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념 한국사 정리노트(조선시대~근현대): 공무원-한국사능력검정 대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개념 한국사 정리노트(조선시대~근현대): 공무원-한국사능력검정 대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의 시작

조선 명종~숙종

조선 말기 (경종~철종)

[훈구파] (세조 공신세력) / [사림파]

조선 경제정책 비교

조선 수취제도의 문란 (삼정의 문란)

●●박해 비교

조선시대의 문학과 예술

조선의 역사서

조선의 법전

군사제도의 변화 - 5군영

영조와 정조의 비교

1865 ~ 1910 종합 연대표

[무단정치(헌병)] (1910~1919)

[문화정치 (보통경찰)] (1919~1931) =민족분열통치

[민족말살정치 (병참기지화)] (1931~1945)

[흥선대원군 집권기] (1863~1873)

위정척사운동

통상 조약의 비교 (일본, 미국, 청)

한일간 국권피탈 조약의 전개

항일민족운동

농민·노동운동

갑신정변·동학운동·갑오개혁의 공통점

갑신정변·갑오개혁 공통점

현대사회의 전개

현대사 (~제3공화국)

제4공화국 ~ 제6공화국

본문내용

득률은 低), 전국 일일생활권, 식량생산↑
7.4 남북공동성명
자주통일,평화통일, 민족적 대단결의 3대원칙 천명남북조절위원회 설치
남북적십자회담 (for 이산가족)
10월 유신: 전국에 비상계엄령 선포, 국회해산, 정치활동 금지
제의(1971) 실현(1972)
[유신헌법 (7차개헌)] 대통령의 초법적 지위 강화
(12월) 사회주의 헌법개정
긴급조치권, 국회해산권, 국회의원 1/3 추천권, 대법원장 임명권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간접선거대통령 선출(임기6년, 연임제한 철폐)
주체사상과 3대혁명운동 제도화
왜? 10월 유신을 단행한 남한이 미·일과 안보체제를 강화할 것에 대한 대응
제4공화국 ~ 제6공화국
남한
북한
1973
유신체제 수립
김정일 체제로의 변화: 김일성 사후대비 후계체제 구축
김정일 조선노동당 비서로 선출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소위 한국적 민주주의 토착화를 내세움
민주헌정체제에서 이탈하여 대통령 종신집권 도모
대미·대일관계 악화, 반정부운동 가열
6·23 평화통일선언
북한의 반발, ‘조국통일 5대강령’
- 1민족 1국가체제의 고려연방제
UN동시가입제안, 문호개방,
1민족2국가체제
제4공화국
3대혁명 소조운동
김대중 납치사건
1974
육영수 피살
남북한 상호불가침협정(체결제의)
(1974) 세금 완전 폐지
1975
대통령긴급조치9호(유신헌법 반대하는자 영장없이 체포)
평화통일 3대원칙, 무력침력·내정간섭 X
(1975) 11년제 의무교육 실시
3대혁명 붉은기쟁취운동
1976
인민경제계획 6개년 개혁(1971~1976)
-3대 기술혁명 (혁명과업)
-일본 및 일부 서방국가들과 교역확대
1977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1979
부마항쟁(부산·마산 유신체제 반대시위) (10. 15)
1970년대 사상·기술·문화의 3대혁명의 실천운동
-3대혁명소조운동 (1973) : 생산혁신운동
-3대혁명 붉은기쟁취운동 (1975): 사상운동 +생산혁신운동
10·26사건 (박정희 피살)
최규하 대통령 취임(12. 6)
12·12 쿠데타 신군부의 군대 실권 장악, 정치권력 장악 시도
1980
비상계엄확대조치 (정치활동금지, 김대중 등 주요인사구속)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제시
당 대회에서 김정일 후계자 공인
5·18 광주민주화운동
1민족1국가2체제, 현재까지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발생, 계엄군의 과잉 진압
8차 개헌 대통령간선제, 7년 단임제
(대통령선거인단에서 전두환 선출)
1981
전두환정권 수립 (민주정의당) (1981~1987)
경제정책: 물가안정과 수출초과, 경상수지 흑자 성과 기록
노동·농민·학생운동:
반미(민족), 반독재(민주), 반자본가(민중)의 삼민투쟁이 형성
