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성
덮+개 [덥깨]
합성어 형성
국+밥 [국빱] 2.1 음성과 음운
2.2 음운 체계
2.2.1 모음 체계
2.2.2 자음 체계 : 19개
2.2.3 비분절 음운(초분설음운, 운소)
2.3 음절 구조
2.4 음운의 변동
2.4.1 먼저 알아야할 것들
2.4.2 변동규칙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분절 음운에대하여 설명하라.
비분절 음운이란 분절할 수는 없으나 의미를 변별시키는 역할을 하는 음운을 말한다. 비분절 음운은 문자로 적힐 수 없고, 반드시 어떤 분절 음운과 동시에 실현된다. 국어의 비분절 음운은 장단, 연접, 억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가 두드러짐. 한자로 번역된 서구의 신문명어가 대량으로 도입됨. 1.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의 시대 구분
2-1. 시대 구분
2-2. 시대 구분
3.1. 음운의 변화(모음)
3.2. 음운의 변화(자음)
3.3. 음운의 변화(비분절 음운)
4. 어휘의 변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분절 음운
음운이 의미의 차이를 내는 최소의 단위라고 할 때, 국어에서 소리의 길이는 뜻을 구별 해준다는 점에서 자음, 모음과 같은 자격을 가진다.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나타나며, 본래 길게 발음되는 것도 둘째 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24.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으로서 변별되지 않는다는 특성도 있다. 모음을 살펴보면, 국어의 단모음으로 열 개가 인정되고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비분절 음운으로 국어에 말소리의 길이가 있고, 문장의 억양도 비분절 음운으로 설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