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 여론조사-한국갤럽조사연구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정부의 주 5일 근무제 입법추진에 대한 찬반 견해

2.찬성하는 이유 및 반대하는 이유

3.휴일·휴가제도 축소조정에 대한 견해

4.현행 공휴일 축소에 대한 견해

5.조정가능한 공휴일

6.생리휴가제도에 대한 견해

7.주 5일 근무제 시행시기에 대한 견해

8.휴가·휴일제도 축소조정에 대한 찬반견해

9.휴가사용 촉진방안에 대한 견해

10.주 5일 근무제 시행시 임금보전에 대한 견해

11.주 5일 근무제 시행시 휴일 활용 방안

12.주 5일 근무제 입법안 주요내용에 대한 전반적 견해

본문내용

-------

P : The Observed Percentage
N : The Sample Size
2. 표본의 크기별 표본오차 예시
(95% 신뢰수준)
Observed
Percentage
Sample Size
500
700
1000
1052
1500
%
%
%
%
%
50
4.4
3.7
3.1
3.0
2.5
40 or 60
4.3
3.6
3.0
3.0
2.5
30 or 70
4.0
3.4
2.7
2.8
2.3
20 or 80
3.5
3.0
2.5
2.4
2.0
10 or 90
2.6
2.2
1.9
1.8
1.5
* 본 조사의 경우 표본크기가 1,052명이므로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서 ±3.0% 정도이다.
제 2 장. 조사결과 요약
1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추진에 대한 찬반 견해
▶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추진에 대해 다수(62.6%)의 국민들이 '찬성한다'고 대답했으며('적극적으로 27.1%, '대체로' 35.5%), 반대하는 국민은 37.4%였다.
-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추진에 대해 찬성하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화이트칼라 및 학생계층에서 많았으며, 반면 반대하는 견해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농/임/어업 및 자영업 종사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추진에 대한 찬반견해 〉
- 주5일 근무제에 찬성하는 응답자들(659명)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주5일 근무제가 '근로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데 가장 크게 공감하고 있었고(55.9%), 다음으로 '여가관련 산업의 발전'(25.7%), '노동생산성 향상'(11.4%)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주5일 근무제에 반대하는 응답자들(393명)은 그 이유로서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아서'를 가장 많이 들었으며(54.5%), 다음으로 '기업의 부담 증가/경쟁력 약화'(19.4%)와 '임금삭감 우려'(11.5%) 등의 이유를 들었다.
〈 찬성하는 이유 〉 〈 반대하는 이유 〉
2
휴일·휴가제도 축소조정에 대한 견해
▶ 주5일 근무제 시행으로 법정근로시간이 축소됨에 따라 월차휴가를 폐지하고, 휴일·휴가제도를 국제기준에 맞게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견해가 약간 더 많았으나(59.6%), 의견을 달리하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40.3%).
- 휴일·휴가제도 축소조정에 대해 공감 의사를 표시한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및 학생계층에서 많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휴일·휴가제도 축소조정에 공감하지 않는 견해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 휴일·휴가제도 축소조정에 대한 견해 〉
- 전체적인 휴일·휴가수를 국제기준에 맞추기 위해 선직국 보다 많은 현행 공휴일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견해(47.8%)와 공감하지 않는 견해(52.2%)가 서로 맞서고 있었다. 이에 대해 응답자 특성별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현행 공휴일 축소에 대한 견해 〉
- 주5일 근무제 시행과 동시에 현행 공휴일을 줄이는데 공감하는 응답자들(503명)에게 어떤 공휴일을 조정하는 것이 좋은지 물어본 결과, '식목일'을 언급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52.2%), 이어서 '개천절'(23.2%), '석가탄신일'(22.9%)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 조정 가능한 공휴일 (중복기준) 〉
3
생리휴가 제도에 대한 견해
▶ 주5일 근무제 시행과 관련하여 현행 생리휴가제도 운영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다수(57.7%)의 응답자가 '현행대로 유지' 하자는 의견에 공감함으로서 생리휴가제도 조정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견해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생리휴가 제도에 관한 견해 〉
4
주5일 근무제 시행시기에 대한 견해
▶ 주5일 근무제 시행시기와 관련하여 정부가 마련한 입법안, 즉 공공, 금융·보험 및 1,000명 이상의 사업장은 내년 7월부터, 300인 이상은 2004년 7월, 5인 이상은 2005년 7월, 30인 이상은 2006년 7월부터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고, 30인 이하는 중소업체의 여건을 고려하여 신축적으로 시행하는 계획에 대해 '적절하다'는 견해가 가장 많았고(46.2%), '더 늦추어져야 한다'는 견해는 34.1%, '더 당겨져야 한다'는 견해는 19.3%로 나타났다.
〈 주5일근무제 시행시기에 대한 견해 〉
5
휴가사용 촉진방안에 대한 견해
▶ 현재 미사용시 금전적인 보상이 이루어지는 연차휴가에 대해 향후 사용자의 적극적인 휴가사용 권장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금전적인 보상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는다'(61.0%)는 견해가 다수를 차지했다('별로' 34.8%, '전혀' 26.2%).
〈 휴가사용 촉진방안에 대한 견해 〉
6
주5일 근무제 시행시 임금보전에 대한 견해
▶ 주5일 근무제 시행시 임금보전에 대한 의견으로 대부분(76.0%)의 응답자가 '임금은 현행수준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현행 임금수준 보전에 대한 강한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주5일근무제 시행시 임금보전에 대한 견해 〉
7
주5일 근무제 시행시 휴일 활용 방안
▶ 주5일 근무제 실시로 인해 늘어난 휴일을 어떻게 사용하고 싶은지 물어본 결과, '가족과 함께 휴식 등 재충전의 기회로 활용'(46.2%)하겠다는 응답과 '여행 등 개인적인 생활에 이용'(40.3%)하겠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해 자기계발이나 지역공동체 활동보다는 휴식과 취미생활에 더 큰 욕구를 보이고 있었다.
〈 주5일근무제 시행시 휴일 활용 방안 〉
8
주5일 근무제 입법안에 대한 전반적 견해
▶ 주5일 근무제에 대한 정부 입법안의 주요 내용에 대해 대부분(72.5%)의 국민들은 '찬성한다'는 견해를 보여('적극적으로' 16.6%, '대체로' 55.9%), 정부 입법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공감함을 알 수 있었다.
- 정부 입법안 주요내용에 대해 찬성하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많았고,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 등의 근로자와 학생계층에서 높은 찬성 견해를 보였다.
〈 주5일근무제 입법안에 대한 전반적 견해 〉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1.2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