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Ⅱ.본론 1
1.라면의 정의 1
2.라면의 유래 1
2-1. 라면의 어원 1
2-2. 라면의 기원 2
2-3.우리나라에 라면이 들어온 때 2
3.한국식생활에서의 라면문화 3
3-1. 라면문화가 발달할 수 밖에 없는 이유 3
3-2. 식생활 변화의 5단계 : 라면은 어디에 속하는가? 3
3-3. 우리식생활에서의 라면문화 4
4. 라면의 영양학적 측면 4
4-1. 라면에 영양학적 논란 5
4-2. 라면과 다른 식품과의 영양관계 5
4-3. 한국인의 1일 영양권장량 6
5.우리나라와 외국의 라면과의 비교 7
5-1.한국의 라면과 일본의 라면과의 비교 7
5-2.한국의 라면과 중국의 면문화의 비교 7
6. 세계 각국의 라면의 소비실태 8
6-1.라면의 지속적 증가 추세 8
6-2.각국의 라면 소비실적 8
6-3.1 인당 연간 소비량 8
7.라면에 대한 영양학적 상식 9
7-1.라면이 퍼지는 이유 9
7-2.라면이 꼬불꼬불 한 이유 9
7-3.라면의 영양가(라면의 성분) 9
7-4.라면을 먹고자면 얼굴이 붓는 이유 9
Ⅲ.결론 10
Ⅱ.본론 1
1.라면의 정의 1
2.라면의 유래 1
2-1. 라면의 어원 1
2-2. 라면의 기원 2
2-3.우리나라에 라면이 들어온 때 2
3.한국식생활에서의 라면문화 3
3-1. 라면문화가 발달할 수 밖에 없는 이유 3
3-2. 식생활 변화의 5단계 : 라면은 어디에 속하는가? 3
3-3. 우리식생활에서의 라면문화 4
4. 라면의 영양학적 측면 4
4-1. 라면에 영양학적 논란 5
4-2. 라면과 다른 식품과의 영양관계 5
4-3. 한국인의 1일 영양권장량 6
5.우리나라와 외국의 라면과의 비교 7
5-1.한국의 라면과 일본의 라면과의 비교 7
5-2.한국의 라면과 중국의 면문화의 비교 7
6. 세계 각국의 라면의 소비실태 8
6-1.라면의 지속적 증가 추세 8
6-2.각국의 라면 소비실적 8
6-3.1 인당 연간 소비량 8
7.라면에 대한 영양학적 상식 9
7-1.라면이 퍼지는 이유 9
7-2.라면이 꼬불꼬불 한 이유 9
7-3.라면의 영양가(라면의 성분) 9
7-4.라면을 먹고자면 얼굴이 붓는 이유 9
Ⅲ.결론 10
본문내용
면 1개의 면발의 길이가 56m이니까 38억개의 면발을 이으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인 384,800km의 553배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길이가 된다. 이것만 보더라도 라면없인 못산다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 라면은 현재 시판되는 종류만 해도 120여개(97년 기준)나 된다.
그리고, 1년 판매개수 38억개에 달한다. 실로 어마어마한 양이 아닐 수 없다.
7.라면에 대한 영양학적 상식
7-1.라면이 퍼지는 이유
밀가루의 주성분은, 크게 보면 전분질과 단백질로 나눌 수 있다. 흔히 집에서 종이 등을 붙이기 위해 밀가루로 풀을 만들 때 점성을 갖는 것(전분의 호화)은 밀가루의 전분질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풀이 굳어지고 갈라지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전분의 노화라고 하는데 바로 이와 같은 현상이 라면에서도 일어나는 것이다. 라면은 제조공정 중에 이미 부분적인 호화과정을 거친 후, 소비자들이 조리를 할 때 부분적인 호화가 다시 일어나 더욱 쫄깃한 면발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 등의 현상이 일어나면서 결국은 면의 쫄깃함이 상실되는 것이다. 결국, 조리라는 것은 면이 뜨거운 물을 흡수하면서 전분이 호화 되는 것을 뜻하는 것이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물의 흡수량이 증가되어 면의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면이 퍼지는 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7-2.라면이 꼬불꼬불 한 이유
라면이 국수처럼 일직선이라면 유통 중에 다 부서지고 모양이 커져서 다루기에 불편하기 때문에, 잘 부서지지 않고 다루기도 편하게 하기 위해 면을 꼬불꼬불하게 하였습니다. 라면을 꼬불꼬불하게 만드는 방법은, 라면을 날라주는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라면이 나오는 속도보다 느리게 함으로써 라면가닥이 위로 겹쳐 올라가게 하여 만드는 것입니다. 또 그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위 쪽에 칸막이를 해서 라면이 똑같은 높이로 올라오게 하여 모양도 예쁘게 만들어 줍니다. 아울러 라면이 꼬불꼬불하면 그 사이의 공간으로 뜨거운 물이 들어가 라면을 끓이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해주기도 하는 것입니다.
