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아날로그와 디지털
1.아날로그의 개념
2.디지털의 개념
3.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관계
4.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특성
II.디지털의 영향
1.디지털 시대의 경영환경과 그 변화
2.디지털 시대의 사회경제 변화
3.디지털 시대의 경영 전략
III.디지털의 성공 사례
1.아날로그의 개념
2.디지털의 개념
3.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관계
4.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특성
II.디지털의 영향
1.디지털 시대의 경영환경과 그 변화
2.디지털 시대의 사회경제 변화
3.디지털 시대의 경영 전략
III.디지털의 성공 사례
본문내용
.
(2)사업 리스크를 헤징
;디지털 네트워크의 의존이 심화될수록 정보 유출에 대비하고 보안을 강화.
외부 리스크 상쇄할 수 있는 백업 시스템을 정비.
기업 외부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리스크를 회피.
(3)디지털 신경 체계(DNS: Digital Nervous System)구축.
;내부 업무를 표준화, 전산화하고 인터넷등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함으로써 업무 전체를 디지털 신경망으로 통합.
생산, 판매, 서비스, 종업원 등의 비즈니스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외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체제를 구축.
3-4.인사 전략
(1)자생력 가진 프랙탈 조직 구축
;무한 속도, 무형 가치, 무경계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에 대처하기 위해 스스로 창조력과 혁신력 갖춘 횡적 조직으로 전환.
(2)특수 인재 확보
;우수 인재를 상시적인 모니터링으로 추적하여 헌팅
국적과 인종을 초월하여 인력을 채용.
연공과 직급에 따라 급여를 지불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기능이나 인재상에 따라 시장 임금을 지급.
회사와 개인의 상상 발전 유도하는 성과 공유 보상 프로그램 도입.
4.디지털 혁명에의 대응
(1)디지털화를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digital or die)로 인식. 디지털 혁명에의 대응이 국가와 기업의 운명을 좌우.
(2)우리는 디지털 혁명에 있어 후진국이며 기반도 취약하지만, 산업화 당시보다 훨씬 유리한 위치에 있음을 인식.
(3)디지털 혁명이 주는 기회와 위협을 정확히 인지하고서, 국가적으로 대응.
(4)디지털 시대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국가 모델을 설정.
(5)디지털 국가의 혁신은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정치 과정과 정책 결정을 효율화 및 민주화하는 것임.
(6)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전략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운영의 제도와 틀을 재구축.
(7)관료와 지식 사회의 실력을 높이고, 지적 충돌을 활성화하여 여건 변화에 신속히 대처.
(8)현재 기반이 갖추어져 있고 미래에도 유망한 IT산업을 집중 육성.
(9)기존 업종에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을 접목 시켜서 효율을 높이고 고부가가치화.
(10)디지털 경제를 주도 할 전문 이력을 양성.
(11)디지털 시대의 주역인 벤처기업을 육성.
(12)전국을 하나로 엮고, 해외와도 연결 된 정보 통신망을 구충.
(13)중소 도시와 농촌 지역의 정보 인프라 확충으로 정보 접근의 불균형 해소.
(14)디지털 경제를 촉진하기 위한 법, 제도 개선을 추진.
(15)인터넷 확산에 따른 사회, 문화적 쇼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마련.
<참고>
삼성 경제 연구원 논문
현대 경제 연구원 논문
LG 경제 연구원 논문
한국 경제 신문
매일 경제 신문
III.디지털의 성공 사례
회사명:SK텔레콤
대표: 조 정 남
위치: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번지
종업원 수: 5607명
매출구성: 이동 통신-80.8%
무선 호출-19%
PC통신-0.2%
1.디지털 이동 전화의 출현 배경
세계적으로 최근 10년간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폭발적인 증가를 보여왔다.
