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소논문] 성막의 제사 양식에 비추어 본 현대 교회교육의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학,소논문] 성막의 제사 양식에 비추어 본 현대 교회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서론
Ⅰ. 제사제도의 교육적 의미
Ⅱ. 성막의 제사 양식에 비추어 본 현대 교회교육의 문제점
A. 관계중심적인 교육
B. 세상에서 구별된 거룩한 교육
C.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는 교육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이지 성서인 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 교회교육에 있어서 오늘날 시도되고 있는 다양하고도 집요한 문화와 융합된 ‘잡종’(Tozer의 표현에 의하면)과도 같은 기독교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세상과 명확하게 구별되는 성서적인 기독교를 가르쳐야 한다.
결론
세상에 끌려다니고 있는 교회교육의 문제를 세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는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관계성의 상실이었다. 교회교육은 이제 무미건조한 프로그램 중심적인 교육에서 인간미가 물씬 풍기는 관계 중심적인 교육으로 돌아서야 한다. 둘째로는 거룩성에 대한 교육이다. 성막의 제사제도의 핵심 주제는 ‘죄’와 ‘거룩’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교회교육에 있어서 이런 중요한 주제들은 2차적인 것으로 밀려나버렸다. 우리는 사람들이 듣기 좋아하는 ‘인스턴트식 성경’을 가르치지 말고 영양가 있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마지막 셋째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는 교육이다. 하나님께서는 성막의 모든 제사양식을 친히 제정하시고 명령하셨다. 이것은 현대 교회교육에도 적용되어져야 한다. 교회교육을 향해 범람하고 있는 세상의 학문적인 제안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미래사회와 기독교 커뮤니케이션」에서 김진년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였다. 김진년, 「미래사회와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9), 30.
“미래사회를 예측하게 하는 라이프 스타일은 불확실하다는 평가를 하지만 선택과 편의를 위주로 하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변화가 너무 빨라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며 계속해서 창의성을 요구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득권자들의 자기파괴형식이 필요하고,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형성하는 일에 참여하겠다는 강한 의지와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는 요구를 받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요구를 외면하는 한 갈등을 가질 뿐이다. 제도와 격식을 고수하는 한 미래사회는 변화하기보다는 오히려 갈등과 혼란만을 야기하게 된다... 교회는 바로 이러한 현실을 감지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서 새로운 문명 창조에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미래사회에서 적합한 생존 양식을 취하기 위해서이다.”
위의 제안과 같이 교회전통을 해체시키려는 움직임이 교회 안팎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고수해왔던 전통을 단순히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잘라버려서는 안 됨을 알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를 교회되게 하는 원리들은 2,000년이 되었든 그 이상이 되었든 영원불변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문화 사역이라는 이름하에 교회의 정체성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거세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교회만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원리들을 지켜내야 한다. 다원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이 혼탁한 세상 속에 교회가 잠식되지 않도록 말이다.
참고문헌
1. 국내서적
김진년. 「미래사회와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9.
김청봉. 「우리가 세워야 할 교회학교의 미래」. 서울: 이레미디어, 2004.
박철수. 「성경의 제사」. 서울: 풍만, 1987.
원종홍. 「기독교 교육과정」. 서울: 도서출판한글, 1994.
조준상. 「성막과 대제사장」. 서울: 시내산출판사, 1992.
2. 번역서
Aiden Wilson Tozer. 「GOD(갓. 하나님)」. 이용복 역. 서울: 규장, 2007.
Aiden Wilson Tozer. 「예배인가 쇼인가」. 이용복 역. 서울: 규장, 2004.
Maria Harris. 「교육목회 커리큘럼」. 고용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Paul M. Zehr. 「성막의 개관」. 김태평 역. 서울: 디모데, 1995.
William Barclay. 「고대세계의 교육사상」. 유재덕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키워드

제사,   제사장,   교육,   문화,   상황화,   변질,   전통,   성경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2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