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학 입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한국사학 입문(2002-2)

1. 강좌 소개. 역사 연구의 의미. 한국사 인식의 시각과 해석의 문제
2. 원시사회~고대사회(고고학)

Ⅱ. 신석기시대(기원전 6000연∼기원전 1000연)

1. 한국신석기문화의 특징
2. 시대구분(4기구분설)
3. 시기별 특징 :
4. 유적의 종류

본문내용

사회상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몇 차례의 빙하기가 있어서 생태계가 변화하여 사멸되거나 다른 지방으로 이동해 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구석기인을 오늘날 한국인의 조상으로 볼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 단군릉 문제
<구석기시대 연구의 제문제>
① 제4기의 연구문제--빙하시대 지질, 지리, 고생물, 해양, 기후, 토양 등에 대한 學際的 연구가 절실히 필요
② 구석기의 형태학(typology)을 발전시키면서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더 나아가 석기제작 industry의 복원이 필요
③ 중요 유적들에 있어 층위 해석을 보다 확실히 할 필요( ex)석장리, 두루봉)
④ 자연유물의 해석문제
⑤ 화석인골의 문제(연대 결정에 동반된 동물뼈가 참고?)
⑥ 절대연대의 문제( ex) 석장리, 전곡리)
⑦ 中石器時代 有無의 문제
⑧ 소위 예술품의 진위 문제
Ⅱ. 新石器時代(기원전 6000年∼기원전 1000年)
1. 韓國新石器文化의 特徵 :
1) 非農耕 단계(中後期 이후 일부지역에서 農耕 개시?)
2) 수렵 중심(가축사육의 근거 無)
3) 계절적 이동에 따른 불완전한 정주생활
4) 토기의 사용
5) 마제석기의 사용
2. 시대구분(4기구분설) :
早期(6000∼4000B.C.), 前期(4000∼3000B.C.), 中期(3000∼2000B.C.)
後期(2000∼1000B.C.)
3. 時期別 特徵 :
1) 早期--(1) 토기 : 민패토기, 아가리무늬토기, 융기문토기
(2) 석기 : 마제석기 * 組合式漁具 등
(3) 입지 : 동해안, 남해안에 한정(해안가의 낮은 언덕)
(4) 중요유적 : 양양 鰲山里, 부산 東三洞, 기장 新岩里 등
2) 前期--(1) 토기 : 전형적인 빗살무늬 전체시문
(2) 입지 : 해안가 및 대하천 주변
3) 中期--(1) 토기 : 서북한(빗살무늬+타래무늬), 동북한(번개무늬)의 지역적 특성
* 기원전 2천년경 중국 하남성 묘저구계통의 신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그릇 밑이 평평하고 물결무늬, 번개무늬, 혹은 타래무늬 등 율동적 무늬를 가진 채문토기가 나타남. 이들 일부지역에서는 돌로 만든 보습, 낫, 괭이 및 곡식(피) 등이 함께 발견되어 농사와 가축(돼지)사육이 시작되었음을 보여 줌.
4) 後期--(1) 토기 : 빗살무늬의 퇴화
(2) 입지 : 서해도서에 다수 분포, 내륙지역 유적 증가, 山上유적도(화성 東鶴山유적)
4. 遺蹟의 種類 : 주거지, 패총(약 30%), 산포지를 포함하여 400여개소
확인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1.26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