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 입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종교학이란 무엇인가
서론
1. 종교학의 시작- 막스뭘러를 중심으로-
2. 종교학 연구의 역사
1) 코르넬리우스 틸레
2) 삐에르 썅뜨삐 드라 쏘새이
3) 나탄 쐬러브롬
4) 루돌프 옷토
5) 브레데 크리스텐션
6) 멀치아 엘리아데

Ⅱ. 종교란 무엇인가
1. 종교의 정의
1) 종교의 일반적인 정의
2) 학문적인 정의
2. 종교에 관한 두 가지 정의
1) 본질적 정의
2) 기능적 정의
3. 종교의 여러 가지 정의의 분류
1) 종교에 대한 대표적인 정의
2) 루바의 종교 정의에 관한 3가지 관점
(1) 주지적 관점
(2) 주정적 관점
(3) 실천적 관점
4. 종교개념의 어원과 역사
1) 종교라는 단어의 어원
(1) 동아시아에서의 종교의 어원
① 한자적인 의미
② 불교적인 의미
(2) 서양에서의 종교개념의 이해
① 레리기오의 어원
② 서구에서의 종교 어원의 역사
(3) 불교는 종교로서 성립 가능한가
5. 종교의 기원
1) 기원론에 관심을 갖는 이유
2) 종교기원론은 과학의 덕분이다.
(1) 자연종교론
(2) 애니미즘
(3) 애미마티즘
(4) 마니미즘
(5) 토템미즘
(6) 주술론
(7) 유일신론
(8) 유물론
3) 결론
6. 신의 개념

Ⅲ. 종교의 이해
1. 종교의 경험
2. 신화, 교리, 의례
1) 신화
2) 교전(경전)
3) 교리
4) 의례
5) 종교조직과 사회 그리고 윤리
3. 종교와 주술

Ⅳ. 종교간의 대화
서론
1. 우리는 타종교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
1) 진리는 하나
2) 완전한 진리는 하나이지만 부분적인 진리는 여럿이다
3) 목표는 하나이지만, 길은 여럿이다
1. 다종교 사회
2. 프란시스 베이컨의 우상론
3. 타종교를 향한 4가지 태도 - 기독교 관점에서-
4. 종교간의 대화에 임하는 기본적인 조건

