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상이란 무엇인가 ?
2. 애니매이션이란 무엇인가 ?
2. 애니매이션이란 무엇인가 ?
본문내용
리 섬 몬테펠레그리노의 암각화는 인간의 다양한 동작을 난서화로 그렸고, 기원전 5천년경 인도 데칸지방 바위에서 발견된 수렵도는 들솔르 쫓는 사냥꾼의 변화 있는 동작을, 그리고 북 아프리카 사하라 브투칼 산의 무녀도는 무희의 유연한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태평양 중심에 위치한 이스터섬은 거의 암벽화로 된 섬인데 이곳 아나카이탕카 동굴 천장에 그려진 새는 한 몸에 머리가 둘이다. 또한 북아프리카 탓실리자방의 아왕레트 암각화는 인간의 동작을 중복되게 그려 놓아 시간과 공간을 축소해 놓고 있다. 이러한 복합회화는 기원전 8천-5천년경으로 추정되는 리비아의 와디베르그 암각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두 마리의 기린과 코끼리를 이중으로 겹쳐 그렸다. 이밖에 남,북 아프리카 곳곳에서 동화는 수 없이 발견됐다.
일본의 고대 미술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 기법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선 고송총 고분 벽화를 들 수 있다. 서기 650년경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이 고분 벽화는 허공을 향해 힘차게 치솟는 청룡의 모습이 아주 치밀하고 섬세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경탄을 자아 내게 한다. 고송총과 같은 시대에 지어진 법륭사 금당 오층탑에서 나온 여러 장의 낙서 그림은 당시 천장 그림을 그리던 화가들이 쉬는 시간에 심심파적으로 그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사람의 얼굴을 단순히 선만을 이용해 일그러지게 그려 놓았다. 이것은 감정이 없는 무표정한 얼굴이 아닌 감정과 움직임이 있는 얼굴 그림이었다. 서기 750년경에 그려진 마포 보살상은 선 처리가 한결 발전된 모습을 띠고 있다. 구름을 타고 있는 모습이나 바람에 날리는 마포 끈이 리드미컬하게 보살 주위를 맴돌고 있는 묘사는 상 당히 감각적이다. 1296년에 발견된 캄보디아 성벽 도시 앙코르와트 신전의테바타 여신상은 단순하면서도 우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손동작이 단계적이다.
우리 나라의 고대 미술에서 동화를 찾는다면 맨 먼저 길림성 통구의 고구려 시대의 고분 무용총 벽화 가운데 동쪽 벽에 그려진 수렵도를 들 수 있다. 말을 탄 무사들에게 쫓기는 동물들은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 같은 수법은 좁은 화면에 동선을 크게 확보한 기발한 착상이다. 또 진파리 1호분 남쪽 벽 그림도 주의 깊게 봐야 할 것이다. 이것은 단순하게 보면 우뚝 서 있는 나무를 그려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벽화를 그린 화가는 질풍에 흔들리는 나뭇가지와 빠르게 이동하는 구름의 모습을 누가 보아도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생생하게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동화로 확증할 수 있는 그림은 이조 선조 목릉의 주작도이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의 멧돼지 다리를 4개가 아니라 8개로 그린 것과 같이 주작도에서는 새다리를 2개가 아니라 3개로 그렸다. 이것은 새를 180도 회전시킨 것이다. 머리도 좌우로 돌린 모습을 동시에 묘사해 놓고 있다. 경주 155호분 천마총의 벽화 장니천마도는 말 다리 4개외에 신기를 내뿜는 흔적을 그려 놓았다. 마치 알타미라 벽과와 흡사하다. 천 개의 자비로운 눈으로 중생을 응시하고 천 개의 자비로운 손으로 중생을 제도한다는 경주 기림사 관음전의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목상과 일본 도우쇼다우지의 천수관음보살 입상은 몸 좌우에 여러개의 선을 상하 단계작으로 조각했다. 그리고 여성동반자를 껴안고 있는 티베트 밀교의 포외금강은 34개의 팔과 16개의 다리를 조각한 합체존상이다. 포외금강은 우두명왕, 티베트어로는 '뚜어지에 지지에'라고 하는데 악귀를 물리치는 분노신이다. 이 모두 신화적인, 종교적인 해석이 아닌 형태적인 해석으로 접근할 때 누구에게나 정적인 느낌을 벗어나 동적은 느낌을 준다. 즉 움직이는 표현, 다시 말해 동화의 표현으로 보여진다. 무덤 속에서 움직임이 있는 벽화, 즉 동화가 많이 보이는 것은 움직임이 끝난 무덤 속 주인에 대해 생, 이를테면 움직임의 의미를 주기 위한 가족과 친지들의 염원인 것이다. 동굴 벽화뿐만 아니라 로마 조각가들은 강렬한 포즈의 신들과 경기인들의 동작을 조각 작품으로 형상화시켰다. 그리고 무사들이 지니는 방패를 보면 가장자리에는 여러 개의 실루엣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방패 그림들은 낱낱이 분리되어 있지만 위기에 처할 때 방패를 회전시키면 또 다른 모양의 그림이 형성되어 상대를 곤란에 빠뜨릴 수 있었다고 한다.
고대 미술을 벗어나면서 서양이나 동양을 막론하고 선은 차츰 그 움직임이 약해져 거의 정적인 그림으로 바뀌었지만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이렇게 고대 동굴 고분벽화 속의 살아 있는 선에서 출발하고 있다.
