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본문의 사역
Ⅱ. 본문의 구성
Ⅲ. 본문의 분석
Ⅳ. 메시지와 묵상
Ⅴ. 본문의 적용 및 활용
Ⅵ. 남겨진 생각의 조각들
Ⅱ. 본문의 구성
Ⅲ. 본문의 분석
Ⅳ. 메시지와 묵상
Ⅴ. 본문의 적용 및 활용
Ⅵ. 남겨진 생각의 조각들
본문내용
어졌다.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가 되고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 되어 하나님의 영광과 충만을 만물 속에 실현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교회 안에서 충만의 성육신이 발생한다.
·참고·
골로새서 1:9-12의 기도는 본문과 유사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9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 10주께 합당히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고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게 하시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게 하시고 11그 영광의 힘을 좇아 모든 능력으로 능하게 하시며 기쁨으로 모든 견딤과 오래 참음에 이르게 하시고 12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골 1:9-12, 개역).
이 구절은 헬라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을 할 경우 한글 성경의 절 숫자가 완전히 뒤섞인다. 기도 내용의 주 동사는 '채움을 받는 것'(plhrwqh/te, 9b절)이고 '주께 합당히 행하는 것'(peripath/sai avxi,wj tou/ kuri,ou, 10a절)은 목적을 유도하는 부정사절로서 채움 받는 일을 꾸며준다. 그리고 '열매를 맺고'(karpoforou/ntej, 10절), '자라고'(auvxano,menoi, 10절), '능하게 하고'(dunamou,menoi, 11절), '감사하는 것'(euvcaristou/ntej, 12절)은 모두 분사구문으로서 '주께 합당히 행하는 일'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헬라 원문에 충실한 우리 글이 되도록 개역 성경의 용어를 사용하되 본문의 순서를 바꾸어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으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며, 그 영광의 힘을 좇아 모든 능력으로 능력을 입으며, 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함으로써 주께 합당히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도록,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시기를 원하노라.
여기서 기도의 주 내용은 에베소서 본문에서와(간구 3) 마찬가지로 '플레로마'(충만, 채움)이다. 충만을 받는 내용은 "모든 지혜와 영적인 이해에 있어서 하나님의 뜻의 지식"(필자 직역)이다. 에베소서에서 간구 2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그러한 지식을 얻는 목적은 주님께 합당한 삶을 통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의 내용은 '열매 맺기', '하나님 더 알기'(간구 2), '능력 입기'(간구 1), '감사하기' 등이 된다.
Ⅴ. 본문의 적용 및 활용
가. 개인적 적용
본문의 메시지를 통해 개인적으로 적용해야 할 부분이 있는가 살펴본다. 특별히 의미 있었던 영감, 새롭게 깨달은 진리, 나의 사고와 행동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한 부분, 내가 해야 할 일들에 대한 비전 등을 확인해 본다. 마찬가지로 목회 현장 및 사회와 역사 현실에도 이러한 적용을 해 본다.
나. 설교에의 활용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설교의 주제가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정리해 본다.
(1) 본문의 진행 자체가 그대로 설교의 주요 포인트가 될 수 있다.
A. 도입기도는 내가 추구하는 것이다
B. 본론추구해야 할 일들
① 속사람의 강건
② 하나님의 사랑의 구원에 대한 이해의 증진
③ 하나님의 충만을 실현하기
C. 결어이 모든 것을 이루실 수 있는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믿음
(2) 메시지 중 한 부분을 택하여 특별한 강조를 하는 설교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예들은 좋은 설교의 주제가 될 것이다.
▶ 전 인류의 가장(家長) 되신 하나님
▶ 대 재벌 되신 하나님을 알고 의지하자.
▶ 그리스도께서는 내 안에 안주하시고 나는 사랑 안에 정착한다.
▶ 인간의 사고 범위를 넘어서는 하나님의 사랑.
(3) 이 외에도 여러 가지 가능한 주제들이 나올 수 있다. 깊이 묵상하고 정리해 보라.
