 강화 ....사이버 전담요원 배치도
* N세대 마케팅이 화장품에도 본격 도입되고 있다.
여성 네티즌의 급증에 따라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사이버시장 쟁탈전이 사이버 공간에서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업계가 이같이 시장 쟁탈전을 치열하게 전개하는 것은 여성 네티즌들이 남성에 비해 사이트에 대한 충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이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전을 통해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는 점도 크게 고려된 사항이다, 아울러 사이버공간의 특성상 특별한 메리트가 없으면 고객으로 끌어들이는데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화장품 메이커들은 이같은 점을 반영, 브랜드별로 전문화 경향을 사이버 마케팅에 새롭게 도입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사이버 전담요원 배치도 늘어나고 있다. 기존에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이벤트를 마련하는 수준과는 대별되는 점이다.
태평양의 경우 최근 홈페이지를 새롭게 단장했다. 각 브랜드별 사이트를 총망라해 내용의 충실도를 한껏 높이는 등 혁신적 수준으로 변모했다. 이벤트도 다양화하고 경품도 파격적으로 늘렸으며 멀티기능도 대폭 강화했다.
피어리스도 최근 자사의 PC통신 포럼인 "드방세 포럼"을 재정비하고 N세대 충성고객 만들기에 본격 돌입했다.
고객을 준회원인 일반회원과 정회원인 매니아회원 2개 그룹으로 구분해 그룹별 관리를 차별화 하고 있다. 전체 매출의 80%를 충성고객 20%가 차지한다는 80:20의 원칙에 의거 매니아층에 대한 밀착 관리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또한 메뉴 개편을 통해 매니아 회원만 들어갈수 있는 "드방세 매니아 클럽"을 신설하고 메이크업 아틱스트 조성아의 1:1 메이크업 진단을 비로시 예뻐지는 할인쿠폰,깜짝 이벤트등 각종 특전을 부여하고 있다.
한불화장품도 H.O.T 향수를 출시한 이후 인터넷 홈페이지에 자사제품 매니아만을 위한 별도공간인 "HOT"매니아 클럽을 마련하고 사진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등 N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보화세대를 뜻하는 N세대는 인터넷 세대를 통칭하기도 한다. 이들 N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소비자로서 N세대는 인터넷 환경에 익숙하다. 이들은 서비스나 제품선택에 있어 맞춤식을 선호하고 있다. 자신만의 기호를 선택하는데 익숙하고 남과 차별화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이 같은 특성을 갖춘 신소비자층인 N세대를 위해서는 마케팅도 차별화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화장품메이커들리 N세대 선점을 위해 가상공간에서 펼치는 마케팅 경쟁이 흥미롭다.
신문 사례 2
[광고] N세대 중심 광고 선풍
새천년에도 광고계 '태풍의 눈'
'N세대를 잡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 이동통신 업계의 지상명령이다. 올 한해 N세대를 겨냥해 출시된 CF의 현란한 그림들을 보자. 영화배우 정우성과 탤런트 이은주가 차가운 겨울 바다를 배경으로 데이트를 즐기고 있는 신세기통신 파워디지털 017 CF(오리콤 제작). 황량한 벌판, 인터넷 영웅 이기석(스타크래프트 챔피언)이 등장하고 우주전이 벌어지는 한국통신 코넷 광고(휘닉스컴 제작).
지하철역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오는 고독한 표정의 청년 릭윤(모델)과 사이버 천사 이정현(가수)이 등장하는 한국통신 프리텔 n016 퍼스넷 광고(제일기획 제작). 톱스타 장동건이 미래를 구하는 전사로 등장하는 SK텔레콤 nTOP 광고(TWBA제작) 등.
신세대-X세대의 뒤를 이은 N세대(Net Generation). N세대가 주요 소비계층으로 급격히 부상함에 따라 이동통신업체를 선두로 N세대 마케팅에 주력한 광고 크리에이티브가 전성시대를 누렸다. SK텔레콤의 TTL광고도 'N세대를 77년 이후 출생자로서 인터넷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이들'이라는 또 휴대전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과 문화, 여행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nTOP 광고 역시 생활범위 확대를 위한 각종 정보에 접할 수 있는 권리를 중요시하는 N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이다. 한국통신 프리텔은 PCS 016이란 브랜드를 'n016'으로 변경했는데 여기서 n은 네트워크, 차세대를 뜻하는 이름이다.
