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학습 목표≫
≪지도상 유의점≫
≪과제 학습장≫
≪교수-학습 전개≫
≪지도상 유의점≫
≪과제 학습장≫
≪교수-학습 전개≫
본문내용
[육사 시집] 1946
교목(喬木) 이육사 [육사 시집] 1946
광야(曠野) 이육사 [육사 시집] 1946
고사(古寺) 1 조지훈 [청록집] 1946
물레 김 억 백민 1947
국화 옆에서 서정주 경향신문 1947
밀어(密語) 서정주 백민 1947
바위 유치환 생명의 서 1947
오랑캐꽃 이용악 [오랑캐꽃] 1947
울릉도 유치환 울릉도 1948
서시(序詩)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별 헤는 밤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참화록(懺悔錄)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십자가(十字架)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자화상(自畵像)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간(肝)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병원(病院)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또 다른 고향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그 날이 오면 심 훈 [그 날이 오면] 1949
전라도(全羅道) 길-소록도로 가는 길 한하운 신천지 4월호 1949
낙엽끼리 모여 산다 조병화 [하루만의 위안] 1950
민들레꽃 조지훈 신천지 1950
꽃 김춘수 현대문학 1952
낙화(落花) 조지훈 [풀잎 단장] 1952
석문(石門) 조지훈 [풀잎 단장] 1952
플라타너스 김현승 문예 초하호 1953
동백(冬柏) 정 훈 자유문학 1953
무등(無等)을 보며 서정주 현대공론 1954
목숨 신동집 [서정의 유형] 1954
봄비 이수복 문예 1954
달 박목월 [산도화] 1955
불국사 박목월 [산도화] 1955
교외(郊外) 1 박성룡 문학 예술 1955
목마와 숙녀 박인환 [박인화 시선집] 1955
세월이 가면 박인환 [박인환 시집] 1955
광화문 서정주 현대문학 8월호 1955
추천사-춘향의 말(1) 서정주 [서정주 시선] 1955
강강술래 이동주 [제2시집 강강술래] 1955
보리피리 한하운 [보리피리] 1955
초토(焦土)의 시 8 구 상 [초토의 시] 1956
주막(酒幕)에서 김용호 [날개] 1956
춘향 유문(春香遺文)-춘향의 말(3) 서정주 [서정주 시선] 1956
갈대 신경림 문학 예술 1956
눈 김수영 문학 예술 1957
폭포(瀑布) 김수영 [평화에의 증언] 1957
가을의 기도 김현승 [김현승 시초] 1957
눈물 김현승 [김현승 시초] 1957
가을 김현승 [김현승 시초] 1957
사령(死靈) 김수영 [달나라의 장난] 1959
능금 김춘수 [꽃의 소묘] 1959
꽃을 위한 서시(序詩) 김춘수 [꽃의 소묘] 1959
새 박남수 신태양 1959
하관(下棺) 박목월 [난] 1959
울음이 타는 가을 강(江) 박재삼 사상계 1959
바라춤 신석초 [바라춤] 1959
가을에 정한모 [여백을 위한 서정] 1959
눈길 고 은 [피안 감성(彼岸感性)] 1960
정념(情念)의 기(旗) 김남조 [정념의 기] 1960
꽃과 언어 문덕수 현대문학 1961
전아사 신석정 성남일보 1961
강(江) 2 박두진 [거미와 성좌] 1962
꽃 박두진 [거미와 성좌] 1962
자연 박재삼 [춘향이 마음] 1962
산에 언덕에 신동엽 [아사녀] 1963
공존(共存)의 이유 조병화 [공존의 이유] 1963
종 소리 박남수 [신의 쓰레기] 1964
의자 7 조병화 [시간의 숙소를 더듬어서] 1964
견고(堅固)한 고독 김현승 현대문학 1965
나비의 여행(旅行) 정한모 사상계 1965
보릿고개 황금찬 [현장] 1965
우리가 물이 되어 고 은 [우리가 물이 되어] 1966
저녁 눈 박용래 월간문학 1966
동천(冬天) 서정주 현대문학 137호 1966
자수(刺繡) 허영자 [가슴엔 듯 눈엔 듯] 1966
생(生)의 감각 김광섭 현대문학 1967
겨울 바다 김남조 [겨울 바다] 1967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신동엽 [금강] 1967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52인의 시집] 1967
위독(危篤) 이승훈 [현대시] 13집 1967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월간 문학 1968
풀 김수영 창작과 비평 1968
아침 이미지 박남수 사상계 1968
이별가(離別歌) 박목월 [경상도의 가랑잎] 1968
봄은 신동엽 한국일보 1968
병(病)에게 조지훈 사상계 1968
성탄제(聖誕祭) 김종길 [성탄제] 1969
설날 아침에 김종길 [성탄제] 1969
신초가(歌) 황명걸 창작과 비평 1969
거산호(居山好) 2 김관식 창작과 비평 1970
