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음운론 - 자음과 모음의 음운체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은 이론적으로 ‘반모음수(3)*모음수(10)*이중모음종류(상향, 하향, 2)’만큼 가능하나, 실제적으로는 제약이 많다. 국어에서는 하향이중모음이 실현되지 않는다. 중세국거 시기는 하향이중모음이 매우 많았던 것과 대비되는 현상이다. 현대국어의 이중모음은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j'계 이중모음 : j+V
'w'계 이중모음 : w+V
''계 이중모음 : +V
(국어의음성음운론 김동언 p.71)
반모음 ‘j'가 모음 앞에 올 때 형성되는 이중모음을 ’j'계 이중모음이라 한다. 모음 ‘이’의 앞에 올 수 없어 모두 6개를 보인다. 이들은 조음위치가 같아 혀의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노인들이 ‘영등포’를 발음할 때 확인할 수 있는 ‘여’의 발음 [j]는 한글문자로는 표기될 수 없는 이중모음이다. 이것은 [j]와 자유교체를 보이는 이음이다.
=(j) ㅠ/ju/
ㅖ/je/ ㅕ/j/ ㅛ/jo/
ㅒ/j/ ㅑ/ja/
(국어의 음성음운론 김동언 p.72)
'w'계 이중모음은 원순성에서 같은 자질을 갖는 ‘오, 우, 외, 위’ 그리고 이동이 없는 ‘으’앞에서는 발음되지 않기 때문에 모두 5개를 보인다. /we/는 한글문자로는 ‘웨’로 표기되는 것이 보통이나, 경우에 따라 ‘외’로도 표기된다.
ㅟ /wi/
ㅚ/ㅞ /we/ ㅝ /w/
ㅙ /w/ ㅘ /wa/
(국어의 음성음운론 김동언 p.72)
계 이중모음은 모음 ‘i' 앞에서만 실현되어 하나의 이중모음만을 가진다.
ㅢ /i/ ([], [i], [e])
다음으로 모음의 기능 부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모음은 다음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체 빈도수의 47.3%를 차지하고 있는데, ‘ㅏ,ㅣ,ㅓ’가 모음 전체에서 거의 절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빈도수가 높다.
모음(47.3%)
음소
비율
음소
비율




14.4
7.6
7.5
5.9




4.7
2.8
2.5
1.9
(음성음운론 김동언 p.66)
또한, 모음에서 ‘ㅔ,ㅐ’가 빈도가 가장 낮은데, 이것으로 이들의 대립이 중화에 가장 쉽게 노출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모음은 후설모음이 전체 모음의 72.7%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며, 비원순모음이 80.3%를 차지할 정도로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모음은 이중모음에 비해 약 9:1의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중모음 중에서 ‘j'계는 ’w'계에 비해서 약 7:3의 비율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들 모음은 방언에서도 논란이 되는데 이런 모음체계에서 논란이 되는 것은 ‘ㅟ,ㅚ’의 존재여부, ‘ㅔ,ㅐ’의 대립여부, ‘ㅡ,ㅓ’의 대립여부 ‘.’의 존재 등이다.
서북방언에서는 ‘ㅡ’가 ‘ㅜ’로 ‘ㅓ’가 ‘ㅗ’로 합류하면서 모음수가 6개가 되었다. 그리고 경북방언애서는 ‘ㅡ’와 ‘ㅓ’의 비대립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주방언에서 아래아를 음소로 인정하면 제주방언은 모두 9개의 단모음이 된다.
모음체계는 자음과 달리 사적으로 매우 변화가 많다. 큰 차이는 전설모음의 생성과 후설모음 아래아의 변화에 있다. 고대 국어의 모음체계는 한자의 표기에 가려 그 전모를 알기 어려우나, 중세국어는 한글표기를 중심으로 어느정도 체계를 파악할 수 있다.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이기문,1998;151)
I l ㅡ uㅜ
ㅓ oㅗ
aㅏ 아래아
(국어음성음운론 김동언 p.67)
이러한 모음체계는 전설모음이 하나밖에 없는 비대칭의 체계를 보인다. 이것은 근대 국어에 들어있는 아래아의 소실과 이중모음 ‘ㅔ, ㅐ’등의 단모음화로 전설모음이 생성됨으로써 어느정도 균형을 유지한다. 근대 후기에 이르면 ‘위’와 ‘외’도 단모음화 되어 단모음 체계는 국어의 그것과 같아지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1.2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