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TV방송기술 동향 및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디지털 TV 방송 효과
1) 경제성
2) 기술성
3) 서비스 및 디지털화의 잇점

3. 주요국 기술개발동향
1) 미국의 동향
2) 유럽의 동향
ⅰ. 영국
ⅱ. 독일
ⅲ. 프랑스
3) 일본의 동향

4. 우리나라의 동향

5. 디지털 방송 기술 동향
(1) 지상파 DTV 방송
(2)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MB)
(3) 방송ㆍ통신융합 기술

6.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술
(1)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2) 이용자 맞춤형 방송 서비스
(3) 입체 방송 서비스

7. 결론

본문내용

는 프로그램 독립 단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다운로드 게임, 교통정보, 증권정보, 날씨 정보 등을 볼 수 있으며, 양방향 채널을 통한 프로그램 독립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TV 전자거래, 전자정부, 공연예약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다.
(2) 이용자 맞춤형 방송 서비스
이용자 맞춤형 방송은 이용자의 시청 패턴을 반영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간에 제약 없이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필요한 부분을 효과적으로 검색, 시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제한된 채널 선택만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동적인 시청에서 벗어나 방송 서비스에 직접 참여하거나 또는 원하는 시간에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수신, 시청하고자 하는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그림 4)는 이용자 맞춤형 방송 서비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화는 방송 환경이 보다 복잡 다양하게 개인화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맞춤형 방송 서비스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방송의 진보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콘텐츠에 대한 기술(description) 정보로 MPEG-7 표준에서 정의된 내용기반(content-based)의 기술과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하며,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탐색,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TV-Anytime 포럼에서는 ① 이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소비할 수 있고, ② 콘텐츠 생성자는 대화형 체험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③ 콘텐츠 소유자는 소유한 콘텐츠를 임의의 이용자에게 안전하게 판매할 수 있고, ④ 콘텐츠 제공자는 소비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 소비자에게 콘텐츠를 최대한 제시할 수 있고, ⑤ 장비 제조업자는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보다 용이한 시장 진입과 상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3) 입체 방송 서비스
입체 방송은 (그림 5)와 같이 3D입체 콘텐츠의 제작, 전송 및 재현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통해 이용자에게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3D 입체 콘텐츠를 전달함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실제의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실감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8].
입체 방송 서비스의 특징으로 3차원 영상 및 비디오(실사 및 CG 포함)는 깊이, 거리감 및 부피감(Volume감)을 제공하며, 3차원 오디오는 수평 360도 및 수직 180도(머리 상하방향으로 각각 90도)의 공간상 음원을 충실히 재현함으로써 우리가 현실에서 보고 듣는 것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현실감을 극대화하는 것이며, 기존에 갖고 있던 공간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원격조작, 원격탐사 및 원격진료 등의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7. 결론
디지털 방송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단말로, 미디어에 구애받지 않고, 경제적이며 편리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유비쿼터스 미디어 서비스로 발전하여 이용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환경을 제공함은 물론 가정내 오락단말의 중심이었던 TV가 오락 및 정보중심 단말로 변모하여 정보격차(Digital Divide)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2010년 세계 디지털 TV 시장의 약 32%를 차지할 것으로 예견되며,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총 수출 556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와 이에 수반되는 약 1,610억 달러의 생산 유발 효과, 총 486억 달러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 그리고 연인원 120만 명의 고용 창출 효과 등의 산업적 국민경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디지털 방송을 위한 기술개발 노력을 전개하고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방송사업자의 초기 투자비용 부담, 소비자의 디지털 TV 가격 부담, 콘텐츠 부족 등으로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아직 초기 시장 단계에 있다. 향후 디지털 방송산업은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관 산업 분야에도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선진 각국은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디지털 방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5~7년 동안은 디지털 전환기로 막대한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산업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되며, 디지털 방송은 데이터 방송, 맞춤형 방송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하며, 기본적인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보편화되면 대화형 방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강력하게 대두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 모든 매체가 디지털화되고, 이동 TV 수신이 가능한 개인화된 DMB 방송이 개시되어 다매체 환경이 전개됨에 따라, 매체별 특성에 맞고 차별화되는 콘텐츠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고, 방송ㆍ통신 융합이 가속화 되어, 새로운 효용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을 창출하고, 새로운 정보통신 산업의 성장동력으로 등장할 전망이다.

[1] 정보통신연구진흥원, “IT839 전략 기획보고서(디지털 TV),” 2005. 6.
[2] ETRI, 지능형 통합정보 방송(SmarTV) 기술 개발 수행계획서, 2006. 1.
[3] ETS 300 468 Edition 2 Digital Video Broadcasting(DVB) ;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SI) in DVB systems.
[4] A/100-1 1.0 DASE-1 Part 1: Introduction, Architecture, and Common Facilities, A/100-1, ATSC
[5] MHP 1.1 1.1.1 Digital Video Broadcasting(DVB), Multimedia Home Platform version 1.1.1, available as ETSI TS 102 812 V1.2.1
[6] SCTE 43 Digital Video System Characteristics Standard for Cable Television
[7] 박창신, 훤히보이는 DMB, U-book, 2005. 6.
[8] ETRI , 3D 비전 2010 기획보고서, 2005. 12.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9.0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0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