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김유정의 소설 세계
들어가며
김유정의 생애
1930년대의 문학사
작품세계 바라보기
줄거리
등장인물 성격
풍자, 묘자, 아이러니
김유정 문학의 특징
들어가며
김유정의 생애
1930년대의 문학사
작품세계 바라보기
줄거리
등장인물 성격
풍자, 묘자, 아이러니
김유정 문학의 특징
본문내용
린 맛으로 그의 가슴을 찌푸뜨렸다. -춘호처의 심적 갈등
"지금 온댔는데, 좀 기다리지…….", "아닐세, 좀 기다리게. 여보게, 여보게, 이봐!"-이주사의 탐욕적 성격
"이년아, 기집 좋다는 게 뭐여. 남편의 근심도 덜어 주어야지, 끼고 자자는 기집이여?"-춘호의 성격
춘호는 아직 분이 못 풀리어 뿌루퉁하니 홀로 앉았다. 그는 자기의 고향인 인제를 등진 지 벌써 삼 년이 되었다. 해를 이어 흉작에 농작물은 말못되고 따라 빚쟁이들의 위협과 악다구니는 날로 심하였다. 마침내 하릴없이 집 세간살이를 그대로 내버리고 알몸으로 밤도주하였던 것이다. 살기 좋은 곳을 찾는다고 나 어린 아내의 손목을 이끌고 이산 저산을 넘어 표랑하였다. 그러나 우정 찾아든 곳이 고작 이 마을이나 산속은 역시 일반이다. 어느 산골엘 가 호미를 잡아 보아도 정은 조그만치도 안 붙었고, 거기에는 오직 쌀쌀한 불안과 굶주림이 품을 벌려 그를 맞을 뿐이었다. 터무니없다 하여 농토를 안 준다. lf 구멍이 없으매 품을 못 판다. 밥이 없다. 결국에 그는 피폐하여 가는 농민 사이를 감도는 엉뚱한 투기심에 몸이 달떴다-춘호의 무능력함.
남편은 혼자 중얼거리며 바른팔을 들어 이마 위로 흐트러진 아내의 머리칼을 뒤로 쓰다듬어 넘긴다. 세상에 귀한 것은 자기의 아내! 이 아내가 만약 없었던들 자기는 홀로 어떻게 살 수 있었으려는가! 명색이 남편이며 이날까지 옷 한 벌 변변히 못 해 입히고 고생만 짓시킨 그 죄가 너무나 튼 듯 가슴이 뻐근하였다. 그는 왁살스러운 팔로다 아내의 허리를 꼭 껴안아 가지고 앞으로 바특이 끌어당겼다.-춘호의 아내에 대한 애정. 가난으로 인해 아내의 몸을 돈을 받고 팔아 현재 우리의 눈으로 보면 가정이 파탄된 것이지만 오히려 부부간의 금슬이 좋아짐.
3. 등장인물의 성격(심리적 측면)
춘호처- 남편의 재촉에 견디다 못해 이주사에게 몸을 바치고 2원을 얻으려 함. 매춘이라는 부도덕한 행위를 했지만 자신의 의지대로 한 것이 아님. 본문에서 여러번 고민하는 부분을 보면 알 수 있음.
춘 호- 고향을 떠나 정착한 마을에서 아무런 일도 얻지 못함. 때문에 노름판에서 전전하며 일확천금을 얻기를 바람. 아내를 이주사에게 보내기 위해 단장을 시켜주지만, 실제로는 모른 척하고 있음(암묵적 동의).
이주사- 동네에서 많은 부를 지니고 있는 지주. 동네 아낙네들을 돈으로 매수하여 겁탈함.
돌쇠처- 이주사에게 몸을 바치고 물질적으로 넉넉하게 살게 됨.
