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가지 정신(의식과 자각)의 개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의식이란 무엇인가? (What is Consciousness?)

2. 현상적 정신 개념과 심리학적 정신 개념

3. 심적 용어들의 이중성 (The Double Life of Mental Terms)

4. 두 가지 심신문제 (The two mind-body problems)

5. 두가지 의식 개념

본문내용

aware한다는 것을 바로 함축한다. 동물이나 언어를 못 가진 인간의 의식 경험을 가지면서도 그것을 보고할 수 없을 수 있지만, 그러한 존재도 일정한 정도의 awareness를 가질 것이다. Awareness는 보고 능력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의식은 언제나 awareness에 의해서 동반되지만 awareness는 언제나 의식에 의해서 동반될 필요가 없다. 어떤 사실을 aware하면서도 어떤 연결된 현상적 경험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awareness라는 개념을 제한해서 그것에 언제나 현상적 의식과 외연이 일치하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onsciousness와 awareness의 개념적 coherent)
awareness 개념은 방금 열거된 다양한 심리학적 의식 개념들 거의 전부를 포괄한다. 내성은 내적 상태에 대한 awareness라고 분석되는 것이다. acess 개념을 통하여 해명될 수 있는 의식의 기능적 개념이 있다는 생각은 블록에 의해서 제시되었다. 그는 “현상적 의식”과 정보의 “접근 의식”이라는 구별을 한다. 블록의 접근 의식은 여기서 논하는 awareness와 거의 일치한다. 뉴엘도 거의 비슷하게 awareness와 consciousness를 구별한다. 그는 awareness를 “주관이 자신의 행동이 어떤 지식에 의존하도록 만드는 능력”이라고 설명하면서 이 개념을 비기능적 현상으로서의 의식과 구별한다.
의식의 설명과 자각(awareness)의 설명
awareness도 다른 심리학적 개념들과 마찬가지로 형이상학적 문제를 거의 제기하지 않는다. 의식의 심리학적 개념이 제기하는 문제들은 기억, 학습, 믿음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같은 차원이다. 물론 awareness 개념은 완전히 투명하지 않아서 개념에 대한 중요한 철학적 분석의 여지는 많이 있다. 더구나 이와 관련된 인지과학의 연구 영역은 엄청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프로그램의 개요는 비교적 명료하다.
의식이 정신의 과학에서 정말로 어려운 문제인 것은 현상적 의식 때문이다. 이 문제는 차원이 다르다. 의식 체계의 물리적 계산적 기능들을 설명한 후에도 우리는 여전히 왜 그 체계가 의식적 경험을 갖는가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주장은 난점이있다.) 심리철학(심리학)의 문헌들에서 심리학적 의식과 현상적 의식을 혼동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의식에 대하여 아주 만족한 설명에 멀리나마 근접한 설명들은 보통 심리학적 측면에 관한 것, 즉 현상적 측면은 대게 건드리지 않았다.
최근의 의식에 대한 철학적 분선들은 주로 비현상적 측면들을 다루고 있다. 로젠탈(Rosenthal)은 심적 상태가 의식적인 것은 심적 상태에 대한 상위 사고 있을 때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내성적 의식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쓸모 있겠으나 현상적 의식의 설명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데닛(Dennete)은 그의 책의 상당부분을 그가 의식의 설명이라고 제시하는 세세한 인지 모델을 개관하는데 바치고 있는 이 모델은 심적 상태를 언어적으로 보고하는 능력을 다룬다. 암스트롱은 의식이 자기의 정신에 대한 기능주의 이론의 장애라고 생각하고 이 개념을 어떤 자가-복제(self-scanning) 매커니즘으로 분석한다. 이것은 자의식과 내성에 대한 쓸모있는 설명이지만 현상적 의식은 접어두고 있다. 암스트롱은 지각적 의식과 내성적 의식 양자에 대해서 멀하는데 단지 awareness의 측면만을 다룬다. 이렇게 해서 그의 기능주의적 이론에 진짜 문제가 되는 의식은 개념의 모호성에 기대서 비켜간다.
“의식”에 대한 다른 글들은 주로 자의식이나 내성적 의식을 다루고 있다. 반 굴릭은 의식이 “반성적 메타심리학적 정보”의 소유라는 개념으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시사하는데 이것은 기껏해야 심리학적 개념에 대한 분석이고, 현상적 측면은 그러한 분석에 의해서 다루어지지 않음을 인정한다. 마찬가지로 제인스의 의식 이론은 우리 자신의 사고에 대한 awareness만을 다룬다. 호프스태터는 의식에 대해서 재미있는 것을 말하지만 그의 관심은 경험 자체보다는 내성과 자유의지 그리고 자아감등이다.
의식에 대한 심리학자들의 논의에서 현상적 개념과 심리학적 개념을 주의깊게 구별하지 않고 있다. 심리학 연구가 다루는 문제는 주로 내성, 중의력, 자의식 등 awareness한 측면만을 다룬다. 심리학에서는 최근까지도 의식의 심리학적 측면조차 그리 좋은 명성을 갖지 못했다. 이것은 아마도 그 개념이 불명료한 탓과 내성과 같은 상위 현상과 관련된 난점 때문일 것이다.
심리학 연구가 최근에 다시 의식의 문제로 집중되는 것 같다. 마치 의식의 심리학적 측면은 실제로 활발한 연구 주제가 된 듯하며 연구자들은 “의식”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데 겁을 내지 않는 것 같다. 그러나 현상적 의식은 여저히 중심문제에서 제쳐져 있다. 이것은 이해할만도 한데, 실험심리힉의 방법들이 어떻게 다양한 종류의 awareness를 이해하는 데에 이를 수 있는지는 감이 잡히는데, 그것이 어떻게 현상적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지는 생각하기 쉽지 않다.
인지과학의 모델들은 의식의 심리학적 측면들을 잘 설명한다. 물리 체계가 자신의 내적 상태를 내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 또는 그것이 환경에서 접수하는 정보들을 합리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또는 그것이 환경에서 접수하는 정보들을 합리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또는 그것이 처음에는 한 지점에 주의를 집중하고 다에는 다음 위치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 등에는 엄청난 형이상학적 문제가 없다. 한 적절한 기능적 설명이 이런 능력들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충분히 명료하다. 비록 올바른 설명에 도달하려는 몇십년 또는 몇 세기가 걸리더라도 말이다. 그러나 진짜 어려운 문제는 현상적 의식의 문제이며, 이것은 지금까지 제시된 심리학적 의식의 설명에 의해서 전혀 건드려지지 않았다.
앞으로 의식이라는 말은 전적으로 현상적 의식만을 가리켜서 사용할 것이다. 심리학적 개념을 사용하려 할 때에는 “심리학적 의식” 또는 “awareness"를 사용하겠다. 앞으로 주로 다루게 될 문제는 현상적 의식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1.1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