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록 편 성 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자료목록의 의의와 기능
Ⅱ. 목록의 종류
Ⅲ. 현대의 주요 목록규칙(편목규칙)의 변천(발전)사
Ⅳ. 기술(記述)총론
Ⅴ. 표준서지기술법(KCR3중심)
Ⅵ. 표목( Heading)
Ⅶ.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 단행본용
Ⅷ. 목록의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1 , 7 , 8 는 내용상 존재 무)
0 : 연결정보 (관련 서지정보(연관문헌) 및 소장레코드(분관, 대출 등) 연결 )
1 : 서명과 책임정보
2 : 판사항
3 : 자료의 특정세부사항
4 : 출판사항
5 : 형태사항
6 : 시리즈사항
7 : 주기사항
8 : 표준번호(ISBN)
9 : 주제분석(분류기호 포함
세가지 유형의 MARC포맷 제시(Tillett)
서지레코드를 위한 MARCⅢ(앞의 것)
접근레코드를 위한 MARCⅢ : 서지레코드에 Markup(全文정보 : SGML. HTML, XML 등)된 텍스트를 연결할 수 있는 MARC포맷. 오늘날 의 전거레코드포맷과 유사.
소장레코드를 위한 MARCⅢ : 특정 도서관 내의 자료의 소장위치( 권.호와 복본 정보. 바코더정보. 청구기호 링크 )
2. 편목수준(간략수준 선호추세)
1876년 Cutter의 개념을 계승한 AACR2R에 제시된 3수준의 편목은 오늘날과 같은 전자환경에서는 매우 유용하다.
최소수준목록(MLC : Minimal Level Cataloging)은 영미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미국의회도서관과 OCLC에서 표준으로 제정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AACR2R의 제1수준 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짧은 목록(short cataloging), 간결한 레코드목록(brief record cataloging), 간략화된 목록(simplified cataloging), K-수준 입력 , 그리고 less-than- full 목록 으로도 알려져 있다.
Core Record(핵심레코드)는 최소수준 목록 이 비용 효과적이나 제한된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1994년에 미국의회도서관이 AACR2R의 2수준 을 기초로 하여 PCC(Program for Cooperative Cataloging) 의 일환으로 마련된 Core Record 가 대표적인 표준으로서 최근 들어 모든 수준의 도서관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블린코어의 15개 기술요소는 제2수준, 즉 Core Record : 핵심레코드 수준이므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안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더블린코어와 단행본용 핵심레코드의 데이터요소를 상호 비교한 결과 비공통 데이터요소는 1) 040 목록작성기간, 2) 250 판사항, 3) 260 $a 출판지, 4) 300 형태사항, 5) 4XX 총서사항, 6) 502 학위논문주기, 7) 505 내용주기, 8) 533 복제주기, 9) 8XX 총서부츨표목 등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공통요소들은 현대의 전자환경에서 데이터요소가 추가되어야 하는지 혹은 삭제되는 것이 타당한 지에 대한 논의를 거쳐서 데이터요소의 추가나 삭제가 이루어 져야 한다.
Dublin Core Element
Core Record Element
Title
245 $a 서명 (240 통일서명, 246 별서명 포함가능
Creater
100 $a 기본표목 개인명, 110 $a 기본표목 단체명
Subject
650 $a 일반주제명, $a LCCN(LC 청구기호),
082 $a DDC(DDC기호), 086 $a 정부문서분류기호
090 $a 자관청구기호(600:주제명부출표목개인명, 651:주제명부 출표목지명 포함 가능)
Descrition
520 $a 요약
Publisher
260 $b 발행자, 배포자
Contrebuters
700 $a 부출표목 개인명, 710 $a 부출표목 단체명
720 $a 부출표목 비통제명
Date
260 $c 출판년, 배포년
Type
516 $a 컴퓨터파일 혹은 데이터유형 주기
Format
538 $a 시스템세부사항 주기
Identifier
010 $a LC번호, 020 $a ISBN, 856 $u URL
Source
786 $t 원자료저록
Language
546 $a 언어주기
Relation
787 $n 비특정적 관계저록(77X, 78X 포함가능)
Coverage
513 $b 자료에서 취급된 시대주기
Rights
506 $a 사용제한 주기
<더블린코어와 핵심레코드의 데이터요소 비교>
3. 메타데이터
인터넷상의 웹자원을 비롯한 네트웍상의 전자정보를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생하게 된 개념인 메타데이터 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네트웍상의 디지털형태의 정보자원에 관한 소재나 내용을 기술하고 네트웍환경에서 이를 탐색하고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요소들 의 집합이다. 현존하는 도서관의 편목기술과 절차를 응용하여 인터넷자원에 적용한 OCLC 매뉴얼과 네트웍상의 자원에 대한 목록을 메타데이터로 기술한 더블린 코어(DUBLIN CORE)를 소개하고자 한다.
① 더블린 코어
OCLC/NCSA 메타데이터 웍샵에서 데이터에 대한 간단한 자료기술법으로 알려진 더블린 코어는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환경에서 저자(creator)나 정보제공자가 인터넷자원에 대해 기술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데이터요소만을 기술한 메타데이터 기술방식이다. 제정 당시에는 의미 있는 최소의 수(13개)로 유지된 더블린코어 메타데이터는 1997년 기술(Description)과 Rights Management의 두 요소를 추가하여 15개의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쉽게 작성하고 넓게 적용하기 위해 크게 3개의 그룹, 즉 1) 접근점(서명 주제, 식별자, 저자 other agent), 2)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정보(출판사, 일자, 객체유형, 형식, 언어, 범위), 3) 기술된 자료와 다른 자료를 연결짓는 객체(관계 ; source)를 기초로 해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더블린코어의 데이터요소는 선택적이고 반복적이며 기술보다는 접근정보를 강조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략한 기술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문의 저자나 발행자가 메타데이터를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② OCLC 매뉴얼
OCLC매뉴얼은 미국 교육부 지원의 인터넷자원의 목록 구축 프로젝트를 돕기 위해 OCLC에서 개발한 인터넷 자원 편목( Cataloging Internet Resources) 에 대한 안내서를 의미한다. 이것은 의회도서관 규칙해설(LCRIs)과 AACR2R 의 제9장 '컴퓨터 파일'을 참조하여 1995년에 발행하고, 1997년에 제2판을 발행하였다.
  • 가격3,300
  • 페이지수76페이지
  • 등록일2002.11.2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