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적 관점에서 비만의 문헌적 고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정신의학적 관점으로 본 비만의 문헌적 고찰
<제목차례>
Ⅱ. 본 논 3
1. 황제내경 소문2) 3
2. 황제내경 영추3) 4
3. 금궤요략6) 5
4. 유하간삼륙서11) 5
5. 동원십종의서·비위론12) 6
6. 장씨유경13) 6
7. 경악전서14) 7
8. 동의보감15) 7
9. 의종필독16) 7
10. 부청주남녀과17) 7
11. 진수원의서십오종18) 8
12. 동의수세보원19) 8
13. 단계심법24) 8
14. 단계심법부여·상31) 8
15. 중의진단학7) 9
16.해리슨 내과학1) 9
17. 임상내분비학20) 10
18. 임상비만학21) 13
19. 정신의학23) 13
20. 비만증의 운동료법32) 15
20. 비만증의 식이료법33) 16
21. 동의재활의학과학34) 16
22. 안휘중의학원35) 17
23. 비만학회지36) 18
24. 감비지남37) 18
25.면비의원38) 18
26.관우감비적호소식화소식39) 19
Ⅲ. 고 찰 20
Ⅳ. 결 논 24
참 고 문 헌 25

<표차례>

본문내용

대한 성장 호르몬 분비는 저하되며, 금식에 대한 성장 호르몬 증가는 강화된다.
동맥경화
비만은 관상동맥 심질환과 뇌졸중의 위험인자이다.
기계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다양한 병증의 악화요인이며, 골관절염,정맥류,혈전증, 복벽 및 열공탈장,담석증 등이 흔하다.
Ⅳ. 結 論
肥滿에 대한 文獻的考察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肥滿이란 肥滿細胞의 비대나 수적인 增加에 의하여 脂肪組織축적이 增加되고 代謝障碍를 동반하는 症狀을 갖는 疾病의 집합체로 표준體重보다 20% 以上 超過된 境遇를 말한다.
2. 最終的인 脂肪의 代謝는 衛氣가 담당하며, 衛氣가 解剖學的으로 어느위치에서 充實한가에 따라 脂肪層의 形態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膏人,肥人,肉人의 구분이 생기며, 肥瘦大小와 血氣多少를 구분한다.
3. 七情으로 肝乘脾(怒)하여, 穀氣勝原氣로 肥滿한 境遇는 肝보다는 脾를 중시하여 逍氣하지 않고 養脾益氣를 爲主로하여 治療한다.
4. 七情 및 각종 社會心理的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긴 濕痰,氣虛,脾虛는 肥滿을 일으키고, 이는 中風,暈厥,昏冒,癎症,癡 ,癲症 등의 原因이 된다.
5. 서양의학적인 肥滿의 原因은 攝食障碍 및 각종 스트레스를 보고 있으며, 이는 行動修整療法,食餌療法,運動療法,藥物療法,手術등으로 治療하며, 이러한 肥滿은 各種 成人病의 原因이 될 수가 있다..
參 考 文 獻
1. 김영설 역 : 해리슨 내과학, 서울, 정담출판사, p.479, 480, 485, 486, 487, 488 1997.
2. 洪元植 : 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出版社, p.44, 61, p.94, p.101,pp.149-150, 181-182, p.302, 1981.
3. 洪元植 : 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出版社, pp.99-100, p.219, 220, pp.255-256, 274-275, p350 1981.
4. 許甲範 : 家庭醫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340-342, 1996.
5. 馬元臺, 張隱庵 : 黃帝內經 素問靈樞譯解, 서울, 成輔社, 素問 p.224, 305 靈樞 p.272, 273, 1975.
6. 張仲景 : 金 要略方論, 서울, 成輔社, p.21, 35, 70, 1985.
7. 黑龍江 中醫學院 외 : 中醫診斷學, 吉林, 人民出版社, p.16, 1989.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 및 보건행위 행태조사, 1996.
9. 보건복지부, 국민영양조사, 1994.
10.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조식품 시장규모분석, 1996.