7-3.라면의 영양가(라면의 성분)
라면 100g에는 422kcal 내외의 열량이 들어있다. 이중 탄수화물이 65g, 단백질 9g, 지방 14g이 함유되어 있다. 보통 시판중인 라면 1봉지의 중량이 100g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대충 이 정도의 영양가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다만, 일부 영양소가 부족한 점도 있다고도 한다. 때문에 라면을 먹을 때 김치나 달걀 같은 것을 함께 먹는다면 더욱더 좋은 영양 보충식이 된다. 모든 음식이 마찬가지이지만, 사람이 흰 쌀밥만 먹는다고 가정하면 부족한 영양소로 인해 질병이 발생될 수도 있는 것이다. 육류만을 아니면 빵만을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실제로 흰 쌀밥만, 육류만, 빵만을 어떤 부수적인 side dish(예:반찬류) 없이는 섭취가 불가능 한 것을 감안하더라도 라면은, 그 자체로서 맛있게 한 끼의 식사대용이 가능하므로 정말로 우수한 대용식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몇 년 전에 신문과 방송을 통해 널리 보도되었던, 라면만을 매일 30여 년간 주식으로 드셨던 분(박 병구 노인:강원도 화천군 거주)이 남과 다름없이 건강을 유지하시고 장수를 누리시는 것을 보더라도, "라면은 무해"하며 나아가 "영양상으로도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임을 잘 알 수 있는 것이다.
7-4.라면을 먹고자면 얼굴이 붓는 이유
다이어트에온 신경을 쓰고 있는 여성들에게 얼굴이 붓는다 하면 큰일일 것이다. 저녁때 라면을 먹고 자면 아침에 얼굴이 퉁퉁 붓는다는 많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있다. 라면 때문에 얼굴이 붓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라면의 맛은 우리 입맛에 맞게 대부분 얼큰하게 제조 되었다. 따라서 라면을 저녁 무렵에 먹게 되면 스프의 맵고 짠맛을 없애기 위해 그만큼의 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고 이를 몸 밖으로 다 배출 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얼굴이 붓는 것이다. 따라서 늦은 저녁시간에는 되도록 라면 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Ⅲ.결론
라면은 자취생에게 신이 내린 음식이라는 말을 들어봤고 나 또한 그렇게 생각한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 대해서도 라면은 영양가와 시간의 절약을 줄 수 있는 좋은 식품이라고 생각한다.
라면은 한국식생활에 있어서 많은 식생활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즐기는 우리의 라면은 다시한번 말하지만 영양학적으로도 손색이 없는 식품이며, 때론 비상식량으로, 애용하는 식품이다. 라면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인도, 미국 등지에서도 많은 소비형태를 보인다. 라면의 조리방법 등에서 문화적 차이를 느낄 수 있었으며, 우리만의 독특한 라면문화를 추구하는 것이 우리식생활을 이끄는 것이라고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문에서도 다룬 내용이지만 라면문화를 교수님강의를 통해 들은 수업내용중 식생활의 발달단계와 같이 생각해 봤을 때 비슷한 점이 있음을 알면서 서로 연관지어 생각도 해보았다. 결론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라면은 전천후 식품이며 성수기, 비수기가 따로 없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함께할 수 있는 식품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초, 우리나라에 라면이 처음 선보인 후 생존, 인지, 선택의 단계를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눈부신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온 것이다.
이렇듯 우리식생활에서 라면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의 입맛을 아름답게 유지시켜 주었다. 그리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많은 종류의 라면의 성분만을 조사하기 보다는 라면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알아보면서 과거 잘 모르고 지냈던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먹기 쉬운 제품이고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식품-라면-을 하찮게 보아서는 안될 것이다. 요즘 우리사회는 앞에서 살펴봤듯이 어느정도 식생활에서도 풍족한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가까이는 북한 동포에서부터 세계의 많은 기아에 허덕이는 사람들을 생각하여, 먹을 것을 아끼고 소중히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인간의 생명과 연결되는 먹거리에 대해서 겸손한 마음과 선택시 조금이라도 더 깐깐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1년 판매개수 38억개에 달한다. 실로 어마어마한 양이 아닐 수 없다.
