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예술론 1: Plato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대 시대의 예술 (Art)의 의미

2. 고대시대의 미

3. 영감(enthousiasmos)으로서의 시 Poesie
<Ion>에서 시인에 대한 논의
<Republic>에서 예술의 기능

4. art와 시에 대한 플라톤의 평가 (정리)

본문내용

회적 조절을 흐뜨려 뜨림으로써 이성에 의해 이끌려야 할 젊은이들을 타락하게 한다.
따라서, 이상국가에서 예술가는 추방되어야 한다.
4. art와 시에 대한 플라톤의 평가 (정리)
1. productive art - 실물을 제작하는 기술 (건축, 직공, 목공 등)
2. imitative art - 실물의 image를 제작하는 기술, 실물을 모방하는 기술 (회화, 조각 등)
- 1이 나 2 모두 이미 idea 계의 모방에 불과한 현상계의 '모방'이거나 그것의 '이차적 모방'에 다름 아니며, 그런 점에서 진리로부터 떨어져있다.
- imitative art는 '존재자'가 아니라 존재자의 '가상'을 모방하는 것이다. 만일 그것이 '실물을 눈에 보이는 대로 모방'할 경우 그것은 존재자를 있는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가상을 모방하는 것이다.' 반면, 그것을 실물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서 실물을 변형시키는 경우는 '그것은 우리를 기만시키는 것이다.' (Platon , Republic 598 b)
- 화가나 조각가는 자신이 모방하는 대상들에 대해 그것을 만들거나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들 만큼 알고있지 못하다. @ 특정한 art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art에 의해 제작된 사물이나 그에 의한 기술들에 대해 잘 알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목공의 art를 가지고 있지 못한 화가는 목수보다 침대나 의자에 대해 알지 못하며, 항해술의 art를 익히지 못한 시인은 항해사보다 그에 대해 알지 못한다. 의술을 익히지 못한 시인은 병과 그 치료법에 대해 의사만큼 알지 못한다. 어떤 것에 대해서든 그 제작자와 사용자, 그 모방자가 있는데 제작자와 사용자는 그 대상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고 알고 있음에 반해서 그의 모방자는 그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 따라서, 화가나 조각가 (나아가 시인$)는 개개의 사물이 어떤 점에서 좋고 나쁜지 알지도 못하면서 '모방'만 하는 자들이다.
3. Poesie 의 경우
- 시는 영감의 소산물이므로 시인은 그가 묘사하고 있는 대상에 대해 '알고 있지' 못하다. 곧, 그가 말하는 것은 그 대상에 대한 지식이 아니다. @Homer는 그가 묘사하는 의술, 정치술, 항해술, 전쟁술에 대해 의사, 정치가, 항해가 전사만큼 알지 못하며, 그는 그 지식을 '활용'할 수도 없었다. (Republic)
- 불행과 슬픔, 감정을 딛고 극복하려는 인간의 '이성적 부분'은 감정에 따라 행동하는 이성의 열등한 부분을 규제하고 규율해야 한다. 타인 앞에서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고, 극복하려는 것은 그 때문이다. 곧, 혼의 우등한 부분인 '이성과 법률'이 '감정과 욕망'을 규제해야 한다. 그러나, 시는 인간의 열등한 부분인 감정을 자극, 일깨워서 강화시킴으로써 선량한 자들을 파멸에 이르게 한다.
⇒ 합리적인 Mimesis(모방)으로서의 회화, 조각 등과 비합리적 영감으로서의 Poesie 는 이후 서구 예술론에 있어서 이원론(합리적/비합리적)을 낳는다. 비합리적인 '시군의 활동'과 합리적인 '회화, 조각군의 활동'이 동류의 활동으로 간주되어 '예술체계'가 성립되기 위해선
1) 비합리적인 것으로 이해되던 시가 규칙에 입각한 인간의 제작활동의 산물로 이해되야
→ 이느 Aristoteles의 시학에서 이루어진다. ('시는 보편적 인간 행위의 모방이다.')
2) '회화, 조각의 존재론적 지위가 상승되어 철학적, 인식론적 자격이 부여되어야
 → 르네상스 이후.
참고도서
<미술 : 그 취미의 역사>, (예전사) 중 부록 : 고대의 순환
<미학강의>, 오병남, 중 미, 그 말과 개념과 이론
<정신의 발견>,까치
<그리이스 인들은 신화를 믿었는가>, 솔 출판사

키워드

고대시대,   영감,   art,   ,   플라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11.1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