일본의 고대 미술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 기법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선 고송총 고분 벽화를 들 수 있다. 서기 650년경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이 고분 벽화는 허공을 향해 힘차게 치솟는 청룡의 모습이 아주 치밀하고 섬세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경탄을 자아 내게 한다. 고송총과 같은 시대에 지어진 법륭사 금당 오층탑에서 나온 여러 장의 낙서 그림은 당시 천장 그림을 그리던 화가들이 쉬는 시간에 심심파적으로 그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사람의 얼굴을 단순히 선만을 이용해 일그러지게 그려 놓았다. 이것은 감정이 없는 무표정한 얼굴이 아닌 감정과 움직임이 있는 얼굴 그림이었다. 서기 750년경에 그려진 마포 보살상은 선 처리가 한결 발전된 모습을 띠고 있다. 구름을 타고 있는 모습이나 바람에 날리는 마포 끈이 리드미컬하게 보살 주위를 맴돌고 있는 묘사는 상 당히 감각적이다. 1296년에 발견된 캄보디아 성벽 도시 앙코르와트 신전의테바타 여신상은 단순하면서도 우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손동작이 단계적이다.
우리 나라의 고대 미술에서 동화를 찾는다면 맨 먼저 길림성 통구의 고구려 시대의 고분 무용총 벽화 가운데 동쪽 벽에 그려진 수렵도를 들 수 있다. 말을 탄 무사들에게 쫓기는 동물들은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 같은 수법은 좁은 화면에 동선을 크게 확보한 기발한 착상이다. 또 진파리 1호분 남쪽 벽 그림도 주의 깊게 봐야 할 것이다. 이것은 단순하게 보면 우뚝 서 있는 나무를 그려 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벽화를 그린 화가는 질풍에 흔들리는 나뭇가지와 빠르게 이동하는 구름의 모습을 누가 보아도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생생하게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동화로 확증할 수 있는 그림은 이조 선조 목릉의 주작도이다. 알타미라 동굴 벽화의 멧돼지 다리를 4개가 아니라 8개로 그린 것과 같이 주작도에서는 새다리를 2개가 아니라 3개로 그렸다. 이것은 새를 180도 회전시킨 것이다. 머리도 좌우로 돌린 모습을 동시에 묘사해 놓고 있다. 경주 155호분 천마총의 벽화 장니천마도는 말 다리 4개외에 신기를 내뿜는 흔적을 그려 놓았다. 마치 알타미라 벽과와 흡사하다. 천 개의 자비로운 눈으로 중생을 응시하고 천 개의 자비로운 손으로 중생을 제도한다는 경주 기림사 관음전의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목상과 일본 도우쇼다우지의 천수관음보살 입상은 몸 좌우에 여러개의 선을 상하 단계작으로 조각했다. 그리고 여성동반자를 껴안고 있는 티베트 밀교의 포외금강은 34개의 팔과 16개의 다리를 조각한 합체존상이다. 포외금강은 우두명왕, 티베트어로는 '뚜어지에 지지에'라고 하는데 악귀를 물리치는 분노신이다. 이 모두 신화적인, 종교적인 해석이 아닌 형태적인 해석으로 접근할 때 누구에게나 정적인 느낌을 벗어나 동적은 느낌을 준다. 즉 움직이는 표현, 다시 말해 동화의 표현으로 보여진다. 무덤 속에서 움직임이 있는 벽화, 즉 동화가 많이 보이는 것은 움직임이 끝난 무덤 속 주인에 대해 생, 이를테면 움직임의 의미를 주기 위한 가족과 친지들의 염원인 것이다. 동굴 벽화뿐만 아니라 로마 조각가들은 강렬한 포즈의 신들과 경기인들의 동작을 조각 작품으로 형상화시켰다. 그리고 무사들이 지니는 방패를 보면 가장자리에는 여러 개의 실루엣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방패 그림들은 낱낱이 분리되어 있지만 위기에 처할 때 방패를 회전시키면 또 다른 모양의 그림이 형성되어 상대를 곤란에 빠뜨릴 수 있었다고 한다.
고대 미술을 벗어나면서 서양이나 동양을 막론하고 선은 차츰 그 움직임이 약해져 거의 정적인 그림으로 바뀌었지만 애니메이션의 역사는 이렇게 고대 동굴 고분벽화 속의 살아 있는 선에서 출발하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의 만화와 일본의 만화 비교 (둘리와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3D케릭터가 영상산업에 미칠 영향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영화, 영상,대중매체 대중문화
일본의 문화코드와 관련하여 일본 애니메이션의 성격과 그 영향력
2003,2004 애니메이션 산업 통계와 자료 분석 정리
문화산업통계-애니메이션 산업 분야, 해외 사례 포함
영상예배와 멀티미디어 교육
기술사업계획서-애니메이션
[일본애니메이션]원령공주를 보고
영상 연출론 기말 과제
2011년 2학기 영상학 중간시험 핵심체크
[동아시아, 농업, 바이오산업, 만화(애니메이션)산업, 영상산업, IT산업]동아시아의 농업, 동...
‘핑크플로이드의 벽 (Pink Floyd : The Wall)’속에 애니메이션의 의미파악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Animation Storytelling】 01.애니메이션 시장 현황과 역사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