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과 칭찬의 부정적 효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보상과 칭찬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문제 제기

Ⅱ. 보상과 칭찬의 부정적 효과
1. 보상의 부정적 효과
2. 칭찬의 부정적 효과

Ⅲ. 보상과 칭찬의 긍정적 사용 가능성

Ⅳ.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본문내용

사숙고한 전략이고 책이나 세미나에서 익힌 것처럼 보이는 속임수일 때, 칭찬은 반론이 가능해진다. 칭찬이 진짜라고 느껴질 때, 칭찬으로부터 통제적인 느낌을 받지 않을 것이다.
④경쟁을 일으키는 칭찬은 피하라.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칭찬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가령 "네가 우리 반에서 최고다"와 같은 말은 쓰지 말아야 한다. 이런 말의 가장 해로운 효과는, 다른 사람을 잠재적 협력자로 보기보다 경쟁자로 보게 만든다. 더 나아가서, 이런 말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른 사람을 이긴 것으로 자신의 가치를 매기게 한다.
⑤공개적인 칭찬은 피하라.
경쟁은 칭찬을 공개적으로 함으로써 촉진된다. 가령, 아이들 앞에서 "선생님은 철수처럼 멋지게, 조용히 공부할 준비를 하고 앉아 있는 어린이가 좋아요"라고 말한다고 하자. 이것은 아이들 사이에 경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사실 교사는 철수를 칭찬하는 것이라기보다 다른 아이들의 행동을 조종하려고 철수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논평은 사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Ⅳ.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보상이 갖고 있는 문제를 지적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자주 거론된다.
어느 노인의 집 앞에 매일 아이들이 와서 놀았다. 아이들은 노인을 괴롭히기라도 하려는 듯, 시끄럽게 떠들고 공놀이를 하였다. 그러다가 유리창을 깨기도 하였다. 이를 참다못한 노인은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 내었다. 하루는 그 아이들 몇을 불러서 가능한 한 더 시끄럽게 굴면 500원을 주겠다고 하였다. 아이들은 이게 웬 떡인가 싶었다. 그렇지 않아도 늘 노인 집 앞에서 떠들며 노는데 돈까지 준다는 것이다. 다음날 아이들은 신나게 노인의 집 앞에서 놀았다. 그런데 그 다음날 노인은 이제는 300원밖에 줄 수 없다고 말하였다. 그래도 아이들은 아무 것도 없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그 다음날, 노인은 돈을 더 줄이겠다고 말하고 앞으로는 안 주게될 거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아이들은 아무런 대가없이 떠들지는 못하겠다고 대답하고 다시는 노인의 집 앞에서 놀지 않았다.
이 이야기의 원래 형태는 M. Casady, "The Tricky Business of Giving Rewards," Psychology Today, 8. 52(1975)에 나온다.
심리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어떻게 보상이 아이들의 관심을 행동의 내재적 가치로부터 보상 자체로 변하게 할 수 있는가를 설명해 준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아이들의 학습에 대한 관심을 손상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학습을 할 때 보상을 함으로써 보상에 관심이 쏠리도록 하는 것임을 입증해 준다는 것이다.
이런 예는 콘의 보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적절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보통 일반적인 학급운영을 위한 지침서들은 인센티브를 적절히 제공함으로써 교사의 학급장악력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 말도 틀린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이러한 학급 장악력이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학생에게 무슨 도움이 되느냐는 것이다. 이것은 교사가 학급을 자기 손안에 쥐고 흔드는 데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아이들이 자율적인 인간으로 성장하게 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데 문제 제기의 핵심이 있는 것이다.
위에 인용된 이야기에서도 노인은 보상의 방법을 역으로 사용하여 아이들을 적당히 제어하였다. 노인의 의도대로 되었지만, 아이들은 노인에 의해서 자기도 모르게 통제 당한 것이다. 그렇다고 아이들이 노인의 집 앞에서 시끄럽게 군것을 반성한 것도 아니고 자신들의 잘못을 인지한 것도 아니다. 아이들은 노인에게 불쾌한 감정만을 가졌을 뿐이며 노인과 아이들 사이에 어떤 도덕적 관계도 형성되지 않았다.
이 이야기는 지금까지 논의한 보상의 폐해가 무엇인지를 아주 간단하게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학교에서는 자주 보상과 처벌의 방법으로 아이들을 통제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 통제는 여러 과목의 학습을 성취시키고자 하는 것과도 관련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행동 통제는 도덕교육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바른 자세로 앉기를 요구한다던가, 조용히 하기를 요청하는 등, 학급운영의 기본 요체는 도덕적 의미를 함축하게 되어 있다. 교사들은 때로는 당근을 때로는 채찍을 사용함으로써 교실을 조용히 만들거나 질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특정한 행동을 몸에 익히게 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보상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로 도덕교육에서 보상을 중요한 방법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권장하고 있는 이론이 있다. 그것은 행동주의 심리학에 기초하고 있는 사회학습이론이다. 이 이론은 처벌과 보상, 그리고 모범적 사례를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교육 수단으로 본다.
Derek Wright, The Psychology of Moral Behavior (Baltimore: Penguin Book, 1971), p. 39.
그리고 이것은 우리 교육과정에도 반영되고 있는데, 7차 교육과정의 <바른 생활 교사용지도서>를 보면, 저학년 어린이의 도덕교육의 목표를 행동강화로 보고 그 방법론으로 토큰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처벌의 문제를 포함하여) 보상이 갖고 있는 문제를 인식한다면, 도덕교육에서 (처벌을 비롯하여) 보상의 사용은 심각하게 고려해 볼일이 아닐 수 없다. 도덕적인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도덕적으로 문제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 역설적이기 때문이다. 방법이 역설적이면 결과도 역설적이게 되어 있다. 칸트의 다음과 같은 표현은 이 역설을 아주 적나라하게 들려준다.
"버릇이 없다고 어린아이를 처벌하고 잘했다고 상을 준다면, 오로지 보상 때문에 옳은 일을 할 것이다. 그런데, 세상에 나가면, 선이 항상 상을 받고 악이 항상 처벌받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때, 그는 세상에서 어떻게 하면 성공할 것인가 만을 생각하는 사람으로, 그리고 자신에게 얼마나 이익이 올 것인가에 따라 옳고 그른 일을 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것이다."
I. Kant, Education, Annette Churton (trans.)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6), p. 84.

키워드

보상,   칭찬,   효과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1.20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6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