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IV 와 에이즈는 무엇인가?
2. 누가 HIV에 감염될 위험이 많은가?
3.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들이 에이즈에 걸릴까?
4. 사람들이 HIV에 감염되었는지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5. HIV 혹은 에이즈에 걸린 사람이 얼마나 살 수 있을까?
6. HIV 감염이나 에이즈를 예방하는 백신은 있나?
7. 어떻게 HIV는 전염되는가?
8. 에이즈에 감염될 위험한 행동은 어떤 것들이 있나?
9. HIV에 노출된 모든 사람이 HIV에 감염되는가?
10. 항문섹스는 왜 HIV 감염의 위험이 높을까?
11. 오럴섹스로 HIV를 감염될 수 있을까?
12. 여러 사람과 성적 접촉을 하는 사람이 HIV 감염의 위험이 높을까?
13. 여성은 어떻게 HIV에 감염되는가?
14. 키스로 HIV에 감염될까?
15. HIV 혹은 에이즈에 걸린 사람과 같은 장소에 산다고 감염될까?
16. 에이즈는 음식, 물,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을까?
17. HIV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
2. 누가 HIV에 감염될 위험이 많은가?
3.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들이 에이즈에 걸릴까?
4. 사람들이 HIV에 감염되었는지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5. HIV 혹은 에이즈에 걸린 사람이 얼마나 살 수 있을까?
6. HIV 감염이나 에이즈를 예방하는 백신은 있나?
7. 어떻게 HIV는 전염되는가?
8. 에이즈에 감염될 위험한 행동은 어떤 것들이 있나?
9. HIV에 노출된 모든 사람이 HIV에 감염되는가?
10. 항문섹스는 왜 HIV 감염의 위험이 높을까?
11. 오럴섹스로 HIV를 감염될 수 있을까?
12. 여러 사람과 성적 접촉을 하는 사람이 HIV 감염의 위험이 높을까?
13. 여성은 어떻게 HIV에 감염되는가?
14. 키스로 HIV에 감염될까?
15. HIV 혹은 에이즈에 걸린 사람과 같은 장소에 산다고 감염될까?
16. 에이즈는 음식, 물,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을까?
17. HIV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
본문내용
후 잇몸에서 약간의 피가 나왔고, 다음에 진한 키스를 했다고 하였다.
단지 침이 닿았다해서 HIV에 감염되지는 않고 침속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 있는 경우에만 위험하다. 파트너나 아이들에게 하는 일상적인 키스를 통해서 HIV는 전염되지 않는다.
15. HIV 혹은 에이즈에 걸린 사람과 같은 장소에 산다고 감염될까?
에이즈나 HIV에 걸린 사람과 일상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되었다는 얘기는 전혀 없다. 단지 혈액을 접촉했다든지, 칫솔을 같이 쓴다든지, 바늘을 같이 쓴다든지 하는 행위만이 위험하다.
16. 에이즈는 음식, 물,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을까?
아니다. HIV는 공기나 물, 음식 혹은 HIV에 감염된 사람이 만진 것을 만지는 일은 전혀 위험하지 않다.
17. HIV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
좋은 방법이다. 콘돔을 사용하면 정자, 혈액, 질액등 몸에서 나온 액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유용하다. 콘돔과 더불어 살정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너무 자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 글은 뉴욕의 건강담당부서에서 나온 책자를 번역한 것입니다.
2000/05/09 (12:19:57)
단지 침이 닿았다해서 HIV에 감염되지는 않고 침속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 있는 경우에만 위험하다. 파트너나 아이들에게 하는 일상적인 키스를 통해서 HIV는 전염되지 않는다.
15. HIV 혹은 에이즈에 걸린 사람과 같은 장소에 산다고 감염될까?
에이즈나 HIV에 걸린 사람과 일상적인 접촉을 통해 감염되었다는 얘기는 전혀 없다. 단지 혈액을 접촉했다든지, 칫솔을 같이 쓴다든지, 바늘을 같이 쓴다든지 하는 행위만이 위험하다.
16. 에이즈는 음식, 물,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을까?
아니다. HIV는 공기나 물, 음식 혹은 HIV에 감염된 사람이 만진 것을 만지는 일은 전혀 위험하지 않다.
17. HIV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
좋은 방법이다. 콘돔을 사용하면 정자, 혈액, 질액등 몸에서 나온 액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유용하다. 콘돔과 더불어 살정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너무 자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이 글은 뉴욕의 건강담당부서에서 나온 책자를 번역한 것입니다.
2000/05/09 (12:19:57)
추천자료
노인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행복감간의 관계
성병의 종류
성병의 종류와 예방
[건강학] 감염성 질환 예방에 관해
[약리학]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항종양제, 항협심증제, 이뇨제, 항부정맥제 등
항체, T cell, 항원제공세포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왜 지구촌 곳곳을 돕는가
현대 사회에서 과학자가 과학에 대해 사회에 대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요건
[동성애][동성연애]동성애(동성연애)의 의미, 동성애(동성연애)의 이론, 동성애(동성연애)의 ...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서술
지역
[청소년의 성교육] 청소년 성 문제의 현황과 문제점 및 청소년 교육 방안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