신세기 통신 파원디지털 017 CF도 N세대의 가장 큰 관심거리인 고독, 자유, 사랑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내 젊은 세대의 주목을 받았다. LG정보통신도 휴대전화 이름을 'T22N'으로 하였는데 이것은 목표소비자인 N세대를 의미하는 Teen이라는 단어에서 e를 발음이 같은 2로 대신한 것이다.
N세대를 겨냥한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뉴 밀레니엄을 여는 2000년도에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김경환 기자]
B:생활을 즐기기 위해 어느정도의 낭비는 필요하다
C: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건 없건 절약을 해야한다
D:쇼핑은 즐겁다
* 자료:1999 제일기획 전국소비자조사
5) N세대를 향한 마케팅 전략
.스타마케팅
김희선 팔찌, 김남주 목걸이, 박찬호 향수, 서태지 T-셔츠등의 예에서 말해주듯이 N세대가 우상화하는 연예인이나 스포츠스타들을 마케팅에 활용, 그들에게 동질성을 찾게 하는 방법이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풀(PULL) 전략
은어를 쓰고 또래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를 좋아하는 N세대들에게는 그들의 주관심 사에 호소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하다.
.자기개방과 개성이 강한 N세대들에게는 자신 스스로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때로는 자사의 제품을 프로슈머인 N세대가 직접 맞춤이 가능하도록 그들의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방법도 주요한 마케팅 전략이라 할 수 있다.
5. 결론 및 시사점
.마케터는 NETWORK세대의 약칭인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많은
마케팅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세울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케터는 뉴밀레니엄을 주도하게 될 이들에게 건전하고 바람직한 소비생활을 유도하며
기업의 사회적인 책임을 동시에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N세대는 인터넷이란 '이기'를 통해 정의가 규명되므로 마케터로서는 이들의 수치적
나이보다는 나이를 떠난 N세대 그들 자신만의 공통적인 특징 및 성향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신문 사례 1
화장품업계 "N세대" 마케팅 강화
* 매니아 회원 혜택 강화 ....사이버 전담요원 배치도
* N세대 마케팅이 화장품에도 본격 도입되고 있다.
여성 네티즌의 급증에 따라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사이버시장 쟁탈전이 사이버 공간에서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업계가 이같이 시장 쟁탈전을 치열하게 전개하는 것은 여성 네티즌들이 남성에 비해 사이트에 대한 충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이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구전을 통해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는 점도 크게 고려된 사항이다, 아울러 사이버공간의 특성상 특별한 메리트가 없으면 고객으로 끌어들이는데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화장품 메이커들은 이같은 점을 반영, 브랜드별로 전문화 경향을 사이버 마케팅에 새롭게 도입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사이버 전담요원 배치도 늘어나고 있다. 기존에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이벤트를 마련하는 수준과는 대별되는 점이다.
태평양의 경우 최근 홈페이지를 새롭게 단장했다. 각 브랜드별 사이트를 총망라해 내용의 충실도를 한껏 높이는 등 혁신적 수준으로 변모했다. 이벤트도 다양화하고 경품도 파격적으로 늘렸으며 멀티기능도 대폭 강화했다.
피어리스도 최근 자사의 PC통신 포럼인 "드방세 포럼"을 재정비하고 N세대 충성고객 만들기에 본격 돌입했다.
고객을 준회원인 일반회원과 정회원인 매니아회원 2개 그룹으로 구분해 그룹별 관리를 차별화 하고 있다. 전체 매출의 80%를 충성고객 20%가 차지한다는 80:20의 원칙에 의거 매니아층에 대한 밀착 관리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또한 메뉴 개편을 통해 매니아 회원만 들어갈수 있는 "드방세 매니아 클럽"을 신설하고 메이크업 아틱스트 조성아의 1:1 메이크업 진단을 비로시 예뻐지는 할인쿠폰,깜짝 이벤트등 각종 특전을 부여하고 있다.
