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낙인이론
2. 낙인을 붙이는 과정
3. 낙인과 자성예언효과
2. 낙인을 붙이는 과정
3. 낙인과 자성예언효과
본문내용
의 차별적인 기대는 아동들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쳐 교사들이 열등집단으로 분류하고 그렇게 대한 아이들은 자신들이 '멍청이'라고 생각하고 그러한 믿음에 맞도록 행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이렇게 교사의 차별적인 기대가 아동을 그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을 '자성예언(self-fulfulling prophesy)효과', 또는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부른다.
5) 이렇게 교사의 차별적인 기대가 아동을 그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을 '자성예언(self-fulfulling prophesy)효과', 또는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부른다.
추천자료
학교조직과 상호작용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
놀이지도와 상호작용
지체부자유아/인의 상호작용 관찰, 분석
상징적 상호작용론
상호작용적 학습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체계의 영향 중 Bronfenbrenner의 인간생태체계(미시체계, 중간체계...
상징적 상호작용이론과 제 이론 비교분석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체계의 영향 중 Bronfenbrenner의 인간생태체계(미시체계, 중간체...
성격의 상호작용론(성격의 일관성, 성격의 관계성, 성격변화)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인성발달,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본인 및 본인의 형...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인성발달,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본인 및 본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