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반발심과 문제행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배경
(1) 반발심
(2) 내·외 통제성
(3) 문제 행동과 우울
(4) 반발심, 내·외통제성, 문제행동과 우울의 관계
3. 연구 가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1. 각 척도별 요인 분석
(1) 심리적 반발심 척도
(2) 문제행동 척도
2. 가설 검증
(1)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반발심과 문제행동, 우울의 차이
(2) 반발심, 문제행동, 우울의 상관 관계
(3) 내적 통제성 수준에 따른 반발심, 문제행동, 우울의 차이


Ⅳ. 논의 및 제언
1. 논 의
2. 제 언
3. 제한점


참 고 문 헌
국 문 초 록
〔부 록]

표 목 차

<표 1> 피험자의 일반적 특징
<표 2> 심리적 반발심
<표 3> 문제 행동
<표 4> 우울감
<표 5> 심리적 반발심......

본문내용

(1998). 부모-자년 간의 의사소통, 친밀감 및 신뢰감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 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용수(1991). 아동기의 우울 성향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유미(1987). 귀인성향,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이천(1988). 내-외적 통제의 소재와 학업성취 및 시험불안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인규(1995). 심리적 반발심과 동조성 및 임상적 경향성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원(1992).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주분(1994). 어머니-자녀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청소년 문제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현숙(1992). 자아개념에 따른 귀인양상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국정신의학회(1997).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서울: 하나의학사
박상희(1996). 여고생의 비행과 심리적 특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박운하(1998). 부모의 양육태도, 가정적 자아개념 및 반발심 간의 관계, 창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종화(1996). 정상, 비행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통제부위 신념의 차이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현자(1993). 통제 소재가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심응철(1992).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안재정(1982). 청소년 비행과 실태, 서울: 한국기독교청소년선도회출판부.
안창일(1987). 비행청소년의 이해와 지도, 서울: 성원사.
양정화(1996).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학생, 교사, 부모의 의견 차이에 관한 연 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옥 정(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종권(1985). 내외통제 경향과 기본 생활습관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원광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덕중(1982). 범죄사회학, 서울: 박영사.
이강인(1982).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미경(1995). 충동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복선(1997). 통제소재가 심리적 반발심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연근(1997). 청소년의 내·외 통제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춘재(1991). 사춘기 신체 성숙 시기와 심리사회적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임미경(1991). 부모의 관심도와 내·외통제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휘숙(1996). 청년심리학, 서울: 장승.
장휘숙(1999).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방자(1994). 여대생의 대인불안, 우울성향 및 내·외통제 성향간의 관계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옥분(1998). 청년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지명숙(1992). 귀인 성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차재호, 김영자, 김철수(1973). 내·외통제 척도 작성, 연구노우트, 한국행동과학연 구소, Vol. 2, No. 19, 263-271.
하회경(1981). 청소년 비행에 관한 사회 정신의학적 연구, 연세대학교의학과 논문.
허인수(1988). 고등학생 일탈행위에 대한 가정과 학교변인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홍성묵, 김선주, 이만영(1994). 청개구리 심보 : 심리적 반발심을 어떻게 측정할 것 인가?, 서울, 한국심리학회지, Vol. 13. No. 1, 153-166.
한국갤럽조사연구소(1988). 한국과 세계 청소년의 의식.
한국문화체육부(1993). 청소년 백서, 서울 : 문화체육부.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5). 여자 청소년의 비행 실태에 관한 연구.
국문 초록
청소년기 반발심과 문제행동 및 우울에 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반발심을 분리-개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청소년의 보편적 심리 반응으로, 문제행동과 우울은 부적응적 증상으로 보았다. 그리고 반발심, 문제행동, 우울의 관계를 살피고, 성, 학년, 성적, 생활 정도, 내·외 통제성과 같은 개인차 변인에 따른 차이를 밝혀보고자 했다.
연구 대상은 서울의 강남, 남부, 동작 교육청 관내의 초·중·고 학생들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발심, 문제행동, 우울은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런데 반발심과 우울은 중·고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문제행동은 초·중·고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남자는 청소년 중기인 고2 때 반발심, 문제행동, 우울이 가장 높았으나, 여자는 청소년 전기인 중2에서 증폭되었다가 중기인 고2 때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성적이 가장 낮은 하집단이 상·중집단보다 반발심, 문제행동, 우울이 더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생활 정도가 가장 어려운 하집단이 상·중집단보다 더 높은 반발심과 문제행동을 보였으나, 우울은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반발심이 높을수록 문제행동과 우울도 높은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내적 통제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반발심과 문제행동, 우울이 유의미하게 더 낮았으며, 동일한 수준의 높은 반발심일지라도 내적 통제가 높을 경우는 문제행동과 우울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은 성인으로 성장하는 발달 과정에서 남자는 중기인 고등학교, 여자는 전기인 중학교 때가 정신적으로 가장 불건강해지기 쉬운 시기이며, 성적이 낮을수록, 생활 정도가 어려울수록 그리고 내적 통제 수준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부적응적 증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많았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2.12.11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