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영과정학파 (The management process school)
2. 경험학파 (The empirical school)
3. 인간행동학파 (The human behavior school)
4. 사회 시스템 학파(The social system school)
5. 의사결정학파 (The decision theory school)
6. 수리학파 (The mathematics school)
7. 과학적 관리학파 (Scientific management school)
8. 제도 주의 학파 (The institutional school)
9.관리경제학파 및 관리회계학파 (Managerial economics and accounting school)
2. 경험학파 (The empirical school)
3. 인간행동학파 (The human behavior school)
4. 사회 시스템 학파(The social system school)
5. 의사결정학파 (The decision theory school)
6. 수리학파 (The mathematics school)
7. 과학적 관리학파 (Scientific management school)
8. 제도 주의 학파 (The institutional school)
9.관리경제학파 및 관리회계학파 (Managerial economics and accounting school)
본문내용
.B.Veblen은 철학, 역사학, 문화인류학, 사회학, 심리학과 경제학 등에 관한 광범위한 학식을 기초로 하여 인간행동과 경영현상에 관한 심오한 분석을 하여 정통파 경제학에서 볼 수 없었던 구체적인 자본주의경제의 이론을 발전하였고 각종의 사회의 모순을 가져오는 영리기업이 기술자의 총파업을 통해 쇠퇴할 운명에 있다는 예언적 주장을 하였다.
또한 J.R.Commons는 제도경제학(Institutional economics, 1934) 집단행동의 경제학 (the economics of collective action, 1950)등의 저서에서 기업에 있어서의 자본가, 경영자, 노동자간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이해집단의 대립에 착안하여 집단행동연구에 주력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이어 받아 W.Wissler는 경영학(business administration, 1931)에 이론을 도입, 전개하였고 A.A.Berle과 G.C.Means는 근대주식회사와 사유재산(the modern cooperation and private property, 1932)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따라 실증적 연구를 하게 되었다. J.Burnham은 managerial revolution (1941)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로 인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자는 경영자 계급이 되리라고 주장하였고, R.A.Gordon은 대기업의 비즈니스 리더쉽에서 경영의 내부분석을
[마셜 , Marshall, Alfred]
영국의 경제학자.
국 적 : 영국
활동분야 : 경제학
출 생 지 : 영국 런던
주요저서 : 《경제학원리》,《산업과 무역》,《화폐 신용 및 상업》
본문
런던 출생. 신고전학파(新古典學派)의 창시자이다. 처음에는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후에 형이상학(形而上學)과 윤리학 연구를 거쳐 경제학을 연구하였다. 1885년 케임브리지대학 경제학 교수가 되었다. 영국경제학계의 지도자로서는 물론, 왕립위원회(王立委員會) 위원으로서도 학문과 정책면에 공헌하였다.
마셜은 빈곤의 여러 원인을 연구하고 극복을 통하여 인간사회의 진보 가능는 데에 경제학의 과제를 두었다. 경제이론의 기초에 스펜서식하는 사회관을 이론의 기초에 두었다. 가치론에 있어서는 고전학파의 생산비설(生産費說)과 제번스의 한계효용학설(限界效用學說)을 종합하였으며(절충가치론자라고 함), 부분균형론에 시간요소를 도입한 동태론(動態論)을 전개하였다. 내부경제 외부경제 탄력성 소비자잉여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 후 후생경제학의 길을 열고, 불완전경쟁 이론의 전개에 계기를 마련하였다.
통한 경영자 리더쉽의 실체를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현실의 기업을 분리하고 이를 통하여 기업은 하나의 제도(institution)로서 파악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상은 후일 경영학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즉,J.R.Commons는 제도 이론을 공익사업의 분야에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자본주의 이론을 전개하였고 사회지배형태에 제도이론을 적용한 결과 A.A.Berle와 G.C.Means는 소유구조의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R.A.GORDON은 경영내부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에 있어서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현상, 그리고 기업이 자본가의 물적 소유물로서 자본가의 물적 이윤추구만을 위하여 사용되었던 단계로부터 사회적 기능을 가져 이를 담당하는 하나의 제도적 기관으로서 인정되는 단계로 이행하여 가는 현상을 해명하였다.