Ⅴ. 한국 종교의 현황

제2부 세계의 종교들
제1장 유교
제2장 힌두교
제3장 불교
제4장 유대교
제5장 기독교
제6장 이슬람교

본문내용

용(별경심소), 善이라는 심작용(선심소), 그 위에 번뇌(번뇌심소), 부차적인 번뇌(수번뇌 심소)를 수반하고, <樂, 苦, 非樂非苦의>세 종류의 대상의 감수과 함께 작용한다.
5종류의 심소(마음의 작용)에 대해서는 다음 偈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대상의 감수 등의 5가지의 심리 상태는 아라야식에서도, 마나스식에서도, 육식(여섯가지의 대상영역)에서도 작용하는 것이다.
10-14[ 心作用(caitta/caitasa, 心所)의 분류 ]
보편적인 것 (sarvatraga, 遍行)5
spar a <대상과의> 접촉(觸) · manask ra <대상에로의> 志向(作意) · vedan <대상의> 感受(受), · sa j <대상의> 表象(想) · cetan <대상에 대한> 심적인 움직임(思)
대상을 특정화 한 것(viniyata, 別境) 5
chanda(欲) · adhimukti(勝解, 확신) · sm ti(念, 기억) · sam dhi(定, 삼매) · praj (慧, 지혜)
善이라는 것(ku ala, 善) 11
raddh (信, 신앙) · hr (참) · apatr pya(愧, 수치심) · alobha(無貪) · adve a(無瞋) · amoha(無癡) · v rya(勸, 정진) · pra rabdhi(輕安) · apram da(不放逸 , 산만하지 않은 것) · upek (捨, 마음의 平靜) avihi s (不 害, 불살생)
번뇌(kle a) 6
raga(貪,욕망) · dve a(瞋, 미워하는 것) · moha(癡, 어리석음) · m na(慢, 고만) · d i(見, 근본관념, 즉 자아가 실재한다고 하는 것) · vicikits (疑, 의혹)
부차적 번뇌(upakle a, 隨煩惱) 20
krodha(忿, 분노하는 것) · upan ha(恨, 한을 품는 것) · mrak a(覆, 시치미를 떼는 것) · prad a(惱) · r y (嫉, 질투) · m tsarya(견, 인색) · m ya(광, 속이는 것) · athya(諂, 속이는 것) · mada(교, 자만하는 것) ·vihi s (害, 살생하는 것) · hr ya(無참)· anapatr pya(無愧,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 · sty na(혼침, 마음이 개운하지 않는 것) · auddhatya(悼거, 소란스러운 것)· craddhya(不 信, 신앙이 없는 것) · kaus dya(懈怠, 게으름) · pram da(放逸, 산만) · mu it (失念, 집중력이 없는 것) · vik epa(散亂) · asa prajanya(不正知, 바른 知가 아닌 것)
不定(aniyata) 4
kauk tya(惡作 또는 悔, 악을 행한 후에 후회하는 것) · middha(睡眠) · vitarka(尋, 이론적으로 사색하는 것) · vic ra(伺, 깊게 사색하는 것)
-------------------------------------------------------------------------
<한역>
依止根本識  五識隨緣現
或俱或不俱  如濤波依水(15)
<전오식은> 근본식(아뢰야식)에 의지하여 <작용한다>. 전오식은 緣(연)에 따라서 나타난다. <전오식은> 때로는 함께 때로는 별도로 작용한다. 파도가 물에 의지하는 것과 같이.
--------------------------------------------------------------------------
<산스크리트어본>
pa c n m lavij ne yath pratyayam udbhava /
vij n n saha na v tara g yath jale//15//
다섯 종류의 인식작용(전오식)은 근원적 인식작용(아라야식)이 있을 때, 조건에 응하여(六 識 또는 외부 대상 등을 조건으로 해서) 그것과 동시에, 또는 비동시적으로 생긴다. 물(8 識)이 있을 때의 파도(5, 6, 7識)와 같이(15).
--------------------------------------------------------------------------
아라야식이 눈에 의하여 지각하는 5종류의 현전식(전오식)을 존재하게끔하는 가능력의 존재근거이기 때문에, 이 아라야식에 근거하여 눈에 의하여 지각하는 현전식(전오식)등이 생기한다는 의미이다. 마치 큰 강에 물이 흘러가는 가, 하나의 파도가 생기는 조건이 갖추어 졌을 때 단지 하나의 파도가 생기는 것과 같이.
이와 같이 육식이 끊임없이 생긴다면 어떤 경우에 그 활동을 멈추는가?
16) 意의 인식작용(제육식)은 항상 생긴다. 다만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났을 경우와, 또한 심이 없는 상태인<無想定(무상정), 滅盡定(멸진정)>의 二定(이정)과 睡眠(수면)과 失神(실신)의 경우는 제외된다
참고문헌
1.『岩波講座·東洋思想 インド思想Ⅰ, Ⅱ, Ⅲ』岩波書店, 東京, 1998.
2.『인도철학사Ⅰ, Ⅱ, Ⅲ, Ⅳ』, by 라다크리슈난(Radhakrishnan), 이거룡 옮김, 한길사, 서울, 1996-2000.
3.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Ⅰ,Ⅱ,Ⅲ,Ⅳ,Ⅴ, by Dasgup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4. History of Indian PhilosophyⅠⅡ, by Erich Frauwallner, Motillal Banarsidass, 1973.
5.『岩波講座·東洋思想 インド불교Ⅰ, Ⅱ, Ⅲ』岩波書店, 東京, 1998.
6.『인도불교의 역사, 上·下』, Hiragawa Akira/ 이호근옮김, 민족사, 서울, 1994.
7. 『불교사상의 이해』, 동국대학불교문화대학, 불교교재편찬위원회, 1992.
8. 『인도사상의 역사』(동경대학인도학·불교학연구실), 정호영역, 민족사, 1988.
9. 『불교철학입문』, by Saikusa mitsuyosi/ 윤종갑 옮김, 경서원, 1997.
10. Die philosophi des Buddhismus, by E. Frauwaller, Berlin, 1969.
11.『唯識三十頌要講』太田久紀.
12.『成唯識論要講』太田久紀.
13.『대정신수대장경』31권「성유식론」,「유식삼십송」.
14.「Tri ik -vij apti-k rik 」by L vi, 1925.
.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33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