우리 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다. 이에 따라서 많은 사업장들은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의 용량 한계를 느끼고, 고용량의 디지털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1991년 미국의 퀄컴사에서 CDMA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제안하였는데, 그 이유는 CDMA방식이 기존의 AMPS방식에 비해 거의 20배 이상의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소프트 핸드 오프, 통화의 보안성, 음성품질 개선, 개인휴대통신의 등장 시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의 융통성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CDMA방식을 상용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91년도 당시 CDMA시스템을 상용화하기에는 가격이 엄청나게 비쌌으며, 단말기 역시 일반 휴대폰 정도의 크기로 만들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으며, 또한 시스템의 기술적인 면에서도 어려운 난제들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92년 말 까지 대부분의 학계, 재계, 사업장들은 CDMA의 상용화를 대단히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정보통신부는 93년 이 CDMA를 공식적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가용자 수용 용량에 있어서 여타 방식보다 우수하고, 아직 상용화가 된 적이 없는 방식이므로 국내에서 성공 할 경우 기술자립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 당시로는 무모한 결정이었다. 이 국가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정보통신부에서는 우리 나라의 통신시스템 개발에 선구자로 불리는 서정욱 박사를 중심으로 현 SK텔레콤의 인력을 근간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술개발사업관리단을 발촉 하였다. 여러 연구과정 끝에 94년 8월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시스템에 의해서 최초의 CDMA호(call)를 성립 시켰고 95년 1월 소프트 핸드오프가 성공하였다.
2.디지털 방식의 장점
(1)통화 용량의 증가
;통화자가 침묵하고 있는 시간 동안 전송을 중지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보다 수용 용량을 2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2)고품질의 통화 서비스 제공
;다중 경로로 들어오는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양호한 신호를 선택 사용하므로 아날로그 방식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핸드 오프시 통화의 단절이 없는 소프트 핸드오프방식을 사용하므로 통신의 품질이 양호하다.
(3)뛰어난 보안성
;사용자마다 고유PN(Pseudo Noise)코드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므로 통화 비밀을 지킬 수 있다.
(4)저전력 경량 단말기
;소비 전력이 아날로그에 비해 1/3수준이며, 이동전화기가 ASIC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5)첨단 부가서비스 제공
;음성 인식 다이얼 서비스, 소리샘 서비스, 단문 메시지 등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가 제공되어 이동전화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만듦.
(6)멀티미디어 서비스 구현
;미래에는 팩스, 데이터 파일, 동영상까지도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어느 곳에서나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3.디지털 성공으로 얻은 성과
구분
97년
98년
99년
매출액
3,512,005
3,545,160
4,284,873
순이익
113,607
151,307
304,151
가입자수
300만
-
1,000만
(2)사업 리스크를 헤징
;디지털 네트워크의 의존이 심화될수록 정보 유출에 대비하고 보안을 강화.
외부 리스크 상쇄할 수 있는 백업 시스템을 정비.
기업 외부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리스크를 회피.
(3)디지털 신경 체계(DNS: Digital Nervous System)구축.
;내부 업무를 표준화, 전산화하고 인터넷등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함으로써 업무 전체를 디지털 신경망으로 통합.
생산, 판매, 서비스, 종업원 등의 비즈니스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외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체제를 구축.
3-4.인사 전략
(1)자생력 가진 프랙탈 조직 구축
;무한 속도, 무형 가치, 무경계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에 대처하기 위해 스스로 창조력과 혁신력 갖춘 횡적 조직으로 전환.
(2)특수 인재 확보
;우수 인재를 상시적인 모니터링으로 추적하여 헌팅
국적과 인종을 초월하여 인력을 채용.
연공과 직급에 따라 급여를 지불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기능이나 인재상에 따라 시장 임금을 지급.
회사와 개인의 상상 발전 유도하는 성과 공유 보상 프로그램 도입.
4.디지털 혁명에의 대응
(1)디지털화를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digital or die)로 인식. 디지털 혁명에의 대응이 국가와 기업의 운명을 좌우.
(2)우리는 디지털 혁명에 있어 후진국이며 기반도 취약하지만, 산업화 당시보다 훨씬 유리한 위치에 있음을 인식.
(3)디지털 혁명이 주는 기회와 위협을 정확히 인지하고서, 국가적으로 대응.
(4)디지털 시대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국가 모델을 설정.
(5)디지털 국가의 혁신은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정치 과정과 정책 결정을 효율화 및 민주화하는 것임.
