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환율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환율의 국제수지 조정기능과 종류
1.환율의 국제수지 조정기능
2.환율의 종류

Ⅲ.우리나라의 현행 환율구조
1.환율구조의 특성
2.환율제도관리의 의의
3.기준환율
4.재정환율
5.외국환은행간 매매율
6.한국은행 매매율
7.외국환은행 대고객매매율
8.자유변동환율제도

Ⅳ.우리나라 대고객환율 결정제도
1.USD/KRW의 매매기준율 결정
2.기타통화/KRW의 매매기준율 결정
3.대고객환율의 결정
4.우리나라 환율제도 개편추이

Ⅴ.결론

♠참고문헌 & 참고자료♠

본문내용

, NZD 와 같은 영연방국가 통화는 GBP/USD = 1.6765 - 1.6775에서 중간율인 1.6770을 택하여 1USD = 1,400.40KRW과 1GBP = 1.6770 USD의 방정식을 풀면 1GBP =1.6770 1,400.40 = 2,348.47KRW, 즉 1파운드당 2,348.47원이 된다.
요컨대, 원화로 표시한 기타통화환율은 국내외환시장에서의 USD/KRW 환율뿐만 아니라, 국제외환시장에서의 USD/기타통화 환율(또는 기타통화/USD)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국제외환시장에서의 USD/기타통화(영연방국가의 경우에는 기타통화/USD)기준환율을 선택하는 시점 및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
1).JPY, GBP, DEM, CHF, AUD
당일 동경시장에서 오전 8시50분에 고시되는 Bid-Offered Rate의 중간율을 택하되 동경시장이 휴장일 경우 시드니시장 종가중간율을 택하고, 시드니시장도 휴장이면 뉴욕시장 종가중간율 순으로 거슬러 올라가 환율을 정한다.
2).중동통화(SAR, KWD, BHD, AED)
前日 런던시장 종가 중간율을 택하고 런던시장이 휴장일 경우 바레인시장 종가중간율을 택하며, 바레인시장도 휴장이면 뉴욕시장 종가 중간율을 택한다.
3).그외의 기타통화
前日 뉴욕시장 종가중간율을 선택한다.
4).CNY
중국 외환관리국의 전일 고시가를 선택한다.
5).토요일에는 외환시장이 휴장이므로 JPY, GBP, DEM, CHF, AUD도 前日字 뉴욕시장 종가중간율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월요일의 JPY, GBP, DEM, CHF, AUD환율은 토요일환율과 다르지만 월요일 USD의 對원화환율은 토요일환율과 동일하다.
3.대고객환율의 결정
외국환은행은 금융결제원에서 상기의 기준에 따라 결정된 통화별매매기준율을 통보받아 일정 마진을 가감하여 대고객매매율을 고시하며, 시장환율이 급변할 경우 대고객외환매매율을 독자적으로 재고시할 수 있다.
예컨대 외환은행의 경우 주요통화의 전신환매매율간의 스프레드는 1.5%(CNY의 경우 3%)이고 현찰매매율간의 스프레드는 3%(ESP, THB, SAR, INR, IDR의 경우 6%)인데, 은행에 따라 同 마진율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고객외환매매율은 전신환매매율을 의미하며, 현찰매매율 및 여행자수표매매율은 환율에 연동되어 있으나 외국환수수료개념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4.우리나라 환율제도 개편추이
우리나라의 시장평균환율제도는 Taiwan의 제도를 주로 참고하여 실시하게되었으며, 90. 3. 2시장평균환율제도 도입시 일일 최대환율변동폭은 기준환율로부터 상하 각각 0.4%이었으나 91. 9. 2부터 0.6%, 92. 7. 1부터 0.8%, 93. 10. 1부터 1.0%, 94. 11. 1부터 1.5%, 95. 12. 1부터 2.25%, 97. 11. 20부터 10%로 변경되었고, 97. 12. 16부터 변동폭제한이 철폐되었다.
고정환율제도
1945. 10. 1 해방후 최초로 공식 환율($1 = ₩15)결정
단일변동환율제도
1964. 5. 3 ($1 = ₩256.5)
복수통화바스켓제도
1980. 2. 27 ($1 = ₩580.5)
시장평균환율제도
1990. 3. 1 ∼ 1997. 12. 14
자유변동환율제도
1997. 12. 16 ∼ 現在
Ⅴ.결론
최근 경제신문에서 주간 환율 전망이 1,350선을 돌파 시도할 듯이라고 보고 있다. 지난 주 원/달러 환율은 엔/달러 환율 급등세의 영향으로 98년 10월 20일 이후 최고치인 1,327.5원을 기록하였다. 원/100엔 환율이 1,060∼1,070원 사이의 등악을 보여온 점을 감안할 때, 이번 주 원/달러 환율은 1,336∼1,358원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이유는 그 동안 일부 일본 관료들이 부정해 왔던 엔화 약세를 통한 일본 경제 회복 방안이 아소 장관의 발언을 계기로 일본 정부가 검토해 왔음이 확인됨에 따라 엔화 약세에 대한 시장의 기대 심리가 커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원화 약세가 한국과 일본간의 경제적 관계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아시아 경제 전체가 미국과 일본의 경기 둔화에 따라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세계 경제적 측면에서 파악될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의 환율 안정 개입은 효과가 없을 것이며, 또한 정부의 개입도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단기전이냐 장기적이냐에 대한 관점에서 볼 때 단기전이면 환율이 1,200원선으로 장기적이면 1,400원선으로 환율이 변동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환율은 국내 외환시장에서의 외환수급에 의하여 매일 변동되고 있다.
IMF졸업을 한 지 얼마되지 않은 우리나라는 경제에 중요한 변수인 환율변동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권종오, 『외국환관리법』, 한국고시회, 1998
김영생, 『외국환관리법』, 법경사, 1993
『외환론』, 무역경영사, 1993
『최신외국환거래법』, 법경사, 2001
김정수, 『외환관리론』, 두남, 1999
노상채, 『화폐금융론』, 조선대학교출판부, 2001
문창권, 『외환관리』, 두남, 2000
백 훈, 『글로벌경제』, 연암프레스, 2000
성용모, 『외환을 알아야 큰 돈을 번다』, 지영사, 2000
♠참고자료♠
www.bok.or.kr 한국은행
www.empas.co.kr 엠파스 백과사전
www.mofe.go.kr 재정경제부
www.onstudy.com 무역실무교실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매일경제신문
서울경제신문
【목차】
Ⅰ.서론 1
Ⅱ.환율의 국제수지 조정기능과 종류
1.환율의 국제수지 조정기능 1~2
2.환율의 종류 2
Ⅲ.우리나라의 현행 환율구조
1.환율구조의 특성 3
2.환율제도관리의 의의 3~4
3.기준환율 4
4.재정환율 4
5.외국환은행간 매매율 5
6.한국은행 매매율 5
7.외국환은행 대고객매매율 5~7
8.자유변동환율제도 7
Ⅳ.우리나라 대고객환율 결정제도
1.USD/KRW의 매매기준율 결정 7~8
2.기타통화/KRW의 매매기준율 결정 8~9
3.대고객환율의 결정 9
4.우리나라 환율제도 개편추이 9~10
Ⅴ.결론 10
♠참고문헌 & 참고자료♠ 11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2.03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