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 론
제 1절 문제 제기
제 2절 연구목적
제 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 2장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현황
제 1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개요
제 2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특성
1.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특징
2.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효과
제 3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국내 현황
1. 국내 현황
제 3장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문제점과 정책적 과제
제 1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문제점
제 2절 국내의 정책동향
1. 국내의 정책동향 및 평가
제 4장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방안
제 1절 문제점의 해결방안 모색
제 2절 각 분야별 활성화 방안
제 5장 결 론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참 고 문 헌
제 1절 문제 제기
제 2절 연구목적
제 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 2장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현황
제 1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개요
제 2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특성
1.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특징
2.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효과
제 3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국내 현황
1. 국내 현황
제 3장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문제점과 정책적 과제
제 1절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문제점
제 2절 국내의 정책동향
1. 국내의 정책동향 및 평가
제 4장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방안
제 1절 문제점의 해결방안 모색
제 2절 각 분야별 활성화 방안
제 5장 결 론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재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좀더 활성화 될 수 있는 전자상거래의 방안에 대하여 참고자료를 통하여 나름대로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세계 및 국내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시장규모가 1996년 518백만 달러에서 1997년 1188달러로 100%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2000년에는 353억 달러로 6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01년에는 634억 달러로 매년 배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경우도 1996년 14억원 정도에서 1997년 63억원으로 증가하고 2000년에는 57조 5,584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2001년에는 112조로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계속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정책동향에 대한 문헌 조사 결과 1997년 7월 미국 클린턴 행정부의 지구촌 전자상거래 기본계획은 현재 인터넷 교역의 절대적인 점유율을 가진 미국이 앞으로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장을 제패하겠다는 전략으로 파악되며, 이에 대한 자국 정부의 대응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암호화 및 보안 기술이 취약한 상태이다. 또한 비록 이러한 기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하더라도 현 국내의 남북관계와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인해, 암호화 및 보안 기술을 민간 기업에서 사용하는 것을 안기부에서 금지하고 있어 국내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발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계청의 자료를 통해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현재 인터넷상에 쇼핑몰을 구축한 업체가 2,166개사로 파악되며, 전문 Shop을 포함한다면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는 더 많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전자상거래의 해결되지 않은 여러 문제들에 대해 살펴 보았다.
다섯째,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것의 해결이 시급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자상거래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전자거래 진흥원이 발표한 활성화 종합대책을 참고하여 활성화 방안도 제시해 보았다.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이상과 같이 국내의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한 현안과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였으나, 현재 인터넷 전자상거래가 국내에서 활성화는 되어있으나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책이나 법,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소비자들의 인식도 아직까지는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모든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정책에 있어서도 아직까지 국내에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한 정책이 자리잡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관련 정책에 대한 효과를 연구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정에서도 앞으로의 정보화 시대에 간과해서는 안될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해 기업의 입장을 재조명해보고,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및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개선할 것을 제시하여따는데서 이 연구의 성과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활성화 방안이 정부와 기업, 그리고 소비자 간에 적극적인 협조로 이루어질 때 보다 활성화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형성하는 중심에 있는 전자상거래는 놓칠 수 없는 완벽한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 국내자료
강철배, "인터넷 電子商去來 活性化에 관한 硏究 " ,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998.
박연일,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인터넷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논문 2001.
이동원, "전자상거래 활용실태 및 소비자 만족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8.
신석기,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동의대학교 석사논문 2000.
이기영,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 : 인터넷상의 구매행동 인자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8.
한국전산원, "국가기간전산망 표준화 연구중 전자 상거래 환경을 위한 기술 조사 연구", 한국전산원, 1996.
통계청, " 전자상거래통계조사 결과", 2002. 8.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 2002. 9
심상렬, "전자상거래의 최근 동향과 전망" 광운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김성희 외,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무역경영사, 2000.3.
김재범 외, 인터넷 비즈니스, 경문사, 2000.8.
김형택, 전자상거래 마케팅전략, 삼각형, 1999.10.
남태희 외, 인터넷활용과 전자상거래, 글로벌, 2000.2.
