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17세기 초∼19세기 말) :모음 체계상 변화(/ · /의 음가 소멸과 /ㅔ,ㅐ/의 단모음화) 등 음운, 문법, 어휘의 여러 변화로 인해 앞 시대의 언어와 전반적으로 다른 모습을 띰.
(4) 현대 국어(개화기∼현대) :전 시기에 비해 어휘면의 차이가 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훈민정음이 우리말에 끼친 지대한 영향 또한 느껴볼 수 있었다.
참고자료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5. 1] 서론
2] 본론
1. 모음체계
2. 자음체계
3. 성조
4. 음운변화
3] 결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음운의 이론, 국어 음운의 표시, 국어 음운의 인식, 국어 음운과 구개음화, 국어 음운과 자연음운론, 국어 음운과 자음동화, 국어 음운과 모음동화, 중세국어의 음운변화 분석
Ⅰ. 국어 음운의 이론
Ⅱ. 국어 음운의 표시
Ⅲ. 국어 음운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를 표기한 많은 문헌에서 일종의 표기원리가 발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근대국어 표기법의 특징은 일정한 규칙 속에서 다양성을 보이는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근대국어(근대한국어)의 음운변화
1. 파찰음(된소리)
破擦音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을 삭제하여 발음하기도 한다. 이렇듯 여러 변이형이 산출된다.
② 통시적 변화
위에서 살펴본 공시적 변이형이 통시적 차원의 음운 변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국어의 단모음의 증가’가 이를 반영한다. 15세기 국어에서 이중모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