"지금 온댔는데, 좀 기다리지…….", "아닐세, 좀 기다리게. 여보게, 여보게, 이봐!"-이주사의 탐욕적 성격
"이년아, 기집 좋다는 게 뭐여. 남편의 근심도 덜어 주어야지, 끼고 자자는 기집이여?"-춘호의 성격
춘호는 아직 분이 못 풀리어 뿌루퉁하니 홀로 앉았다. 그는 자기의 고향인 인제를 등진 지 벌써 삼 년이 되었다. 해를 이어 흉작에 농작물은 말못되고 따라 빚쟁이들의 위협과 악다구니는 날로 심하였다. 마침내 하릴없이 집 세간살이를 그대로 내버리고 알몸으로 밤도주하였던 것이다. 살기 좋은 곳을 찾는다고 나 어린 아내의 손목을 이끌고 이산 저산을 넘어 표랑하였다. 그러나 우정 찾아든 곳이 고작 이 마을이나 산속은 역시 일반이다. 어느 산골엘 가 호미를 잡아 보아도 정은 조그만치도 안 붙었고, 거기에는 오직 쌀쌀한 불안과 굶주림이 품을 벌려 그를 맞을 뿐이었다. 터무니없다 하여 농토를 안 준다. lf 구멍이 없으매 품을 못 판다. 밥이 없다. 결국에 그는 피폐하여 가는 농민 사이를 감도는 엉뚱한 투기심에 몸이 달떴다-춘호의 무능력함.
남편은 혼자 중얼거리며 바른팔을 들어 이마 위로 흐트러진 아내의 머리칼을 뒤로 쓰다듬어 넘긴다. 세상에 귀한 것은 자기의 아내! 이 아내가 만약 없었던들 자기는 홀로 어떻게 살 수 있었으려는가! 명색이 남편이며 이날까지 옷 한 벌 변변히 못 해 입히고 고생만 짓시킨 그 죄가 너무나 튼 듯 가슴이 뻐근하였다. 그는 왁살스러운 팔로다 아내의 허리를 꼭 껴안아 가지고 앞으로 바특이 끌어당겼다.-춘호의 아내에 대한 애정. 가난으로 인해 아내의 몸을 돈을 받고 팔아 현재 우리의 눈으로 보면 가정이 파탄된 것이지만 오히려 부부간의 금슬이 좋아짐.
3. 등장인물의 성격(심리적 측면)
춘호처- 남편의 재촉에 견디다 못해 이주사에게 몸을 바치고 2원을 얻으려 함. 매춘이라는 부도덕한 행위를 했지만 자신의 의지대로 한 것이 아님. 본문에서 여러번 고민하는 부분을 보면 알 수 있음.
춘 호- 고향을 떠나 정착한 마을에서 아무런 일도 얻지 못함. 때문에 노름판에서 전전하며 일확천금을 얻기를 바람. 아내를 이주사에게 보내기 위해 단장을 시켜주지만, 실제로는 모른 척하고 있음(암묵적 동의).
이주사- 동네에서 많은 부를 지니고 있는 지주. 동네 아낙네들을 돈으로 매수하여 겁탈함.
돌쇠처- 이주사에게 몸을 바치고 물질적으로 넉넉하게 살게 됨.
추천자료
빙허 현진건의 삶과 문학세계
<채만식의 작품세계>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지평을 넓혀가는 분단문학의 장, 김원일의 작품세계와 마음의 감옥 분석
헤밍웨이와 그의 작품세계 평론
신경향파(최서해)의 문학세계
이기영의 생애와 작품세계 -
김승옥, 감수성의 혁명과 자기 세계
채만식의 문학 세계
윤흥길의 작품세계 -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를 중심으로
아산 이기영의 생애 및 문학세계
현대문학강독3공통)이인직의 혈의루 은세계 중 1편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를 ...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崔致遠)」 연구 ―「최치원」이 갖는 전기소설(傳奇小說)...
(A+) 색계 (色,戒/Lust, Caution) - 소설과 영화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의세계 공통] 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 자료를 각각 1편씩(총 3편) 선택하여 각각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