한불화장품도 H.O.T 향수를 출시한 이후 인터넷 홈페이지에 자사제품 매니아만을 위한 별도공간인 "HOT"매니아 클럽을 마련하고 사진등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등 N세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보화세대를 뜻하는 N세대는 인터넷 세대를 통칭하기도 한다. 이들 N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소비자로서 N세대는 인터넷 환경에 익숙하다. 이들은 서비스나 제품선택에 있어 맞춤식을 선호하고 있다. 자신만의 기호를 선택하는데 익숙하고 남과 차별화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이 같은 특성을 갖춘 신소비자층인 N세대를 위해서는 마케팅도 차별화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화장품메이커들리 N세대 선점을 위해 가상공간에서 펼치는 마케팅 경쟁이 흥미롭다.
신문 사례 2
[광고] N세대 중심 광고 선풍
새천년에도 광고계 '태풍의 눈'
'N세대를 잡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 이동통신 업계의 지상명령이다. 올 한해 N세대를 겨냥해 출시된 CF의 현란한 그림들을 보자. 영화배우 정우성과 탤런트 이은주가 차가운 겨울 바다를 배경으로 데이트를 즐기고 있는 신세기통신 파워디지털 017 CF(오리콤 제작). 황량한 벌판, 인터넷 영웅 이기석(스타크래프트 챔피언)이 등장하고 우주전이 벌어지는 한국통신 코넷 광고(휘닉스컴 제작).
지하철역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오는 고독한 표정의 청년 릭윤(모델)과 사이버 천사 이정현(가수)이 등장하는 한국통신 프리텔 n016 퍼스넷 광고(제일기획 제작). 톱스타 장동건이 미래를 구하는 전사로 등장하는 SK텔레콤 nTOP 광고(TWBA제작) 등.
신세대-X세대의 뒤를 이은 N세대(Net Generation). N세대가 주요 소비계층으로 급격히 부상함에 따라 이동통신업체를 선두로 N세대 마케팅에 주력한 광고 크리에이티브가 전성시대를 누렸다. SK텔레콤의 TTL광고도 'N세대를 77년 이후 출생자로서 인터넷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이들'이라는 또 휴대전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과 문화, 여행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nTOP 광고 역시 생활범위 확대를 위한 각종 정보에 접할 수 있는 권리를 중요시하는 N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이다. 한국통신 프리텔은 PCS 016이란 브랜드를 'n016'으로 변경했는데 여기서 n은 네트워크, 차세대를 뜻하는 이름이다.
신세기 통신 파원디지털 017 CF도 N세대의 가장 큰 관심거리인 고독, 자유, 사랑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내 젊은 세대의 주목을 받았다. LG정보통신도 휴대전화 이름을 'T22N'으로 하였는데 이것은 목표소비자인 N세대를 의미하는 Teen이라는 단어에서 e를 발음이 같은 2로 대신한 것이다.
N세대를 겨냥한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뉴 밀레니엄을 여는 2000년도에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김경환 기자]
추천자료
한국사회의 세대간 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안 모색
청소년의 올바른 성행동규범에 대한 세대간 차이와 유사성에 관한 연구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마케팅 분석
TTL 마케팅 전략 분석과 새로운 마케팅 전략 수립
세대변화와 조직관리에 관하여
0.1N HCl 및 0.1N NaOH 표준용액의 제조
인터넷 세대의 정치참여 혹은 정치적 무관심에 대한 고찰
[경영전략]글로벌 경영전략 분석사례-SK Telecom의 모바일 텔레매틱스 중국진출(2012년 추천 ...
[n-screen]N스크린 전략의 개념과 주요 특성, 필수요소, N스크린 시장 동향 및 대표 사례, N ...
나의 이전 세대 사람(부모, 조부모, 선생님, 선배 등등)이 지금 내 나이였을 때의 일상생활에...
[분자생물학] DNA 염기서열 분석방법
어린이 문화 담론과 과거와 현재의 어린이 표상 분석 연구 - 로틴 문화와 드라마 속 어린이를...
[산업분석]-자동차부품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