Ⅵ. 남겨진 생각의 조각들
에베소서 연구를 중간에 위치한 3장 14-19절로 시작한 것은 이 구절이 에베소서 저자의 마음과 의도를 잘 대표하기 때문이다. 에베소서를 읽으면서 갖는 첫 인상으로 나오는 탄성은 "와~ 크다!"이다. 신학적 비전이 거시적이다. 복음의 의미가 전 우주적으로 확대된다. 작은 혼동이 전체의 조화와 균형에 의해 압도되어 '플레로마'(충만)를 느끼게 된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고 외치는 요즘과 같은 때 에베소서는 어떤 의미를 주는가? 전체보다는 개인과 부분이 부각되고 전체의 균형을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을 짓는 해체주의가 기승하는 오늘과 같은 세태에 우주적 통일을 외치는 에베소서는 전혀 시대에 맞지 않는 환상의 소리가 아닐까?
그렇다. 에베소서는 환상과 꿈의 말씀이다. 사실이다. 저렇게 거창하게 얘기해도 되는 것일까 하는 염려를 자아낼 정도로 거시적이다. 에베소서의 바울은 크고 넓고 높고 깊은 신학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가 그렇게 어마어마한 비전을 가졌다고 해서 현실을 망각한 몽상가였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지역 지역을 발이 부르트도록 돌아다니며 한 영혼을 놓고 지극히 좀스럽게 복음을 전하고 말씀을 가르쳐서 몇 명 안 되는 사람들이 모이는 교회를 만들던 사람이었다. 그는 지극히 지역적인 사람이었다. 그는 지극히 작은 일에 충실하던 사람이었다. 그의 교회들은 거대한 로마제국 속에서 눈에 띄지 않는 지극히 미소한 인간 집단이었다. 그러나 바울은 자신이 하는 이 작은 일, 이 작은 교회에서 우주적인 의미를 읽는다. 그 일을 주도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에베소서는 수십만명이 모이는 대형교회 목회자의 비전이 아니었다. 지극히 작은 지역교회의 목회자가 온 인류의 가장이 되신 거대하신 하나님을 비전 속에 보면서 그리는 전 우주적인 거시의 신학이었다. 그리고 외친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가장 부분적인 것이 가장 우주적이다. 지극히 지역적인 것을 놓고 가장 우주적인 것을 읽어내는 아름다운 거시의 신학, 충만과 통일의 노래에 흠뻑 젖어본다.
·참고·
골로새서 1:9-12의 기도는 본문과 유사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9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게 하시고 10주께 합당히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고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게 하시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게 하시고 11그 영광의 힘을 좇아 모든 능력으로 능하게 하시며 기쁨으로 모든 견딤과 오래 참음에 이르게 하시고 12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골 1:9-12, 개역).
이 구절은 헬라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을 할 경우 한글 성경의 절 숫자가 완전히 뒤섞인다. 기도 내용의 주 동사는 '채움을 받는 것'(plhrwqh/te, 9b절)이고 '주께 합당히 행하는 것'(peripath/sai avxi,wj tou/ kuri,ou, 10a절)은 목적을 유도하는 부정사절로서 채움 받는 일을 꾸며준다. 그리고 '열매를 맺고'(karpoforou/ntej, 10절), '자라고'(auvxano,menoi, 10절), '능하게 하고'(dunamou,menoi, 11절), '감사하는 것'(euvcaristou/ntej, 12절)은 모두 분사구문으로서 '주께 합당히 행하는 일'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헬라 원문에 충실한 우리 글이 되도록 개역 성경의 용어를 사용하되 본문의 순서를 바꾸어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로써 우리도 듣던 날부터 너희를 위하여 기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고 구하노니, 너희로 하여금 모든 선한 일에 열매를 맺으며, 하나님을 아는 것에 자라며, 그 영광의 힘을 좇아 모든 능력으로 능력을 입으며, 우리로 하여금 빛 가운데서 성도의 기업의 부분을 얻기에 합당하게 하신 아버지께 감사함으로써 주께 합당히 행하여 범사에 기쁘시게 하도록, 모든 신령한 지혜와 총명에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으로 채우시기를 원하노라.
여기서 기도의 주 내용은 에베소서 본문에서와(간구 3) 마찬가지로 '플레로마'(충만, 채움)이다. 충만을 받는 내용은 "모든 지혜와 영적인 이해에 있어서 하나님의 뜻의 지식"(필자 직역)이다. 에베소서에서 간구 2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그러한 지식을 얻는 목적은 주님께 합당한 삶을 통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의 내용은 '열매 맺기', '하나님 더 알기'(간구 2), '능력 입기'(간구 1), '감사하기' 등이 된다.