7.라면에 대한 영양학적 상식
7-1.라면이 퍼지는 이유
밀가루의 주성분은, 크게 보면 전분질과 단백질로 나눌 수 있다. 흔히 집에서 종이 등을 붙이기 위해 밀가루로 풀을 만들 때 점성을 갖는 것(전분의 호화)은 밀가루의 전분질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풀이 굳어지고 갈라지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전분의 노화라고 하는데 바로 이와 같은 현상이 라면에서도 일어나는 것이다. 라면은 제조공정 중에 이미 부분적인 호화과정을 거친 후, 소비자들이 조리를 할 때 부분적인 호화가 다시 일어나 더욱 쫄깃한 면발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 등의 현상이 일어나면서 결국은 면의 쫄깃함이 상실되는 것이다. 결국, 조리라는 것은 면이 뜨거운 물을 흡수하면서 전분이 호화 되는 것을 뜻하는 것이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물의 흡수량이 증가되어 면의 탄력성이 떨어지면서 면이 퍼지는 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7-2.라면이 꼬불꼬불 한 이유
라면이 국수처럼 일직선이라면 유통 중에 다 부서지고 모양이 커져서 다루기에 불편하기 때문에, 잘 부서지지 않고 다루기도 편하게 하기 위해 면을 꼬불꼬불하게 하였습니다. 라면을 꼬불꼬불하게 만드는 방법은, 라면을 날라주는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라면이 나오는 속도보다 느리게 함으로써 라면가닥이 위로 겹쳐 올라가게 하여 만드는 것입니다. 또 그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위 쪽에 칸막이를 해서 라면이 똑같은 높이로 올라오게 하여 모양도 예쁘게 만들어 줍니다. 아울러 라면이 꼬불꼬불하면 그 사이의 공간으로 뜨거운 물이 들어가 라면을 끓이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해주기도 하는 것입니다.
7-3.라면의 영양가(라면의 성분)
라면 100g에는 422kcal 내외의 열량이 들어있다. 이중 탄수화물이 65g, 단백질 9g, 지방 14g이 함유되어 있다. 보통 시판중인 라면 1봉지의 중량이 100g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대충 이 정도의 영양가를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다만, 일부 영양소가 부족한 점도 있다고도 한다. 때문에 라면을 먹을 때 김치나 달걀 같은 것을 함께 먹는다면 더욱더 좋은 영양 보충식이 된다. 모든 음식이 마찬가지이지만, 사람이 흰 쌀밥만 먹는다고 가정하면 부족한 영양소로 인해 질병이 발생될 수도 있는 것이다. 육류만을 아니면 빵만을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실제로 흰 쌀밥만, 육류만, 빵만을 어떤 부수적인 side dish(예:반찬류) 없이는 섭취가 불가능 한 것을 감안하더라도 라면은, 그 자체로서 맛있게 한 끼의 식사대용이 가능하므로 정말로 우수한 대용식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몇 년 전에 신문과 방송을 통해 널리 보도되었던, 라면만을 매일 30여 년간 주식으로 드셨던 분(박 병구 노인:강원도 화천군 거주)이 남과 다름없이 건강을 유지하시고 장수를 누리시는 것을 보더라도, "라면은 무해"하며 나아가 "영양상으로도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임을 잘 알 수 있는 것이다.
7-4.라면을 먹고자면 얼굴이 붓는 이유
다이어트에온 신경을 쓰고 있는 여성들에게 얼굴이 붓는다 하면 큰일일 것이다. 저녁때 라면을 먹고 자면 아침에 얼굴이 퉁퉁 붓는다는 많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있다. 라면 때문에 얼굴이 붓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라면의 맛은 우리 입맛에 맞게 대부분 얼큰하게 제조 되었다. 따라서 라면을 저녁 무렵에 먹게 되면 스프의 맵고 짠맛을 없애기 위해 그만큼의 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고 이를 몸 밖으로 다 배출 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얼굴이 붓는 것이다. 따라서 늦은 저녁시간에는 되도록 라면 뿐만 아니라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Ⅲ.결론
라면은 자취생에게 신이 내린 음식이라는 말을 들어봤고 나 또한 그렇게 생각한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 대해서도 라면은 영양가와 시간의 절약을 줄 수 있는 좋은 식품이라고 생각한다.
라면은 한국식생활에 있어서 많은 식생활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즐기는 우리의 라면은 다시한번 말하지만 영양학적으로도 손색이 없는 식품이며, 때론 비상식량으로, 애용하는 식품이다. 라면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인도, 미국 등지에서도 많은 소비형태를 보인다. 라면의 조리방법 등에서 문화적 차이를 느낄 수 있었으며, 우리만의 독특한 라면문화를 추구하는 것이 우리식생활을 이끄는 것이라고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문에서도 다룬 내용이지만 라면문화를 교수님강의를 통해 들은 수업내용중 식생활의 발달단계와 같이 생각해 봤을 때 비슷한 점이 있음을 알면서 서로 연관지어 생각도 해보았다. 결론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라면은 전천후 식품이며 성수기, 비수기가 따로 없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함께할 수 있는 식품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초, 우리나라에 라면이 처음 선보인 후 생존, 인지, 선택의 단계를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눈부신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온 것이다.
이렇듯 우리식생활에서 라면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의 입맛을 아름답게 유지시켜 주었다. 그리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많은 종류의 라면의 성분만을 조사하기 보다는 라면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알아보면서 과거 잘 모르고 지냈던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먹기 쉬운 제품이고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식품-라면-을 하찮게 보아서는 안될 것이다. 요즘 우리사회는 앞에서 살펴봤듯이 어느정도 식생활에서도 풍족한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가까이는 북한 동포에서부터 세계의 많은 기아에 허덕이는 사람들을 생각하여, 먹을 것을 아끼고 소중히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인간의 생명과 연결되는 먹거리에 대해서 겸손한 마음과 선택시 조금이라도 더 깐깐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