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설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성전 및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 선고와 고발

본문내용

다면("너희 때문에", 즉 지도자들, 제사장들, 예언자들), 렘 7,9a*에서는 특정인을 선정하지 않고 일반적이고 포 괄적인 죄를 문제삼는다.
2) 지평의 확대: 도성 예루살렘 혹은 시온의 멸망을 선고한 미가(3,12)와 비교할 때, 예레미야 는 도성에 대한 심판 선고의 지평을 "땅의 모든 민족들"( )로 확대한다 (26,6b).
3) 심판 선고의 첨예화: 미 3,12에서 예루살렘 혹은 성전에 대한 심판이 수동태나 비인칭으로 표기된 반면에, 렘 7,14; 26,6; 9,10에서는 야웨 자신이 선고한다. 이 점에 있어서 예레미야 는 미가에 비해서 그의 심판 선고를 첨예화한다.
4) 확대: 미 3,12b 에서와 비슷하게 예루살렘의 황폐화의 묘사를 위해서 예레미야는 렘 9,10a 에서 미가서에는 나타나지 않는 "시랑의 집"이라는 표현을 덧붙여서 사용한다.
예레미야는 호세아의 성취되지 않은 구원의 약속을 전수한 것처럼
) 렘 3,12.22; 31,3.20 등등. 참조, W. H. Schmidt, Einfuhrung, 209; 동저자/W. Thiel/R. Hanhart, 64; 덧붙여서 최근에 N. Kilpp, Niederreissen und aufbauen. Das Verhaltnis von Heilsverheissung und Unheilsverkundigung bei Jeremia und im Jeremiabuch, 1990, 133ff, 특히 163.
, 예루살렘과 성전에 대한 미가의 심판 선고 역시 계승하고, 그것을 계속 발전시킨다. 미가의 심판 선포가 미가의 시대에 아직 성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렘 26,17-19).
호세아의 영향이 주로 예레미야의 초기 활동시기(기원전 약 626-622년)에 주어진 반면에, 미가의 영향은 예레미야 활동의 초기
)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예레미야의 초기 활동시기에 해당하는 본문 중 다음의 본문이 미가의 영향을 받았다: 렘 4,8. 31; 5,1. 4f. 13a. 31; 6,11. 14f. 24. 26.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위해서는 다음을 참조하라. Jun-Hee CHA, Micha und Jeremia, 10-23. 31-46. 64-73. 78-82. 99-104. 106-111. 116-123.
는 물론 그 이후(기원전 약 608년 이후)에도 발견된다.
) 미가의 영향이 예레미야의 초기와 그 이후에도 발견된다고 보는 필자의 논지가 옳다면, 미가전승의 영향력이 예레미야서에서 단지 요시아 시대 이후로만 국한된다는 하르트마이어의 주장은 설득력을 상실하게 된다(C. Hardmeier, 184).
또한 하르트마이어가 주장하는 것 같이 예레미야가 이미 문서로 집필된 미가의 메시지 즉, 미가서를 읽었겠는가?
) C. Hardmeier, 184.
물론 이 점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두 예언자의 선포에서 나타난 일치점과 변화, 공통점과 차이점들로 보아 미가전승에 대한 예레미야의 수용은 문서적 의존보다는 오히려 구전전승(mundliche berlieferung)에 의존하였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으로 보인다.
Jeremiah's Temple Sermon and Micah's Tradition
Cha, Jun-Hee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7th century prophet Jeremiah and his senior prophets of 8th century has emerged as one of major trends in the study of prophets since the study of G. von Rad on the same subject. Much have been discus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remiah and Amo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eremiah and Hosea. Ye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until recentl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eremiah and Micah. This study, confining itself to "Temple-Sermon" aims to demonstrate that Jeremiah's "Temple Sermon" bears the influence of Micah's tradition. For this purpose exegesis of the following verses will be made: Mi 3,11f and Jer 7:4. 9a*. 10a*. 11a*b. 12. 14a *b; 26,6. 12; 9,10.
The two prophets show a unity in contents, structure, thinking, choice of words and in intention. However, some differences are also found in the words of Jeremiah: expansion of those who were stigmatized as sinners; expansion of horizon; being radical of the pronouncement of judgment; expansion of expression. Such unity and difference as this shows that Jeremiah has succeeded what Micah had spoken. Therefore, the thesi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the following: As Jeremiah inherited unfulfilled promise of salvation by Hosea, he has also succeeded Micah's pronouncement of judgment against Jerusalem Temple and he further develops it, for Micha's pronouncement of judgment was not fulfilled in his time.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1.14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