(6)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전략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운영의 제도와 틀을 재구축.
(7)관료와 지식 사회의 실력을 높이고, 지적 충돌을 활성화하여 여건 변화에 신속히 대처.
(8)현재 기반이 갖추어져 있고 미래에도 유망한 IT산업을 집중 육성.
(9)기존 업종에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을 접목 시켜서 효율을 높이고 고부가가치화.
(10)디지털 경제를 주도 할 전문 이력을 양성.
(11)디지털 시대의 주역인 벤처기업을 육성.
(12)전국을 하나로 엮고, 해외와도 연결 된 정보 통신망을 구충.
(13)중소 도시와 농촌 지역의 정보 인프라 확충으로 정보 접근의 불균형 해소.
(14)디지털 경제를 촉진하기 위한 법, 제도 개선을 추진.
(15)인터넷 확산에 따른 사회, 문화적 쇼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마련.
<참고>
삼성 경제 연구원 논문
현대 경제 연구원 논문
LG 경제 연구원 논문
한국 경제 신문
매일 경제 신문
III.디지털의 성공 사례
회사명:SK텔레콤
대표: 조 정 남
위치: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번지
종업원 수: 5607명
매출구성: 이동 통신-80.8%
무선 호출-19%
PC통신-0.2%
1.디지털 이동 전화의 출현 배경
세계적으로 최근 10년간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폭발적인 증가를 보여왔다.
우리 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다. 이에 따라서 많은 사업장들은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의 용량 한계를 느끼고, 고용량의 디지털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1991년 미국의 퀄컴사에서 CDMA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제안하였는데, 그 이유는 CDMA방식이 기존의 AMPS방식에 비해 거의 20배 이상의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소프트 핸드 오프, 통화의 보안성, 음성품질 개선, 개인휴대통신의 등장 시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의 융통성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CDMA방식을 상용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91년도 당시 CDMA시스템을 상용화하기에는 가격이 엄청나게 비쌌으며, 단말기 역시 일반 휴대폰 정도의 크기로 만들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으며, 또한 시스템의 기술적인 면에서도 어려운 난제들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92년 말 까지 대부분의 학계, 재계, 사업장들은 CDMA의 상용화를 대단히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정보통신부는 93년 이 CDMA를 공식적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가용자 수용 용량에 있어서 여타 방식보다 우수하고, 아직 상용화가 된 적이 없는 방식이므로 국내에서 성공 할 경우 기술자립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 당시로는 무모한 결정이었다. 이 국가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정보통신부에서는 우리 나라의 통신시스템 개발에 선구자로 불리는 서정욱 박사를 중심으로 현 SK텔레콤의 인력을 근간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술개발사업관리단을 발촉 하였다. 여러 연구과정 끝에 94년 8월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시스템에 의해서 최초의 CDMA호(call)를 성립 시켰고 95년 1월 소프트 핸드오프가 성공하였다.
2.디지털 방식의 장점
(1)통화 용량의 증가
;통화자가 침묵하고 있는 시간 동안 전송을 중지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식보다 수용 용량을 2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2)고품질의 통화 서비스 제공
;다중 경로로 들어오는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양호한 신호를 선택 사용하므로 아날로그 방식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핸드 오프시 통화의 단절이 없는 소프트 핸드오프방식을 사용하므로 통신의 품질이 양호하다.
(3)뛰어난 보안성
;사용자마다 고유PN(Pseudo Noise)코드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므로 통화 비밀을 지킬 수 있다.
(4)저전력 경량 단말기
;소비 전력이 아날로그에 비해 1/3수준이며, 이동전화기가 ASIC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
(5)첨단 부가서비스 제공
;음성 인식 다이얼 서비스, 소리샘 서비스, 단문 메시지 등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가 제공되어 이동전화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만듦.
(6)멀티미디어 서비스 구현
;미래에는 팩스, 데이터 파일, 동영상까지도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어느 곳에서나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3.디지털 성공으로 얻은 성과
구분
97년
98년
99년
매출액
3,512,005
3,545,160
4,284,873
순이익
113,607
151,307
304,151
가입자수
300만
-
1,00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