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연구목적
2.연구사
3. 연구범위
4. 연구배경
5. 연구방법
Ⅱ. 본론
1. 문헌 자료를 통해 알아본 PPL의 효과
2. 성공적인 PPL 사례
3. 설문조사 결과분석
4. PPL의 문제점
Ⅲ. 결론
참고문헌
1.연구목적
2.연구사
3. 연구범위
4. 연구배경
5. 연구방법
Ⅱ. 본론
1. 문헌 자료를 통해 알아본 PPL의 효과
2. 성공적인 PPL 사례
3. 설문조사 결과분석
4. PPL의 문제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효가 없다.
③협찬한 매체의 이미지, 또는 성공률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례로 영화 <북경반점>에서 거액을 지원하고 같은 이름의 제품을 출시한 오뚜기는 영화가 흥행에 실패해 제품도 성공을 못 봤다. <장미와 콩나물>에서 최진실과 임경옥의 직장이던 신한은행은 임경옥이 드라마에서 결혼전 임신해 여직원 이미지를 떨어뜨렸다며 반발, 나중엔 은행장면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한 항공사는 영화제작 지원을 약속했다가 기내에서 스튜어디스와 스튜어드가 성행위를 벌이는 장면이 나오는 대본을 보고 계약을 취소하기도 했다고 한다. (한림대 광고동아리 AD-ZONE)
④광고주의 의도를 프로그램이나 영화 제작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기에 용이하지 못하다.
⑤제품에 맞는 영화를 찾기가 어렵다. 또한 그 이미지에 맞는 영화가 그 때 없을 수도 있다.
⑥구체적인 효과 측정방법이 없어 실제로 PPL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힘들다.
⑦사회적 관점에서는 공공의 영화 속에 상품광고를 교묘히 삽입시켜 소비자의 구매를 조작한다는 비판여론과 영화를 하나의 수많은 상품광고 진열장으로 전락시킨다는 비판여론으로 인해 PPL을 보는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조성한다.
Ⅲ. 결론
위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PPL이 기업의 이미지 상승을 통해 매출증대효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우리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였다. PPL은 아직 구체적 효과측정 모델에 대한 연구 등이 미진하긴 하지만 그 효과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도출해 온 것만은 사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 제기도 만만치 않다. 영화 속의 상품 삽입이 예술로서의 영화에 심각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공공의 영화 속에 상품광고를 교묘히 삽입시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조작한다는 사회압력 단체들의 반발도 있을 수 있고 거기에 다른 법적인 문제가 제기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과연 PPL은 영화를 하나의 수많은 상품광고 진열장으로 전락시키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국영화가 호황을 맞고 있는 지금 기업이 좋은 영화를 선택하여 PPL을 시도한다면 성공할 것임에 틀림없다. 영상매체 파급효과가 커지면서 PPL은 광고주에겐 제5의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PPL은 관객들에게도 사실감을 불어넣는 긍정적 효과를 줄 수도 있다. 특히, 세계시장을 티켓으로 하는 글로벌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로서는, PPL이야말로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안이 될 것이다. 일단, 영화가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둔다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자연스럽게 전세계를 대상으로 자사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영화가 흥행한다는 것을 장담 할 수는 없지만 기업의 투자로 인해 영화계도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기업으로서는 위험한 모험으로 볼 수 도 있겠지만 우리에게 PPL은 신선 한 충격으로 다가왔고 지금까지의 실례를 보아 기업의 이미지에 크게 손해가 되었다고는 말 할 수 없다. 앞으로 PPL의 발전을 위해 전문대행사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매출 증대효과의 구체적인 측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참고문헌
PPL마케팅 광고 정보 1999.11 (서울 -한국 방송 광고 공사)
동국대학교 광고 학과 교수 김봉현 저
http://www.signapr.com
한림대학교 광고 동아리 ad-wone
http://www.jinsoolee.pe.kr/spaces/contact/index.html
htttp://my.netian.com/~nannin9/home.htm
성충모:2001석사학위논문
http://icastle.co.kr
한국i닷컴
③협찬한 매체의 이미지, 또는 성공률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실례로 영화 <북경반점>에서 거액을 지원하고 같은 이름의 제품을 출시한 오뚜기는 영화가 흥행에 실패해 제품도 성공을 못 봤다. <장미와 콩나물>에서 최진실과 임경옥의 직장이던 신한은행은 임경옥이 드라마에서 결혼전 임신해 여직원 이미지를 떨어뜨렸다며 반발, 나중엔 은행장면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한 항공사는 영화제작 지원을 약속했다가 기내에서 스튜어디스와 스튜어드가 성행위를 벌이는 장면이 나오는 대본을 보고 계약을 취소하기도 했다고 한다. (한림대 광고동아리 AD-ZONE)
④광고주의 의도를 프로그램이나 영화 제작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기에 용이하지 못하다.
⑤제품에 맞는 영화를 찾기가 어렵다. 또한 그 이미지에 맞는 영화가 그 때 없을 수도 있다.
⑥구체적인 효과 측정방법이 없어 실제로 PPL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힘들다.
⑦사회적 관점에서는 공공의 영화 속에 상품광고를 교묘히 삽입시켜 소비자의 구매를 조작한다는 비판여론과 영화를 하나의 수많은 상품광고 진열장으로 전락시킨다는 비판여론으로 인해 PPL을 보는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조성한다.
Ⅲ. 결론
위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PPL이 기업의 이미지 상승을 통해 매출증대효과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우리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였다. PPL은 아직 구체적 효과측정 모델에 대한 연구 등이 미진하긴 하지만 그 효과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도출해 온 것만은 사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 제기도 만만치 않다. 영화 속의 상품 삽입이 예술로서의 영화에 심각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공공의 영화 속에 상품광고를 교묘히 삽입시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조작한다는 사회압력 단체들의 반발도 있을 수 있고 거기에 다른 법적인 문제가 제기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과연 PPL은 영화를 하나의 수많은 상품광고 진열장으로 전락시키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국영화가 호황을 맞고 있는 지금 기업이 좋은 영화를 선택하여 PPL을 시도한다면 성공할 것임에 틀림없다. 영상매체 파급효과가 커지면서 PPL은 광고주에겐 제5의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PPL은 관객들에게도 사실감을 불어넣는 긍정적 효과를 줄 수도 있다. 특히, 세계시장을 티켓으로 하는 글로벌 마케팅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로서는, PPL이야말로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안이 될 것이다. 일단, 영화가 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둔다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자연스럽게 전세계를 대상으로 자사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영화가 흥행한다는 것을 장담 할 수는 없지만 기업의 투자로 인해 영화계도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기업으로서는 위험한 모험으로 볼 수 도 있겠지만 우리에게 PPL은 신선 한 충격으로 다가왔고 지금까지의 실례를 보아 기업의 이미지에 크게 손해가 되었다고는 말 할 수 없다. 앞으로 PPL의 발전을 위해 전문대행사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매출 증대효과의 구체적인 측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참고문헌
PPL마케팅 광고 정보 1999.11 (서울 -한국 방송 광고 공사)
동국대학교 광고 학과 교수 김봉현 저
http://www.signapr.com
한림대학교 광고 동아리 ad-wone
http://www.jinsoolee.pe.kr/spaces/contact/index.html
htttp://my.netian.com/~nannin9/home.htm
성충모:2001석사학위논문
http://icastle.co.kr
한국i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