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운론의 최소 단위. 또한 음절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초성, 중성 및 종성
(표기 시 / /을 씀) 1. 머리말
2. 음운단위
2.1. 음성
2.2. 음소
2.3. 변이음
2.4. 분절음
2.5. 초분절음
2.5. 음절
3. 음운체계
3.1.자음쳬계
|
- 페이지 8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체계
- 음운체계 ⇒ ‘음운자질’의 총화
- 음운자질; - 두 음이 음운론적 대립을 이루게 하는 것 [=언어적자질,변별적자질]
- ‘운소’의 분류자질⇒ ‘음장’과 같은 운율적 자질
분류
자질
“자 음”
활 음
모 음
저해음[순수자음]
비 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체계는 한자의 표기에 가려 그 전모를 알기 어려우나, 중세국어는 한글표기를 중심으로 어느정도 체계를 파악할 수 있다.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이기문,1998;151)
I l ㅡ uㅜ
ㅓ oㅗ
aㅏ 아래아
(국어음성음운론 김동언 p.67)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성
덮+개 [덥깨]
합성어 형성
국+밥 [국빱] 2.1 음성과 음운
2.2 음운 체계
2.2.1 모음 체계
2.2.2 자음 체계 : 19개
2.2.3 비분절 음운(초분설음운, 운소)
2.3 음절 구조
2.4 음운의 변동
2.4.1 먼저 알아야할 것들
2.4.2 변동규칙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훈민정음이 우리말에 끼친 지대한 영향 또한 느껴볼 수 있었다.
참고자료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5. 1] 서론
2] 본론
1. 모음체계
2. 자음체계
3. 성조
4. 음운변화
3] 결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