11. 劉河間 : 劉河間三六書, 서울, 成輔社, p.282, 1976.
12. 李東垣 : 東垣醫書十種(脾胃論), 서울, 大星文化社, p.70, 1983.
13. 張介賓 : 張氏類經, 서울, 成輔社, p.547, 586, 1982.
14. 張介賓 : 景岳全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p.194, 354 1984.
15. 許浚 :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p.359, 1987.
16. 李仲梓 : 醫宗必讀, 臺南, 綜合出版社, p.120, 210, 1976.
17. 傅靑主 : 傅靑主男女科, 서울, 大星文化社, p.106, 1984.
18. 陳修園 : 陳修園醫書十五種(醫學實在易), 臺北, 新文豊出版有限公社, p.226, 1978.
19. 李濟馬 : 東醫壽世保元, 서울, 杏林出版社, pp.19-24, 137-141, 1993.
20. 閔獻基 : 臨床內分泌學, 서울, 考慮醫學, pp.475-489, 1990.
21. 大韓肥滿學會 : 臨床肥滿學, 서울, 高麗醫學, pp.184-189, 1995.
22. 黃義完, 金知赫 編著: 東醫精神醫學 現代醫學書籍社 p.333 1987.
23. 李定均,金容植 編著: 精神醫學 4판 서울 一潮閣 pp405-408, 463. 2000.
24. 朱震亨 : 丹溪心法, 北京, 中醫書店, p.19, 1986.
25. 康命吉 : 濟衆新篇(卷一), 서울, 杏林書院, p.6, 1976.
26. 陣士鐸 : 石室秘錄, 서울, 杏林書院, p.76, 1982.
27. 朱震亨 : 丹溪心法, 北京, 中醫書店, p.19, 1986.
28. 中醫硏究院主編 : 中醫症狀鑑別診斷學, 北京, 人民出版社, p.43, 1987.
29. 張明准 : 心-腦-神志病 辨證論治 醫聖堂 pp9-10 1988.
30. 金錫 : 東醫寶鑑을 爲主로 한 肥滿의 原因, 症狀, 治療法 硏究 大韓韓醫學會誌 19(2) :125-128, 1998
31. 朱震亨 : 丹溪心法附餘·上, 서울, 大星出版社, p.889, 1982.
32. 이홍규 : 肥滿證의 運動療法, 서울, 大韓醫學協會誌, 29(12) :1292 -1295, 1985.
33. 이기열 : 肥滿證의 食餌療法, 서울, 大韓醫學協會誌, 29(12):1 283, 1986.
34. 全國韓醫科大學韓方再活醫學敎室 編 : 東醫再活醫學科學, 서울, 書苑堂, pp.111-114, 1995.
35. 安徽中醫學院 JOURNAL OF ANHUI TRADITIONAL CHINESE MEDICAL COLLEGE 2000 Vol.19 No.4 p.58-60
http://www.chinainfo.gov.cn/periodical/ahzyxyxb/ahzy2000/0004/000433.htm
36. 肥滿學會志 第二期 2000.7.1 http://modsiw6542.easthome.net/obesity--21.htm
37. 減肥指南 第1期 2000.5.27 http://modsiw6542.easthome.net/antiobesity.htm
38. 免費醫院,
http://modsiw6542.easthome.net/%B7%CA%C5%D6%CE%CA%B4%F0-1.htm
39. 關于減肥的好消息和消息 http://big5.drgama.com/info/001006.asp?info_id=32891
40. 肥滿治療와 營養敎育의 效果, 이혜양, 춘계학술대회,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년 5월
41. 지방세포의 분포와 생리 송영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대한비만학회지 8권 1호,1999
42. 지방세포의 분화 최웅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대한비만학회지 8권 1호.1999
43. 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 편람(DSM-Ⅳ) APAW, DC 1994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11.0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