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三國志』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감을 하고 있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삼국지를 다시 읽으면서 기억에 남는 인물에 관해 말하고 글을 마치려고 한다. 그는 바로 상산 조자룡으로 유명한 조운이다. 혼자서 아두를 품에 안고서 적의 70만대군 속을 뚫는 그 모습은 너무도 유명하고, 그 용맹과 의리, 충성심은 역사상 그 누구보다도 뛰어나다고 할 만하다. 그런데 특히 나를 감동시킨 것은 아두를 무사히 구해내고 난 후, 유비에게 갔었을 때 유비가 아두를 내던지면서 잘못하면 귀한 장수를 한 명 잃을 뻔했다고 말했었을 때 흘렸던 조운의 눈물이다. 우리 나라에 대장부는 태어나서 단지 세 번만 울뿐이라는 말도 있고 중국인들은 男兒有淚不輕彈이라고 하건만, 이런 때에 흘리는 대장부의 눈물은 너무도 멋있는 것 같다.
그리고 노장이 되어서 제갈량이 자신을 선봉으로 쓰지 않자 오히려 거기에 화(?)를 내며 나이를 초월해 노익장을 발휘하여 나라를 위해 싸우는 모습은 사나이의 모습이란 무엇인지 확실히 보여주는 것 같다. 조조의 진영을 떠나려 하던 관우를 조조가 막자, 관우가 의란 마음을 버리지 않는 것이고, 충은 죽음을 돌보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는데, 이 말이 상산 조자룡에게 너무도 잘 어울리는 표현인 것 같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0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