[베블런 , Veblen, Thorstein Bunde]
요약
미국의 사회학자 사회평론가.
국 적 : 미국
활동분야 : 사회학
출 생 지 : 미국 위스콘신 매니터웍
주요저서 : 《유한계급론》(1899)
본문
위스콘신주(州) 매니터웍 출생. 노르웨이에서 이주한 농민의 아들로 예일대학교 출신의 철학박사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민(移民) 2세라는 이유로 취직난을 겪었으며, 도시와 농촌간의 생활차에 따른 차별을 체험하였다. 시카고대학교에서 14년간 교편을 잡고 각 대학의 교직을 역임하였으나, 1926년 은퇴한 후 가난하게 살다가 죽었다.
그는 산업의 정신과 기업의 정신을 구별하여, 전자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량을 올리는 것이지만, 후자는 이윤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업합동 판매우선 정부와 소유계급의 낭비를 초래한다고 하여 배격하였다. 《유한계급론(有閑 階級論)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An Economic Study in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1899)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하는 과시적소비를 지적하였다.
그 밖의 저서로 《부재소유(不在所有) Absentee Ownership and Business Enterprise in Recent Times:The Case of America》(1923) 등이 있다.
의 사회유기체를 도입하였으며, 경제학자의 메카는 경제동력학이 아니라 경제생물학이성을 추구한다라고
9.관리경제학파 및 관리회계학파
대표적 학자 - A.MARSHALL, J.MCLARK, J.O.MCKINSEY, J.DEAN
(Managerial economics and accounting school)
경제학과 경영학이 결부된 것은 A.Marshall로부터 시작된 것이나 최근의 일로 보고 있으며, 이 학파의 학문적 성격은 경제현상을 경영자의 관점에서 경영적 내지 관리론 적으로 취급하는 이유로 경영자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특히 이는 기업 내지 경영과 경제학에 가교적(bridging)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학문이다.
그리고 회계학을 경영학에 결부된 것은 최근의 일로써 지금까지 회계학은 과거회계인 재무회계에 중점을 두게 되었고 출자자나 채권자를 위하여 재무제표 작성 또는 분석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원가계산과 회계학이 큰 구실을 하게 되어 드디어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의 연구가 발전하게 됨으로써 주식회사로서 예산통제, 재무 분석을 통한 경영관리, 표준원가 계산 등으로 내부경영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또한 J.R.Commons는 제도경제학(Institutional economics, 1934) 집단행동의 경제학 (the economics of collective action, 1950)등의 저서에서 기업에 있어서의 자본가, 경영자, 노동자간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이해집단의 대립에 착안하여 집단행동연구에 주력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이어 받아 W.Wissler는 경영학(business administration, 1931)에 이론을 도입, 전개하였고 A.A.Berle과 G.C.Means는 근대주식회사와 사유재산(the modern cooperation and private property, 1932)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따라 실증적 연구를 하게 되었다. J.Burnham은 managerial revolution (1941)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로 인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자는 경영자 계급이 되리라고 주장하였고, R.A.Gordon은 대기업의 비즈니스 리더쉽에서 경영의 내부분석을
[마셜 , Marshall, Alfred]
영국의 경제학자.
국 적 : 영국
활동분야 : 경제학
출 생 지 : 영국 런던
주요저서 : 《경제학원리》,《산업과 무역》,《화폐 신용 및 상업》
본문
런던 출생. 신고전학파(新古典學派)의 창시자이다. 처음에는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후에 형이상학(形而上學)과 윤리학 연구를 거쳐 경제학을 연구하였다. 1885년 케임브리지대학 경제학 교수가 되었다. 영국경제학계의 지도자로서는 물론, 왕립위원회(王立委員會) 위원으로서도 학문과 정책면에 공헌하였다.
마셜은 빈곤의 여러 원인을 연구하고 극복을 통하여 인간사회의 진보 가능는 데에 경제학의 과제를 두었다. 경제이론의 기초에 스펜서식하는 사회관을 이론의 기초에 두었다. 가치론에 있어서는 고전학파의 생산비설(生産費說)과 제번스의 한계효용학설(限界效用學說)을 종합하였으며(절충가치론자라고 함), 부분균형론에 시간요소를 도입한 동태론(動態論)을 전개하였다. 내부경제 외부경제 탄력성 소비자잉여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 후 후생경제학의 길을 열고, 불완전경쟁 이론의 전개에 계기를 마련하였다.
