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최면 - 무의식의 세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의식
1. 의식
2. 비의식
3. 전의식
4. 무의식

Ⅲ. 꿈
1. 수면
2. 꿈
3.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4. 융의 꿈의 해석

Ⅳ. 최면
1. 최면
2. 최면현상
3. 최면반응성과 암시감응성
4. 망각과 최면
5. 최면의 활용과 방법
6. 최면수사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교육분야에서 활용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집중시키고, 흥미를 유발하는데 최면을 이용할 수 있다. 학생들 자신이 최면을 배워 공부할 때 이완을 하고, 상상을 통해서 자신감을 강화시키고, 불안을 잘 다루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5) 사업에 활용
사업상 브리핑에서 자기 최면을 하여 자신의 생각을 더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직장 상사나 아랫사람과 의사소통을 잘 하여 사업상의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다.
(6) 스포츠에서 활용
정신 집중을 하고 신체를 잘 통제하는데 최면을 활용한다. 시합 중에 불안과 긴장을 최면을 통해서 풀 수 있다. 과거 최면을 통해서 스코어보다 시합에 더 집중을 하여 윔블던에서 우승한 호주에 무명의 테니스 선수가 있었다. 자신감을 키우는 암시를 줄 수 있다.
(7) 다이어트 치료
최면 하에서 비만의 심리적 원인을 분석하여 제거해주고, 여러 가지의 암시와 이미지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다이어트를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최면 다이어트는 다이어트를 하는데 따르는 부작용 및 음식을 참아야 하는 고통과 어려움을 제거한다. 음식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많이 먹지 않아도 살이 찌는 내인성 비만증의 원인을 제거하여 요요 현상 없이 지속적으로 스스로가 몸과 마음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외부적 칼로리와 내부적 칼로리의 균형 있는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적인 안정과 편안함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최면에서 깨어난 뒤에도 암시는 잠재의식 속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최면 상태에서의 여러 가지 암시는 그대로 작용하게 되어 놀랄 만큼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다.
6. 최면수사
최면수사(forensic investigation)란 범죄수사에 최면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법최면(forensic hypnosis)과 같은 말로 사용되고 있다. 최면수사는 범죄현장에 사건 해결을 위한 단서가 남아있지 않고, 피해자나 목격자의 기억조차도 시간의 경과나 공포당황흥분어둠 등의 주변여건으로 범죄 당시의 상황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할 때에 최면을 사용하여 기억을 재생케 함으로써 수사의 단서를 제공하거나 수사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이미 미국에서는 1897년에 일어난 한 살인사건에서 피고인이 자신의 무죄를 밝히려고 최면전문가를 감정인으로 채택하여 활용된 이래 최면은 각종 범죄수사 및 법정에서 빈번히 활용되어지고 있다. 로스엔젤레스 경찰의 최면전문가인 레이져(M. Reiser)는 살인, 강간, 유괴 등과 같은 사건들의 약 60%에서 최면의 도움으로 새롭고 가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국내의 수사기관들도 이러한 최면을 이용한 기억 재생에 관심을 갖고 특히 심리학을 전공한 수사관들을 중심으로 직접 최면을 공부하여 범죄수사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미 시작되었다.
심리학자에 의하면, 인간이 이용하는 정신적 능력은 10%도 채 안되며, 나머지는 잠재 상태로 남아있다고 한다. 실제로 인간의 경험은 자기의 신념체계(belief system)에 의해 규정되고 통제되는데, 이러한 신념은 자기 능력의 인위적 한계를 설정한다. 그러나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던 것들이 일단 실제로 한번 깨어지면 이후에는 더 쉽게, 더 빨리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최면은 정신의 영역에서 개념적인 한계를 깨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최면은 심리학적 지식을 토대로 적절히 이용하면 억압되어 있는 중요하고 외상적인 기억들을 잘 인출하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목격자나 피해자가 기억상실에서 벗어나게 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증인에게서 중요한 세부사항에 대한 기억을 강화시키는데도 최면이 이용된다.
Ⅴ. 결론
우리는 하루 24시간 중 과연 몇 시간이나 자신이 직접 의식하면서 살아갈까? 어느 누구도 자신이 모든 시간, 모든 장소에서 철저히 계획하고 의식해서 살아가고 있다고 확신하지는 못할 것이다. 무의식이 우리를 지배하는 시간은 의식이 지배하는 시간보다 더 길면 길었지, 짧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처럼 우리 삶과 함께 하고 있는 무의식의 정체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의식의 정체는 아직도 확실히 드러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밝혀진 부분보다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더 많으며, 우리의 지각 그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는 아무도 장담하지 못한다. 프로이트나 융, 라캉 등의 학자들이 나름대로 그 정체를 밝혀내고 이론화 하였지만, 그들의 주장에서도 미흡한 점은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꿈과 최면은 무의식이 밖으로 표출되는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우리는 이 둘을 이용해 표출되는 무의식을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무의식이 가지는 영역이 불분명한 만큼 그것이 제시해줄 미래 역시 불분명하다. 미래에 뇌과학이나 심리학이 고도로 발달하여 무의식의 정체가 확실해지면, 우리는 어느 누구나 인생의 목표로 삼는 자아성찰과 그 실현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다. 무의식이야 말로 자기 안에 내재된 가장 진실한 자기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참 고 문 헌
고제원. 1998. 『최면수사』,「과학수사 연보」, 제6호, 육군종합행정학교.
고제원. 『최면수사에 관한 고찰(A Study of Forensic Hypnosis)』
류재형. 1999. 『최면의 여러 가지 유도기법』,「제4차 대한최면수사학회 세미나」, 대한법최면수사학회.
박희관. 1999. 『최면 암시와 유도』,「제6차 대한최면수사학회 세미나」, 대한법최면수사학회.
이부영. 1998. 『분석심리학』, 일조각.
이부영. 1983. 『정신의학보』, 제8권 제4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Sigmund Freud. 2003. 김인순 역. 『꿈의해석』, 열린책들.
R. J. Gerring. 2004. 박권생 외역. 『심리학과 삶』, 시그마프레스.
Carl Gustav Jung. 2000. 이부영 역.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목 차
Ⅰ. 서론
Ⅱ. 의식
1. 의식
2. 비의식
3. 전의식
4. 무의식
Ⅲ. 꿈
1. 수면
2. 꿈
3.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4. 융의 꿈의 해석
Ⅳ. 최면
1. 최면
2. 최면현상
3. 최면반응성과 암시감응성
4. 망각과 최면
5. 최면의 활용과 방법
6. 최면수사
Ⅴ.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0.2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