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의 작품세계>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만식의 작품세계>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채만식의 약력

B. 들어가며....

C. 1930년대의 시대상황

D. 1930년대 문학동향

E. 채만식의 풍자성

F. 작품분석
1. <태평천하>
2. <탁류>
3. <레디메이드 인생>
4. <치숙>

G. 채만식의 작품 세계

본문내용

다. 경제적 궁핍상이 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주인공 p는 그 원인을 역사적 조건에서 찾으려고 한다. 개화의 적당한 시기를 놓쳐 버린 대원군의 정책이나 교육만이 개인과 국가가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외치던 개화기 이후의 자유주의 물결 같은 것이 결국은 경제적 현실을 망각하게 만든 원인이라고 진단하고 있는 것이다. 당대의 인텔리들은 말하자면, 수요는 일정한데 무작정 공급되는 물량과 같은 시세 없는 존재들이란 판단이다. 찾는 사람이 없는 물건, 이것이 p라는 인텔리가 처해 있는 현실이며, 바로 이런 사람들이 레디 메이드 인생인 것이다.
이 작품은 풍자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작가의 비꼬는 듯한 어조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p가 어린 아들을 취직시키는 대목은 사회 현실에 대한 소극적 저항인 동시에 자신에 대한 비감 어린 풍자이다. 어려서부터 기술을 배우는 것이 그래도 사람 구실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생각에서 아들을 인쇄소에 무료 견습공으로 맡겨 버리는 행위는 레디 메이드 인생, 실속 없는 인텔리의 슬픈 결단이 아닐 수 없다.
♧등장 인물의 성격
* p - 무직 인텔리로 가진 기술은 없으면서도 배웠기 때문에 직업에 대한 눈은 높은 인물이다. 쓸데없는 잡지식이나 가지고 있는 당시의 고등 실업자의 전형이다. 굶기를 밥먹듯이 하는 가난 속에서도 식민지하의 체제에 대한 비판 의식을 갖고 있지만, 결국 아무런 해답도 얻어내지 못하는 인물이다.
* k사장 - 언행 일치가 되지 않는 위선적인 인물이다.
* M, H, 아들 창선 : 보조적 인물들. M, H는 P의 친구이며 역시 실업자.
4. <치숙>
글의 표면에서 일본인 밑에서 만족을 느끼며 사는 한 소년의 입을 빌려 무능한 지식인 아저씨의 비극이 조롱되고, 그 이면에서 그 아저씨의 사상 실천적 삶이 옹호되고 있는 풍자 소설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두 인물은 나름대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인공 아저씨는 현실을 추악하게 보고 개인적 파멸을 감수하면서 현실에 대항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조카인 나는 현실을 아름답게 보고 만족하며 사는 인물이다. 시대 상황에 대한 유식층과 무식층의 반응을 표현한 것이다. 작품에서 '칭찬-비난의 역전'의 형태로 작가는 '나'의 생활 방식을 칭찬하고 아저씨의 비현실적인 사고 방식을 비난하고 있지만, 그 심층적인 의미에서는 '나'의 생활 방식을 은근히 비판하고 아저씨의 입장에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가 사회주의자인 아저씨를 적극적으로 긍정하지 않은 점은 동반자 작가의 세계관적 한계라 하겠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는 일제 강점기에서의 민족적 비극이 당연한 것이라는 표현에서 현실과 타협해 사는 당대 일상인의 삶의 실제를 엿볼 수 있는 동시에 그러면서도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일제에 의한 지배 구조에 맞싸우는 노력이 참으로 값진 것이라는 진실을 알려주는 역논리기법이 발휘되어 있다. '레디 메이드 인생'과 더불어, 지식인을 대상으로 삼은 채만식 풍자 문학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 후에 채만식은 일제에 순응하는 친일 분자가 되고, 해방 후에 일제 말기의 자신의 과오를 반성하는 '민족의 죄인'을 발표하게 된다.
♧등장 인물의 성격
* 나 - 보통 학교 4학년을 마치고 일본인 밑에서 사환으로 있는 소년. 일제에 의한 식민지 상황을 전적으로 긍정하고 기꺼이 일제에 동화되어 가겠다는 인물
* 아저씨 - 대학을 나온 뒤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감옥살이를 하고 이제는 병이 들어서 폐인이 되다시피한 지식인
G. 채만식의 작품 세계
채만식은 문학을 '역사를 밀고 나가는 힘'으로 보고, 민족·역사·사회를 제재로 삼았다. 1920년대부터 30년대 초까지는 농촌 현실·인텔리의 궁핍상·노동자의 갈등·유이민 현상 등을 부정하는 단편들을 발표하였으며, 34년부터 38년까지는 현실 인식의 성숙도와 예술적 성취도가 최고 수준에 이른 시기로, "레디 메이드 인생", "탁류", "태평 천하", "치숙" 등 그의 대표작들이 나왔다. 39년부터 50년까지 한때는 내선 일체적 작품도 썼으나, 진보적 중간파의 입장에서 당대의 혼란상과 부정적 현상들을 풍자·비판하였다.
채만식의 작품 세계는 당시의 현실 반영과 비판에 집중되어 있다. 식민지 상황하에서의 농민의 궁핍, 지식인의 고뇌, 도시하층민의 몰락, 광복 후의 혼란상 등을 실감나게 그리면서 그 근저에 놓여 있는 역사적·사회적 상황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작품기법에 있어 매우 다양한 시도를 한 바 있는데, 특히 풍자적 수법에서 큰 수확을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대화소설'이라는 형식은 그가 만들어낸 특이한 것이다. 그가 택한 소재와 작중인물은 다양하지만 일관된 관점은 그들이 시대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어떻게 변모하는가 하는 점, 그리고 시대의 정의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었다. 그런 점에서 그는 일제강점기의 작가 가운데 가장 투철한 사회의식을 가진 사실주의작가의 한 사람이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
參考文獻
1. 김윤식, [채만식의 문학세계](김윤식편, {채만식}, 문학과지성사 1984)
2. 조남현, [채만식문학의 주요 모티프]({한국현대소설연구}, 민음사 1987)
3. 임화, [세태소설론],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4.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홍성사, 1979)
5. 김우종 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1990
6. 김윤식, 「채만식이 지닌 삶의 태도와 작가적 방법」, 『한국문학대표선집4, 채만식의 `탁류』, 문학사상사, 1997
7. 김홍기, 「채만식소설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요약집, 1989
8. 이주형, 「채민식 문학과 부정의 논리」, 『한국현대소설사연구』, 민음사, 1987
9. 이훈, 「채만식 소설연구」, 『현대문학연구』, 1987
10. 한형구, 「채만식의 `탁류`와 비극적 세계관」, 《문학사상》, 1987. 9-10
11. 홍이섭, 「채만식의 `탁류` - 근대사의 한 과제로서의 식민지의 궁핍화」, 《창작과 비평》, 1973. 봄
12. 김남천, [세태 풍속묘사 기타]({비판} 1938.6)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8.03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