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 예속민의 전체적 개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1. 중국고대 예속민의 전체적 개괄
(고대 그리스·로마와의 外面적 유사성)

2. 고대 중국을 노예제 사회로 볼 것인가?
1) 고고학적 자료로 인한 판단.
2) 중국 고대 노예사회의 가능성
3) 중국 노예사회 발전의 몇 가지 단계의 구체적 내용
4) 생산성 면에서…

본문내용

대처하는 방편이었다.
) 閔斗基, 中國史時代區分論, 創作과 批評社, 1984, P.128
4) 생산성 면에서…
한편 이러한 노비가 생산과정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어느 정도일까? 지금까지 고대 중국에서 노비는 농업의 주요 생산자로 상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전인구에서 노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볼 때(노비는 총 인구의 1/15를 차지한다) 그리고 가내노비와 생산노비의 비율을 볼때(생산노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40∼17.4%에 불과했다.) 농업생산이 노비의 주요활동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제 송대 이전의 농업 방식은 농업 기술의 저조(송대 이후 水田농업이 발달했다)로 5∼6명에 의한 일관작업으로 완성되는 田作(전작)이 주를 이루고, 때문에 대토지 경영이라고 하더라도 일정한 地片으로 분할된 소규모 경작의 단순산술적 집합에 불과하였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예속민을 통한 경영은, 중간경영이 요구될 뿐 아니라 강제노동이 갖는 생산성 저하로 인해, 소규모 자급경영보다 토지 생산성이나 노동 효율성은 훨씬 떨어지게 된다. 직접적인 농업노동에 투입되는 노비의 비율이 비교적 낮은 것은 그러한 상황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가내노비와 생산노비의 비율면에서 40∼17.4%에 불과한 가내노비와 생산노비의 비율을 살필 때 노비들의 생산은 수공업 방면으로 발달했다는 결론에 달한다. 한편 노비의 소유주가 고관대작이었다는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哀帝시의 노비소유 제한조치는 諸侯, 列侯, 關內候 등의 서열에 따라 등차를 둠으로써철저하게 관작서열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실제 한 대 대규모 노비소유자들의 실태를 조사한 통계를 보면, 親王, 高官들만이 확인되고 있고 아울러 노비의 대부분을 수공업부문에 투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漢代의 수공업은 국가권력의 주도아래 주로 官營作坊에서 이루어졌지만, 경제성이 매우 높아 고관대작을 비롯한 많은 세력가들이 국가권력과 연계 내지 묵인하에 이에 가담하고 있었다는 것은 이미 자주 지적되었다. 또한 당시 수공업노동은 노동강도가 강하여, 官營作坊에서조차 齊民의 役으로는 감당하지 못하고 官努婢와 刑徒 등 강제 노동을 이용하고 있었다. 사적 수공업 역시 예외는 아닌 것으로, 사노비도 관노비와 유사하게 수공업에 많이 투입되었고, 따라서 노비노동은 농업생산의 주요부분이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 歷史學會 編, 노비·농노·노예(예속민의 비교사) , 일조각, 1998, PP.234∼237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1.1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