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분석이론과 실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A. 교수 및 교수결과의 측정도구
1. 전통적인 관찰방법
2. 체계적인 관찰방법
3. 관찰체계의 개발
4. 관찰체계의 적용
5. 교사·학생행동의 기술적 분석체계
6. 일반장학의 관찰도구

B. 수업 과정의 분석 방법
1. 수업기록 및 분석
2. 수업분석의 유형별 접근

본문내용

↓||↓↓↓
네모칸 A
네모칸 B
언어의 흐름표를 시각적으로 단순화시키는 한 방법은 똑같은 종류의 반복되는 상호작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화살에 오늬(여기서는 짧은 줄)를 긋는 것이다. 예를 들면, 네모 칸 A에는 각 상호작용을 기록하기 위하여 독립된 화살을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분석해 보면 교사가 이 학생에게 4번 말을 하고 학생이 교사에게 2번 되받아 말을 하였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똑같은 자료를 2화살로 네모 칸 B에 기록하였다. 교사가 한 말을 가리키는 화살은 세 개의 오늬(금)가 그려져 있다. 하나의 화살은 한번 말한 것을 가리키고, 각 오늬도 한번 말한 것을 나타내어 합계 4번의 교사 주도의 말이 된다. 마찬가지로 네모 칸 B도 합계 2회의 학생 주도 발언을 가리킨다.
표준적인 언어의 흐름표는 카테고리이 수를 늘려서 보다 정교하게 될 수 있다. 다음은 가능한 교사의 카테고리이다.
→ + 교사의 칭찬 또는 격려하는 말
→ - 교사의 비평 또는 부정적인 말
→ ? 교사의 질문
→.| 학급전체에 대하여 교사가 한 질문이나 말
학생의 언어행동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별될 수 있다.
→ .V. 학생이 자발적으로 적절하거나 맞는 반응을 함.
→ × 학생이 자발적으로 부적절하거나 부정확한 반응을 함.
→ .?. 교사의 질문
→..| 학생이 학급 전체에 대하여 한 말
계획 협의시 어떤 카테고리를 관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교사가 참여해야 한다. 너무 많은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은 권장하고 싶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언어의 흐름자료를 기록하고 해석하기도 어렵게 된다.
어떤 관찰자는 화살 대신에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고 싶어한다.
문자는 다음 예와 같이 언어 상호작용을 구별하여 지시해 준다.
Q : 교사의 질문 (question)
P : 교사의 칭찬 (prase)
C : 교사의 비평 (criticism)
R : 학생이 자발적으로 적절하거나(relevant) 정확한 반응(response)
X : 학생이 (자발적으로) 부정확하거나 부적절한 반응을 함
q : 학생의 질문, 교사와 학생의 행동은 대문자와 소문자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구별된다.
마. 광학렌즈에 의한 분석법
광각렌즈에 의한 분석은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수업중에 일어나는 사건을 객관적으로 간단하게 기술해 보는 일화기록 방법 또는 녹음이나 녹화기록을 통해 가장 정확한 관찰을 하고 수업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각 학교의 교실에서 녹음이나 녹화기록 방법을 통하여 자기장학을 해 보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가. 일화기록
이 방법은 수업과정 중에 일어나는 사건에 대하여 의도적이고, 직접적이며, 객관적인 관찰기록을 하여 교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나가도록 하는 방법이다.
일화기록은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수업의 상호작용을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광역일초점 의 렌즈를 얼마나 넓혀서 볼 것인가 또는 좁혀서 볼 것인가에 따라 한 학생, 한 집단, 한 학급생 전원 등의 범위를 결정한다.
렌즈를 넓히면 넓힐수록 보다 많은 행동을 할 수 있고, 렌즈를 좁히면 좁힐수록 좁은 행동을 관찰한다. 렌즈를 좁혀서 소수의 대상을 볼 때에는 보다 집중적인 기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 기록방법 및 유의점
가) 일화기록은 짧은 기술적 문장으로 구성한다.
일어나는 사건들이 일시적으로 흘러가는 느낌을 가지도록 문장을 짧게 다듬어 기술한다.
나) 문장은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비평가적이어야 한다.
예 : "학생이 싫증을 내고 있다." 라고 기록하는 것보다
. "몇 학생이 하품을 한다."
. "한 학생이 창 밖을 내다본다."
다) 직관적인 관찰을 사실대로 상세하게 기록한다.
◎ 학습환경의 직관적인 관찰기록 방법
" 교실은 따뜻하다. 온도가 25 를 가리키고 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도를 보여준다. 지도는 바랬다. 나라이름을 읽기는 곤란하다. 수업은 교내 방송으로 방해를 받는다. 형광등 하나가 시끄럽게 잡음을 낸다."
라) 형태는 가능한 한 학습활동의 흐름을 상세하게 기록하는 방법도 있고, 어떤 시사점을 주는 사건이 생길 때마다 기록을 해 나가는 방법도 있다.
나. 녹음·녹화(audio & video)에 의한 분석
녹음과 녹화기록은 아마도 가장 객관적인 관찰방법일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교사를 보는 것처럼 교사가 자기 자신을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녹음, 녹화기록은 광역 일초점을 가지고 있어 교사와 학생이 하고 있는 활동 상황이나 말하고 있는 것을 다양하게 또 정확히 담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학급 내 상호작용의 감정까지도 생생하게 담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활동을 녹음 또는 녹화하면 반복해서 볼 수 있어 교수성과, 수업기술 등을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고, 언어적 교수기술 개선을 도와주는데 큰 효과를 주고 있어 수업분석의 도구로서 점차 이용이 활발해져 가고 있다.
1) 녹음, 녹화방법 및 유의점
가) 비디오 레코더는 비교적 설치하고 분해해서 보관하기가 어려운 편이므로 수업을 녹화해야 할 경우에는 기재를 사용하고 보관하게 편하도록 특별실(기재실)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각 교사는 이 방에서 수업을 실시하고 정규 교실로 돌아가게 한다.
나) 오디어 레코더는 설치와 작용이 훨씬 더 단순하다. 대개 오디오 카세트로 활용하는데 녹음과정은 학급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장소와 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다) 녹화과정에서 수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기재의 비치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교실에 들어오기 전에 미리 기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교사는 녹화과정에서 신체적 외모에 너무 신경을 쓰거나 또는 너무 긴장해서 수업활동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
마) 카메라의 설치장소, 렌즈의 초점을 신속 정확하게 맞추는 방법 등을 익숙하게 하여 수업의 흐름에 따라 교사와 학생들의 활동을 빈틈없이 촬영하고 또한 클로즈업해야 하는 부분 포착 등도 익숙하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바) 수업의 흐름을 촬영하거나 녹음하는 시간은 30분 정도가 적당하다. 이 보다 더 긴 기록을 되돌려 보기에는 지루한 감이 든다.
사) 피드백 시간에는 교사의 활동과 학생의 행동을 여러 측면에서 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개선할 점을 찾도록 한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57페이지
  • 등록일2002.12.06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