※ 웹사이트
http://www.etnews,co.kr
http://www.shopmadang.com/main/search.cfm
http://www.storeland.co.kr/phd9908.htm
http://www.ulsanecrc.or.kr/
http://user.chollian.net/~syndrome/ec2.html
http://www.engo.or.kr/~jhkim/972project/bs1/index.html
http://my.netian.com/~kthksy/pds.htm
http://www.ccci.or.jp/cbcb/cb stat.html
http://www.mocie.go.kr/data/statistic/basic/download/indus_0207_17.htm
http://www.krnic.net
http://www.un.or.at/uncitral
http://www.Jungang.com
http://w3.naeun.co.kr
http://www.compint.com
http://internetpia.com
http://www.miti.go.jp
http://www.nso.go.kr
http://www.iitf.nist.gov/electronic commerce.htm
http://www.korealink.co.ku/computer/32-2/cci3.htm
http://www.engo.or.kr/~jhkim/972project/bs1/ec6_2.html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세계 및 국내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시장규모가 1996년 518백만 달러에서 1997년 1188달러로 100%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2000년에는 353억 달러로 6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001년에는 634억 달러로 매년 배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경우도 1996년 14억원 정도에서 1997년 63억원으로 증가하고 2000년에는 57조 5,584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2001년에는 112조로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계속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정책동향에 대한 문헌 조사 결과 1997년 7월 미국 클린턴 행정부의 지구촌 전자상거래 기본계획은 현재 인터넷 교역의 절대적인 점유율을 가진 미국이 앞으로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장을 제패하겠다는 전략으로 파악되며, 이에 대한 자국 정부의 대응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암호화 및 보안 기술이 취약한 상태이다. 또한 비록 이러한 기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하더라도 현 국내의 남북관계와 같은 사회적 문제로 인해, 암호화 및 보안 기술을 민간 기업에서 사용하는 것을 안기부에서 금지하고 있어 국내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발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계청의 자료를 통해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현재 인터넷상에 쇼핑몰을 구축한 업체가 2,166개사로 파악되며, 전문 Shop을 포함한다면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는 더 많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전자상거래의 해결되지 않은 여러 문제들에 대해 살펴 보았다.
다섯째,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것의 해결이 시급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자상거래가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전자거래 진흥원이 발표한 활성화 종합대책을 참고하여 활성화 방안도 제시해 보았다.
제 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이상과 같이 국내의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한 현안과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였으나, 현재 인터넷 전자상거래가 국내에서 활성화는 되어있으나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책이나 법,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소비자들의 인식도 아직까지는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모든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정책에 있어서도 아직까지 국내에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한 정책이 자리잡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관련 정책에 대한 효과를 연구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정에서도 앞으로의 정보화 시대에 간과해서는 안될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대해 기업의 입장을 재조명해보고, 국내 인터넷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의 지원 및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개선할 것을 제시하여따는데서 이 연구의 성과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활성화 방안이 정부와 기업, 그리고 소비자 간에 적극적인 협조로 이루어질 때 보다 활성화된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겠다.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형성하는 중심에 있는 전자상거래는 놓칠 수 없는 완벽한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 국내자료
강철배, "인터넷 電子商去來 活性化에 관한 硏究 " ,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998.
박연일,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인터넷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논문 2001.
이동원, "전자상거래 활용실태 및 소비자 만족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8.
신석기,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동의대학교 석사논문 2000.
이기영, "인터넷을 이용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 : 인터넷상의 구매행동 인자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8.
한국전산원, "국가기간전산망 표준화 연구중 전자 상거래 환경을 위한 기술 조사 연구", 한국전산원, 1996.
통계청, " 전자상거래통계조사 결과", 2002. 8.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전자상거래 활성화 종합대책" 2002. 9
심상렬, "전자상거래의 최근 동향과 전망" 광운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김성희 외,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무역경영사, 2000.3.
김재범 외, 인터넷 비즈니스, 경문사, 2000.8.
김형택, 전자상거래 마케팅전략, 삼각형, 1999.10.
남태희 외, 인터넷활용과 전자상거래, 글로벌, 2000.2.
※ 웹사이트
http://www.etnews,co.kr
http://www.shopmadang.com/main/search.cfm
http://www.storeland.co.kr/phd9908.htm
http://www.ulsanecrc.or.kr/
http://user.chollian.net/~syndrome/ec2.html
http://www.engo.or.kr/~jhkim/972project/bs1/index.html
http://my.netian.com/~kthksy/pds.htm
http://www.ccci.or.jp/cbcb/cb stat.html
http://www.mocie.go.kr/data/statistic/basic/download/indus_0207_17.htm
http://www.krnic.net
http://www.un.or.at/uncitral
http://www.Jungang.com
http://w3.naeun.co.kr
http://www.compint.com
http://internetpia.com
http://www.miti.go.jp
http://www.nso.go.kr
http://www.iitf.nist.gov/electronic commerce.htm
http://www.korealink.co.ku/computer/32-2/cci3.htm
http://www.engo.or.kr/~jhkim/972project/bs1/ec6_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