2차 7개년계획 (1978~1984)
- 인민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
- 사회주의 경제토대강화, 인민생활 향상
- 경제의 종합적 발달 위시
제5공화국
정의사회의 구현, 복지사회의 건설 등: 실상은 부정·부패의 정권, 민주화운동 탄압, 언론통폐합, 삼청교육대 운영
1982
서울국제무역박람회
민족화합 민주통일방안
정부-일본역사교과서 왜곡 시정요구
‘민주적절차와 평화적방법으로 민족·자주·자유·복지의 통일국가’ 남북대표로 민족통일협의회 구성
1983
KAL기 피격사건
아웅산묘소폭파 암살사건
1984
남북고향방문단&예술공연단
방문성사 (1984)
(1984) 합영법: 외국자본과의 합작 공식 최초 인정
1985
(1985) 주체사상 이론과 방법 확립
1986
서울아시안게임 개최
1987
독립기념관 개관
3차 8개년계획 (1987~1993)
- 과학기술혁신을 강조 (실패)
- 1990년대 들어 마이너스 성장의 지속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인권유린) (1. 14)
4·13 호헌조치
6월 민주화항쟁
(6월항쟁)
(6.29주요선언내용)
1988. 2. 직선개헌을 통한 평화적 정부 이양
김대중 사면 및 시국 관련 사범 석방
지방자치 및 교육자치 실시
정당의 건전한 활동 보장
9차 개헌 대통령직선제, 5년단임제
1988
노태우정권 수립(민정당·민자당) (1988~1993)
제6공화국
민족자존, 민주화합, 균형발전, 통일번영
1988총선: 여소야대 정국: 3당합당 (김영삼, 김종필)으로
민주자유당 탄생, 부정과 비리로 국민적 지지 결여,
서울 올림픽 개최
7.7선언 =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
적극적인 대북협력의지표명, 자유로운(해외동포들의)남북왕래, 비군사물자교역 등
1989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1989)
자주·평화·민주의 원칙, 남북연합이라는 중간단계설정
1990
소련과 수교
남북한 UN동시가입 (1991. 9.)
1991
지방자치제 부분적 실시: 지방의회 선거 실시
수서비리사건
남북기본합의서 채택(1991. 12. 13) =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1민족2체제2정부의 전제하에 서로의 체제 인정·존중, 내정불간섭 선언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합의(1991. 12. 31)
1992
- 중국과 수교, 베트남과 수교
- 정보사부지 사기사건(6공 최대의 토지 사기 사건)
1993
김영삼 대통령 취임
소말리아에 유엔평화유지군(PKO) 파견
1994
성수대교 붕괴
민족공동체통일방안 (1994)
김일성 사망
자주·평화·민주 3원칙과 화해·협력, 남북연합, 통일국가완성의 3단계 통일방안
1995
불국사·팔만대장경·종묘 세계문화유산에 등록
노태우·전두환 비자금사건 구속
UN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선출
1996
OECD 가입, 북한 잠수함무장간첩 침투
1997
노태우·전두환 사면
IMF 외환위기
1998
김대중 대통령 취임
한·일 어업협정 회담, 금강산 관광 시작
2000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남북공동선언 (6. 15)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 개최, 남북관계를 화해와 협력으로 전환한다는 남북공통선언에 합의·서명
(8.15) 이산가족방문단 교환, 경의선 복구, 개성공단 추진
2003
노무현 대통령 취임
2007
10·4 남북정상공동선언
평양에서 노무현대통령과 김정일국방위원장 간에 회담진행, 개성관광시작 ‘남북정상선언문’
2008
이명박 대통령 (2008~2013)
(2011) 김정일 사망
(2012)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취임
2013
박근혜 대통령 (2013~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4.29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