산(山) 김광림 [학의 추락] 1970
금사자 신석초 [폭풍의 노래] 1970
농무(農舞) 신경림 창작과 비평 1971
송신(送信) 신동집 [송신] 1973
성모(省墓) 고 은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1974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고 은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1974
처용 단장(處容斷章) 김춘수 [처용] 1974
벼 이성부 [우리들의 양식] 1974
신부 서정주 [질마재 신화] 1975
월훈(月暈) 박용래 문학사상 1976
목계 장터 신경림 엘레강스 1976
정님이 이시영 [만월] 1976
답십리(踏十里) 민 영 창작과 비평 1977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문학사상 1978
귀천(歸天) 천상병 [주막에서] 1979
소릉조(小陵調)-70년 추일(秋一)에 천상병 [주막에서] 1979
피아노 전봉건 [꿈속의 뼈] 1980
국토 서시(國土序詩) 조태일 [국토] 1980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양성우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1981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1982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이해인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1983
안개 기형도 동아일보 1985
두만강(豆滿江) 김규동 현대 문학 1985
머슴 대길이 고 은 [만인보(萬人譜)] 1986
옥수수 밭 옆에 당신을 묻고 도종환 [접시꽃 당신] 1986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1987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김남주 사랑의 무기 1989
교목(喬木) 이육사 [육사 시집] 1946
광야(曠野) 이육사 [육사 시집] 1946
고사(古寺) 1 조지훈 [청록집] 1946
물레 김 억 백민 1947
국화 옆에서 서정주 경향신문 1947
밀어(密語) 서정주 백민 1947
바위 유치환 생명의 서 1947
오랑캐꽃 이용악 [오랑캐꽃] 1947
울릉도 유치환 울릉도 1948
서시(序詩)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별 헤는 밤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참화록(懺悔錄)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십자가(十字架)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자화상(自畵像)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간(肝)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병원(病院)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또 다른 고향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그 날이 오면 심 훈 [그 날이 오면] 1949
전라도(全羅道) 길-소록도로 가는 길 한하운 신천지 4월호 1949
낙엽끼리 모여 산다 조병화 [하루만의 위안] 1950
민들레꽃 조지훈 신천지 1950
꽃 김춘수 현대문학 1952
낙화(落花) 조지훈 [풀잎 단장] 1952
석문(石門) 조지훈 [풀잎 단장] 1952
플라타너스 김현승 문예 초하호 1953
동백(冬柏) 정 훈 자유문학 1953
무등(無等)을 보며 서정주 현대공론 1954
목숨 신동집 [서정의 유형] 1954
봄비 이수복 문예 1954
달 박목월 [산도화] 1955
불국사 박목월 [산도화] 1955
교외(郊外) 1 박성룡 문학 예술 1955
목마와 숙녀 박인환 [박인화 시선집] 1955
세월이 가면 박인환 [박인환 시집] 1955
광화문 서정주 현대문학 8월호 1955
추천사-춘향의 말(1) 서정주 [서정주 시선] 1955
강강술래 이동주 [제2시집 강강술래] 1955
보리피리 한하운 [보리피리] 1955
초토(焦土)의 시 8 구 상 [초토의 시] 1956
주막(酒幕)에서 김용호 [날개] 1956
춘향 유문(春香遺文)-춘향의 말(3) 서정주 [서정주 시선] 1956
갈대 신경림 문학 예술 1956
눈 김수영 문학 예술 1957
폭포(瀑布) 김수영 [평화에의 증언] 1957
가을의 기도 김현승 [김현승 시초] 1957
눈물 김현승 [김현승 시초] 1957
가을 김현승 [김현승 시초] 1957
사령(死靈) 김수영 [달나라의 장난] 1959
능금 김춘수 [꽃의 소묘] 1959
꽃을 위한 서시(序詩) 김춘수 [꽃의 소묘] 1959
새 박남수 신태양 1959
하관(下棺) 박목월 [난] 1959
