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천인상응설이란?
1) 인간은 소우주
2) 하늘과 인간은 서로 감응한다
2. 생체시계란?
1) 생체시계 모델
2) 사람의 생체시계 씨스템
1) 인간은 소우주
2) 하늘과 인간은 서로 감응한다
2. 생체시계란?
1) 생체시계 모델
2) 사람의 생체시계 씨스템
본문내용
체시계와 직접 연계돼 있어 생체시계의 고장이 곧바로 개화시기의 이상으로 표현된다. 물론 생체시계를 조정함으로써 인위적인 개화시기의 조절도 가능하다.
따라서 생체시계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리 및 그 기능 규명과 응용은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의 해결, 생체시계를 고려한 진단, 치료 체제의 개선, 생체시계 관련 새로운 제약분야 및 의료분야 개발에 필수적이다. 또한 생체시계 자체에 대한 다양한 조절물질들의 사용은 가축의 번식기 식물의 수화시기등을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케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 식물의 수확량 증대를 가져올 것이다. 궁극적으로 인간에 있어 수명에 관련된 생체시계 자체의 속도를 늦추거나 노화에 따른 생체시계 씨스템의 고장을 지연 시킴으로서 노화를 지연할 수 있는 신 물질이 21세기에는 생체시계 관련 신약으로서 출현하게 될 것이다.
생체시계 모델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는 24시간 주기의 내부적인 시계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98년도 SCIENCE지 선정 과학계 10대 뉴스)
많은 생명현상이 생체시계와 직, 간접적으로 연계돼 있음. 즉 생체시계의 고장은 직, 간접적으로 연계된 많은 생명현상에 이상을 일으키고 이 중 상당 수가 질병과 관련돼 있음
1997년 척추 동물에서 생체시계 관련 유전자가 처음으로 클로닝 되면서 새로운 유전자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음
특히, 최근 연구에서 생체시계의 이상과 노화의 밀접한 관련성이 밝혀 지면서 생체시계의 조절로서 노화까지 늦출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사람의 생체시계 씨스템
사람의 여러 기관 및 여러 세포에 관여된 독립적인 시계들은 마스터 페이스 메이커인 SCN (suprachiasmatic nuclei)의 조절하에 있음
SCN 자체의 연구는 1회 실험에 쥐의 경우 약 100마리가 사용되는 등 시료 확보에 어려움이 커 SCN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어려움이 큼
초파리 연구와 사람의 뒷 무릎 광조사 연구에서 동물의 모든 각각의 세포는 생체시계 씨스템을 갖고 있음 확인
동물의 조직이나 기관들도 각각의 독립적인 시계를 갖고 있음 확인
이들 시계들은 개체수준에서 SCN의 조절하에 공조하나 독립됐을 때는 독자적인 주기로 움직임
생체시계의 연구자들 대부분이 모든 세포의 생체시계 구성요소는 같은 단백질들로서 이뤄졌을 것으로 예견함
즉 피부세포도 독립적인 시계를 갖고 있으며 배양 중인 세포도 시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이 확인
*출처*
http://www.biospectrum.com
따라서 생체시계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리 및 그 기능 규명과 응용은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의 해결, 생체시계를 고려한 진단, 치료 체제의 개선, 생체시계 관련 새로운 제약분야 및 의료분야 개발에 필수적이다. 또한 생체시계 자체에 대한 다양한 조절물질들의 사용은 가축의 번식기 식물의 수화시기등을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케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 식물의 수확량 증대를 가져올 것이다. 궁극적으로 인간에 있어 수명에 관련된 생체시계 자체의 속도를 늦추거나 노화에 따른 생체시계 씨스템의 고장을 지연 시킴으로서 노화를 지연할 수 있는 신 물질이 21세기에는 생체시계 관련 신약으로서 출현하게 될 것이다.
생체시계 모델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는 24시간 주기의 내부적인 시계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98년도 SCIENCE지 선정 과학계 10대 뉴스)
많은 생명현상이 생체시계와 직, 간접적으로 연계돼 있음. 즉 생체시계의 고장은 직, 간접적으로 연계된 많은 생명현상에 이상을 일으키고 이 중 상당 수가 질병과 관련돼 있음
1997년 척추 동물에서 생체시계 관련 유전자가 처음으로 클로닝 되면서 새로운 유전자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음
특히, 최근 연구에서 생체시계의 이상과 노화의 밀접한 관련성이 밝혀 지면서 생체시계의 조절로서 노화까지 늦출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사람의 생체시계 씨스템
사람의 여러 기관 및 여러 세포에 관여된 독립적인 시계들은 마스터 페이스 메이커인 SCN (suprachiasmatic nuclei)의 조절하에 있음
SCN 자체의 연구는 1회 실험에 쥐의 경우 약 100마리가 사용되는 등 시료 확보에 어려움이 커 SCN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어려움이 큼
초파리 연구와 사람의 뒷 무릎 광조사 연구에서 동물의 모든 각각의 세포는 생체시계 씨스템을 갖고 있음 확인
동물의 조직이나 기관들도 각각의 독립적인 시계를 갖고 있음 확인
이들 시계들은 개체수준에서 SCN의 조절하에 공조하나 독립됐을 때는 독자적인 주기로 움직임
생체시계의 연구자들 대부분이 모든 세포의 생체시계 구성요소는 같은 단백질들로서 이뤄졌을 것으로 예견함
즉 피부세포도 독립적인 시계를 갖고 있으며 배양 중인 세포도 시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이 확인
*출처*
http://www.biospectru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