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권의 수립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없음

본문내용

43사건의 주역인 김달삼도 월북하여 참석하였다. 이렇게 선출된 [조선최고인민회의]가 9월 3일 개최되어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헌법을 채택하였다.이 헌법에 의거하여 태극기 대신 인공기가 사용되고 애국가가 사실상의 국가國歌로서의 역할을 상실하였다.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이 선포되었다. 김일성을 수상으로 하고 박헌영 홍명희 김책이 부수상으로 하였다. 이 정권의 내각과 인민회의, 당, 군의 인사들을 살펴보면 김일성의 만주파가 주도적 역할을 하되 남로당계, 연안파, 갑산파 등의 세력들이 결집해 있는 연합체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김일성은 1945년 12월 17-18일 열렸던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 제3차 확대집행위원회에서 책임비서로 선출된 후 민주기지론를 내세웠다. 한반도 전체의 혁명을 위한 민주기지가 북한이라는 것이다. 이 노선은 북한 만의 사회주의 혁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전체의 혁명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북한만의 단독정부의 수립은 곧이어 미제국주의자의 강점지역으로서의 남한의 해방을 목표로 하는 남한 혁명을 위한 노력을 예고하는 것이었고 궁극적으로는 전쟁으로 귀착된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2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2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