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 -암울한 시대의 풍자정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들어가는 글

2.채만식의 생애

3.채만식의 문학관

4.문학적 특성
*1930년대 시대적 배경
1) 사회 역사 의식
*식민지 당대의 사회적 관심사
①당대의 실직 인텔리들의 고뇌와 궁핍한 생활의 실상
②당대 농민들의 생활양상
③진보주의적 사관
2) 비판정신과 풍자성
3) 풍자의 언어와 반어법

5. 한계와 의의

본문내용

와 방언 및 일상적인 의성어, 의태어 등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방언은 지문이나 대화에 있어서 전라도 방언의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채만식 문학에서 풍자는 아이러니의 기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지만, 특히 1인칭 서술자를 부정적 인물로 설정하고 있는 치숙, 소망등의 작품에서 극적 아이러니의 교모한 구사를 볼 수 있다. 즉 부정적 인물을 서술자로 설정하여 긍정적 인물을 조롱하고 비웃게 함으로써 대조적으로 자신의 자치적 의실을 드러내도록 한 기법은, 작중 인물의 인식과 작자, 혹은 독자의 인식간의 차이와 긴장을 이용하는 고도의 극적 아이러니의 기법으로 작자가 겨냥한 풍자적 효과를 크게 높이고 있다.
5. 한계와 의의
채만식을 통하여 우리는 고약한 세상에서 어렵게 살아가면서도 역사의 증인이 되려고 했던 몇몇 양심적인 지식인의 모습을 떠 올리게 된다. 채만식은 여느 비평에서 보이는 것처럼 니힐리스트는 아니었다. 그는 미래에 대한 굳은 신념을 잃지 않고 버티었다. 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이란 세상 돌아가는 것을 증언하는 것이라고 믿은 사람이었다. 그의 증인의식은 부정정신으로 구체화되었다. 그의 증언 내용은 자기가 산 사회의 부정적 양상들이었다. 증언할 긍정적 양상을 발견하기가 극히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의 예술이 꽃을 피울 수 있었던 것은 투철한 증인의식 때문이었다. 부정적 증언이 없는 작품은 그에 있어서 한낱 평범한 소모품에 불과했다. 부정 정신은 훌륭한 문학 형식을 낳았다. 훌륭한 내용을 담은 문학 작품이란 훌륭한 정신에서 나온다는 것, 훌륭한 문학 형식이란 훌륭한 정신에서 나온다는 것―이런 상식을 채만식은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절감케 하고 있다.
채만식은 결벽한 사람이었다. 해방 후에도 자기 부정을 통해 결벽성을 지켰다. 어떤 개인적 이득도 얻은 바 없으며, 어느 단체에 가입하여 세력의 일부가 된 적도 없었다. 邪를 멀리하고 가난과 고독 속에 자신을 던짐으로써 시대의 증인으로서의 기본을 지켰다. 그러나 이러한 결벽성에도 불구하고 그는 오점을 남겼다. 그의 오점은 일제 강점시대에 민족 전체가 겪은 비극의 한 예증이지만, 우리에게 하나의 큰 교훈을 남기고 있다. 어두운 시절은 영원할 수 없는 것이기에, 반드시 올 밝은 새벽을 위하여 사람들은 맑은 몸으로의 기다림을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는 교훈이다.
채만식에 있어서 창작은 역사적 삶의 전부였고, 부정의 논리는 그의 문학의 근간이 되었다. 그는 끝내 역사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지 못했다. 작품을 통하여 현재를 부정하면서 밝은 미래를 기다렸지만, 결국 만족할 만한 미래를 만나지 못하고 간 것이다.
채만식의 문학은 전근대적 환경으로부터 근대적 자아로의 일탈을 위한 몸부림이었다. 그는 가난한 식민지 시대의 지식인이었고, 역사와 현실을 주목한 의로운 파수꾼이었다. 그의 현실은 언제나 골계적 상황이었고, 그 현실을 그는 애정 어린 비판으로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채만식은 장편 태평천하와 8편의 희곡을 발표했는데 전자는 그 뛰어난 해학성과 스케일로 일로 하여, 후자는 당시 우리 문학의 불모지인 희곡 분야를 발전시켰다는 의미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의 이런 다양한 작품에도 불구하고 우리 문학사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앞으로 재고찰해야 할 문제이다.
하지만 채만식은 피억압 민중들의 소리에 대해 귀기울이면서도 이들로부터 유래되는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지향에 대해서는 더 이상 진착할 수 없었던 사실에서 채만식 문학이 도달한 마지막 한계점을 가늠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문학작가론-집문당
한국현대작가론-민지사
한국근대작가연구-국학자료원
채만식문학연구,한국문학전짐-학원출판사,우리시대 한국문학-계몽사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8.2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