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문법론』3장 음운론과『국어학개설』1장 음운론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문법론』3장 음운론과『국어학개설』1장 음운론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학교문법론』3장과『국어학개설』1장 비교

1. 언어와 인간
2. 언어의 일반성
3. 국어의 특수성

본문내용

.
3. 국어의 특수성
국어의 음운적 특성을 살펴보면,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삼지적상관속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어에서는 무성음과 유성음이 음운으로서 변별되지 않는다는 특성도 있다. 모음을 살펴보면, 국어의 단모음으로 열 개가 인정되고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비분절 음운으로 국어에 말소리의 길이가 있고, 문장의 억양도 비분절 음운으로 설정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형태적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나 어미, 접사와 같은 허사가 발달한 것과 단어 형성법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어휘에서도 한자어 어휘가 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같은 한자어라도 중국이나 일본과 차이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고, 고유어에서도 감각어와 상징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통사적 특성을 살펴보면, 어순이 주어-목적어-서술어로 되어 있다는 것인데, 이 중 서술어가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또한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온다는 것도 특징이고, 주어와 목적어가 중복되어 출현할 수 있다는것도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높임법이 발달되어 있다.
화용적 특성을 살펴보면, 주어가 없는 문장이 많이 쓰이고, 화자의 심리를 잘 나타내주는 보조사나 보조 용언이 발달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2.08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