통한 경영자 리더쉽의 실체를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현실의 기업을 분리하고 이를 통하여 기업은 하나의 제도(institution)로서 파악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상은 후일 경영학 연구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즉,J.R.Commons는 제도 이론을 공익사업의 분야에 적용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자본주의 이론을 전개하였고 사회지배형태에 제도이론을 적용한 결과 A.A.Berle와 G.C.Means는 소유구조의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R.A.GORDON은 경영내부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에 있어서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현상, 그리고 기업이 자본가의 물적 소유물로서 자본가의 물적 이윤추구만을 위하여 사용되었던 단계로부터 사회적 기능을 가져 이를 담당하는 하나의 제도적 기관으로서 인정되는 단계로 이행하여 가는 현상을 해명하였다.
[베블런 , Veblen, Thorstein Bunde]
요약
미국의 사회학자 사회평론가.
국 적 : 미국
활동분야 : 사회학
출 생 지 : 미국 위스콘신 매니터웍
주요저서 : 《유한계급론》(1899)
본문
위스콘신주(州) 매니터웍 출생. 노르웨이에서 이주한 농민의 아들로 예일대학교 출신의 철학박사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민(移民) 2세라는 이유로 취직난을 겪었으며, 도시와 농촌간의 생활차에 따른 차별을 체험하였다. 시카고대학교에서 14년간 교편을 잡고 각 대학의 교직을 역임하였으나, 1926년 은퇴한 후 가난하게 살다가 죽었다.
그는 산업의 정신과 기업의 정신을 구별하여, 전자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생산량을 올리는 것이지만, 후자는 이윤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업합동 판매우선 정부와 소유계급의 낭비를 초래한다고 하여 배격하였다. 《유한계급론(有閑 階級論)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An Economic Study in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1899)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하는 과시적소비를 지적하였다.
그 밖의 저서로 《부재소유(不在所有) Absentee Ownership and Business Enterprise in Recent Times:The Case of America》(1923) 등이 있다.
의 사회유기체를 도입하였으며, 경제학자의 메카는 경제동력학이 아니라 경제생물학이성을 추구한다라고
9.관리경제학파 및 관리회계학파
대표적 학자 - A.MARSHALL, J.MCLARK, J.O.MCKINSEY, J.DEAN
(Managerial economics and accounting school)
경제학과 경영학이 결부된 것은 A.Marshall로부터 시작된 것이나 최근의 일로 보고 있으며, 이 학파의 학문적 성격은 경제현상을 경영자의 관점에서 경영적 내지 관리론 적으로 취급하는 이유로 경영자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특히 이는 기업 내지 경영과 경제학에 가교적(bridging)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학문이다.
그리고 회계학을 경영학에 결부된 것은 최근의 일로써 지금까지 회계학은 과거회계인 재무회계에 중점을 두게 되었고 출자자나 채권자를 위하여 재무제표 작성 또는 분석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원가계산과 회계학이 큰 구실을 하게 되어 드디어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의 연구가 발전하게 됨으로써 주식회사로서 예산통제, 재무 분석을 통한 경영관리, 표준원가 계산 등으로 내부경영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추천자료
자아심리이론(에릭슨), 인행사,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유전결정환경결정] 인간의 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
인간행동과사회환경1B)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
[인간행동과 사회환] 청소년기의 발달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문제행동과 대책 및 대안을 중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행동주의입장과 스키너이론의 특징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발달의 이해 및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발달의 개념, 발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본주의 이론의 이해 - 로저스 (Rogers)의 현상학적 이론(로저스의 ...
[2014인간과심리]인간행동이 유전에 의해 결정되는가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가 자신의 생각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이론]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 로저스이론의 특징과 장단점 ]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
방통대 인행사 가정학과 E형 프로이트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와 융의 인간관, 의식과 무의식,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을 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