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1 음성과 음운
2.2 음운 체계
2.2.1 모음 체계
2.2.2 자음 체계 : 19개
2.2.3 비분절 음운(초분설음운, 운소)
2.3 음절 구조
2.4 음운의 변동
2.4.1 먼저 알아야할 것들
2.4.2 변동규칙
2.2 음운 체계
2.2.1 모음 체계
2.2.2 자음 체계 : 19개
2.2.3 비분절 음운(초분설음운, 운소)
2.3 음절 구조
2.4 음운의 변동
2.4.1 먼저 알아야할 것들
2.4.2 변동규칙
본문내용
뀌는 현상
밥물 [밤물], 섭리 섭니 [섬니], 앞문 압문 [암문]
닫는 [단는], 겉문 걷문 [건문], 종로 [종노]
국민 [궁민], 국물 [궁물], 깎는 깍는 [깡는]
유음화
'ㄴ'과 'ㄹ'이 만났을 때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
신라 [실라], 천리 [철리], 논리 [놀리]
칼날 [칼랄], 찰나 [찰라], 실날같이 [실랄가치]
앓는 알는 [알른], 끓는 끌는 [끌른]
구개음화
'ㄷ,ㅌ' +'ㅣ'='ㅈ,ㅊ'
굳이 구디 [구지],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경음화
두 개의 안울림소리 서로 만나 뒤의 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국밥 [국빱], 역도 [역또], 입고 [입꼬], 젖소 전소 [전쏘]
종로 [종노] : 순행동화
된소리되기 현상은 앞음절의 빌침이 내파음으로 된 다음에 뒤 초성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이다.
모음동화: 전설 모음화, 모음조화
전설모음화: 'ㅣ'모음과 이웃한 다른 모음이 'ㅣ'모음의 특성(전설고모음)에 동화되는 현상, 'ㅣ'모음 역행동화(umlaut)라 부르기도 한다. -전설모음화는 필수적인 현상이 아니라 수의적인 현상이다.
모음조화: 양모음계열(ㅏ, ㅗ)과 음모음계열(ㅓ,ㅜ)의 조화.
음운의 탈락과 축약도 노력경제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규칙종류
내용
용례
축약 규칙
두 개의 자음이 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한 개의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좋고 [조코], 많다 [만타], 잡히다 [자피다]
가리+어 [가려], 두었다 뒀다 [뒀따], 되+어 [돼]
탈락 규칙
두 개의 자음이 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솔+나무 [소나무], 딸+님 [따님]
울+는 [우는], 살+시는 [사시는], 날+니 [나니]
쓰+어라 [써라], 따르+아 [따라]
가아 [가], 서+있다 섰다 [섣따]
(3) 표현효과에 의한 변화들
형태정보를 요구하는 형태론적 현상으로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음소의 연결로 청각효과가 약화되어 의미가 불분명해질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청각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하는 현상은 이화(dissimilation)라고 한다.
모음조화 파괴현상
사잇소리현상 - 자음삽입, '으'삽입 등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현상의 구분
된소리되기
사잇소리 현상
안울림소리+안울림소리
울림소리+안울림소리
어간과 어미 사이
먹+고 [먹꼬]
합성어 형성
봄+비 [봄삐]
체언과 조사 사이
밥+과 [밥꽈]
파생어 형성
덮+개 [덥깨]
합성어 형성
국+밥 [국빱]
밥물 [밤물], 섭리 섭니 [섬니], 앞문 압문 [암문]
닫는 [단는], 겉문 걷문 [건문], 종로 [종노]
국민 [궁민], 국물 [궁물], 깎는 깍는 [깡는]
유음화
'ㄴ'과 'ㄹ'이 만났을 때 'ㄴ'이 'ㄹ'로 바뀌는 현상
신라 [실라], 천리 [철리], 논리 [놀리]
칼날 [칼랄], 찰나 [찰라], 실날같이 [실랄가치]
앓는 알는 [알른], 끓는 끌는 [끌른]
구개음화
'ㄷ,ㅌ' +'ㅣ'='ㅈ,ㅊ'
굳이 구디 [구지],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경음화
두 개의 안울림소리 서로 만나 뒤의 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
국밥 [국빱], 역도 [역또], 입고 [입꼬], 젖소 전소 [전쏘]
종로 [종노] : 순행동화
된소리되기 현상은 앞음절의 빌침이 내파음으로 된 다음에 뒤 초성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이다.
모음동화: 전설 모음화, 모음조화
전설모음화: 'ㅣ'모음과 이웃한 다른 모음이 'ㅣ'모음의 특성(전설고모음)에 동화되는 현상, 'ㅣ'모음 역행동화(umlaut)라 부르기도 한다. -전설모음화는 필수적인 현상이 아니라 수의적인 현상이다.
모음조화: 양모음계열(ㅏ, ㅗ)과 음모음계열(ㅓ,ㅜ)의 조화.
음운의 탈락과 축약도 노력경제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규칙종류
내용
용례
축약 규칙
두 개의 자음이 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한 개의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좋고 [조코], 많다 [만타], 잡히다 [자피다]
가리+어 [가려], 두었다 뒀다 [뒀따], 되+어 [돼]
탈락 규칙
두 개의 자음이 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솔+나무 [소나무], 딸+님 [따님]
울+는 [우는], 살+시는 [사시는], 날+니 [나니]
쓰+어라 [써라], 따르+아 [따라]
가아 [가], 서+있다 섰다 [섣따]
(3) 표현효과에 의한 변화들
형태정보를 요구하는 형태론적 현상으로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음소의 연결로 청각효과가 약화되어 의미가 불분명해질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청각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하는 현상은 이화(dissimilation)라고 한다.
모음조화 파괴현상
사잇소리현상 - 자음삽입, '으'삽입 등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현상의 구분
된소리되기
사잇소리 현상
안울림소리+안울림소리
울림소리+안울림소리
어간과 어미 사이
먹+고 [먹꼬]
합성어 형성
봄+비 [봄삐]
체언과 조사 사이
밥+과 [밥꽈]
파생어 형성
덮+개 [덥깨]
합성어 형성
국+밥 [국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