울음이 타는 가을 강(江) 박재삼 사상계 1959
바라춤 신석초 [바라춤] 1959
가을에 정한모 [여백을 위한 서정] 1959
눈길 고 은 [피안 감성(彼岸感性)] 1960
정념(情念)의 기(旗) 김남조 [정념의 기] 1960
꽃과 언어 문덕수 현대문학 1961
전아사 신석정 성남일보 1961
강(江) 2 박두진 [거미와 성좌] 1962
꽃 박두진 [거미와 성좌] 1962
자연 박재삼 [춘향이 마음] 1962
산에 언덕에 신동엽 [아사녀] 1963
공존(共存)의 이유 조병화 [공존의 이유] 1963
종 소리 박남수 [신의 쓰레기] 1964
의자 7 조병화 [시간의 숙소를 더듬어서] 1964
견고(堅固)한 고독 김현승 현대문학 1965
나비의 여행(旅行) 정한모 사상계 1965
보릿고개 황금찬 [현장] 1965
우리가 물이 되어 고 은 [우리가 물이 되어] 1966
저녁 눈 박용래 월간문학 1966
동천(冬天) 서정주 현대문학 137호 1966
자수(刺繡) 허영자 [가슴엔 듯 눈엔 듯] 1966
생(生)의 감각 김광섭 현대문학 1967
겨울 바다 김남조 [겨울 바다] 1967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신동엽 [금강] 1967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52인의 시집] 1967
위독(危篤) 이승훈 [현대시] 13집 1967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월간 문학 1968
풀 김수영 창작과 비평 1968
아침 이미지 박남수 사상계 1968
이별가(離別歌) 박목월 [경상도의 가랑잎] 1968
봄은 신동엽 한국일보 1968
병(病)에게 조지훈 사상계 1968
성탄제(聖誕祭) 김종길 [성탄제] 1969
설날 아침에 김종길 [성탄제] 1969
신초가(歌) 황명걸 창작과 비평 1969
거산호(居山好) 2 김관식 창작과 비평 1970
산(山) 김광림 [학의 추락] 1970
금사자 신석초 [폭풍의 노래] 1970
농무(農舞) 신경림 창작과 비평 1971
송신(送信) 신동집 [송신] 1973
성모(省墓) 고 은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1974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고 은 [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1974
처용 단장(處容斷章) 김춘수 [처용] 1974
벼 이성부 [우리들의 양식] 1974
신부 서정주 [질마재 신화] 1975
월훈(月暈) 박용래 문학사상 1976
목계 장터 신경림 엘레강스 1976
정님이 이시영 [만월] 1976
답십리(踏十里) 민 영 창작과 비평 1977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문학사상 1978
귀천(歸天) 천상병 [주막에서] 1979
소릉조(小陵調)-70년 추일(秋一)에 천상병 [주막에서] 1979
피아노 전봉건 [꿈속의 뼈] 1980
국토 서시(國土序詩) 조태일 [국토] 1980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양성우 [청산이 소리쳐 부르거든] 1981
타는 목마름으로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1982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이해인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1983
안개 기형도 동아일보 1985
두만강(豆滿江) 김규동 현대 문학 1985
머슴 대길이 고 은 [만인보(萬人譜)] 1986
옥수수 밭 옆에 당신을 묻고 도종환 [접시꽃 당신] 1986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1987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김남주 사랑의 무기 1989
키워드
추천자료
라신,코르네이유,몰리에르,16,17세기 프랑스문학에 대해서...
한국근현대 소설사(개화기부터 - 북한소설까지)
현대한국문학의 이해
조명희의 낙동강을 읽고 1920년대 후반 한국프로문학의 특징을 분석
<문학의 이해> 소설론
국어 지도안 (중3-2 / 4. 고전 문학의 감상 / (2) 가시리)
[국어 임용고시]민중서림 문학 (하)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한국문학사_0
한국문학사_1
근현대문학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현대건축의 흐름, 건축가의 흐름, 근대사회의 흐름, 근현대사상의 흐름, 현대철학의 흐름, 그...
‘정치소설’의 결여형태로서의 신소설 (개화기 소설)
미용예술사_화장의 개념, 화장의 목적과 시작, 한국의 전통 화장 역사, 개화기부터의 화장의 ...
[한국문학개론] 신소설(新小說) _ 신소설의 개념과 형성과정, 신소설의 특징과 문학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