Ⅴ. 본문의 적용 및 활용
가. 개인적 적용
본문의 메시지를 통해 개인적으로 적용해야 할 부분이 있는가 살펴본다. 특별히 의미 있었던 영감, 새롭게 깨달은 진리, 나의 사고와 행동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한 부분, 내가 해야 할 일들에 대한 비전 등을 확인해 본다. 마찬가지로 목회 현장 및 사회와 역사 현실에도 이러한 적용을 해 본다.
나. 설교에의 활용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설교의 주제가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정리해 본다.
(1) 본문의 진행 자체가 그대로 설교의 주요 포인트가 될 수 있다.
A. 도입기도는 내가 추구하는 것이다
B. 본론추구해야 할 일들
① 속사람의 강건
② 하나님의 사랑의 구원에 대한 이해의 증진
③ 하나님의 충만을 실현하기
C. 결어이 모든 것을 이루실 수 있는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믿음
(2) 메시지 중 한 부분을 택하여 특별한 강조를 하는 설교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예들은 좋은 설교의 주제가 될 것이다.
▶ 전 인류의 가장(家長) 되신 하나님
▶ 대 재벌 되신 하나님을 알고 의지하자.
▶ 그리스도께서는 내 안에 안주하시고 나는 사랑 안에 정착한다.
▶ 인간의 사고 범위를 넘어서는 하나님의 사랑.
(3) 이 외에도 여러 가지 가능한 주제들이 나올 수 있다. 깊이 묵상하고 정리해 보라.
Ⅵ. 남겨진 생각의 조각들
에베소서 연구를 중간에 위치한 3장 14-19절로 시작한 것은 이 구절이 에베소서 저자의 마음과 의도를 잘 대표하기 때문이다. 에베소서를 읽으면서 갖는 첫 인상으로 나오는 탄성은 "와~ 크다!"이다. 신학적 비전이 거시적이다. 복음의 의미가 전 우주적으로 확대된다. 작은 혼동이 전체의 조화와 균형에 의해 압도되어 '플레로마'(충만)를 느끼게 된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고 외치는 요즘과 같은 때 에베소서는 어떤 의미를 주는가? 전체보다는 개인과 부분이 부각되고 전체의 균형을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정을 짓는 해체주의가 기승하는 오늘과 같은 세태에 우주적 통일을 외치는 에베소서는 전혀 시대에 맞지 않는 환상의 소리가 아닐까?
그렇다. 에베소서는 환상과 꿈의 말씀이다. 사실이다. 저렇게 거창하게 얘기해도 되는 것일까 하는 염려를 자아낼 정도로 거시적이다. 에베소서의 바울은 크고 넓고 높고 깊은 신학을 시도한다. 그러나 그가 그렇게 어마어마한 비전을 가졌다고 해서 현실을 망각한 몽상가였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지역 지역을 발이 부르트도록 돌아다니며 한 영혼을 놓고 지극히 좀스럽게 복음을 전하고 말씀을 가르쳐서 몇 명 안 되는 사람들이 모이는 교회를 만들던 사람이었다. 그는 지극히 지역적인 사람이었다. 그는 지극히 작은 일에 충실하던 사람이었다. 그의 교회들은 거대한 로마제국 속에서 눈에 띄지 않는 지극히 미소한 인간 집단이었다. 그러나 바울은 자신이 하는 이 작은 일, 이 작은 교회에서 우주적인 의미를 읽는다. 그 일을 주도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에베소서는 수십만명이 모이는 대형교회 목회자의 비전이 아니었다. 지극히 작은 지역교회의 목회자가 온 인류의 가장이 되신 거대하신 하나님을 비전 속에 보면서 그리는 전 우주적인 거시의 신학이었다. 그리고 외친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가장 부분적인 것이 가장 우주적이다. 지극히 지역적인 것을 놓고 가장 우주적인 것을 읽어내는 아름다운 거시의 신학, 충만과 통일의 노래에 흠뻑 젖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