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여가생활(실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한계 1
Ⅱ. 이론적 배경 1
1. 청소년기의 특징 1
2. 여가의 이해 4
Ⅲ. 연구 방법 9
1. 연구 대상 9
2. 조사도구 9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9
Ⅳ. 조사결과 분석 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
2. 여가 활동에 대한 일반적 행태 11
3. 여가활동에 대한 여건 12
4. 회귀분석 15
Ⅴ. 결론 및 제언 17
1. 결론 17
2 제언 17

본문내용


R-square
INTERCEP(상수값)
0.9327
1.651
0.1016
주말이나 휴일은 주로 집밖에서 즐긴다
0.3288
0.3044
3.367
0.0010
시간이 나면 주로 TV를 본다.
0.2659
0.2771
2.740
0.0072
0.0745
자연경관도 중요하지만 편의시설이 좋은 곳을 택한다.
0.1825
0.1664
1.844
0.0678
여럿이 하는 스포츠보다는 혼자 즐기는 스포츠가 좋다.
-0.1336
-0.1466
-1.636
0.1046
마땅히 볼 프로그램이 없어도 시간이 나면 습관적으로 TV를 본다.
-0.1710
-0.2006
-2.005
0.0474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우리의 청소년들은 미래의 삶을 준비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있으며, 육체적·정신적으로 변화가 왕성한 시기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건전한 여가생활은 지적·정서적·신체적 성장 중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다양한 현재적 욕구를 자유롭게 표출하고 창조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인 동시에 규칙과 공정성을 익혀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협동적이며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청소년들의 삶은 개성주의와 여가주의에 치중하는 경향이 많다.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발휘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여가에 대해서도 매우 적극적이고 강하게 지향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지향성만큼 우리 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취미와 적성에 맞는 참된 의미에서의 여가를 즐기지는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어렸을 때부터 우리 나라 청소년들은 여러 학원에 내몰려 생활 속에서 여가가 주어지기가 힘들다. 학교에 입학하면 짜여진 시간표를 가지고 대학입시를 위해 공부만을 해야하는 의무가 있으며 공부 외에 다른 일, 즉 여가를 즐기는 청소년은 주변으로부터 문제아라는 따가운 시선을 받아야 한다. 그 원인은 지금의 획일화된 가치관만을 주입하는 교육제도의 문제로써 청소년 각자가 가지고 있는 개성과 소질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제도의 문제로써 청소년 각자가 가지고 있는 개성과 소질을 개발할 수 있는 유용한 여가 문화를 정책적으로 배려하지 않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틀에 박힌 생활과 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매체의 영향과 여가의 상업화로 소비적이고 향락적인 여가를 추구하는 경향도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현재 청소년들이 향유하는 여가의 형태가 자신에게 주어진 여가 시간을 창의적이고 주체적으로 소비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여가 문화를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 제언
1) 여가문화의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여가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관심은 점차 더욱 넓어지고, 욕구는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높아 가는 여가활동에 대한 자존심과 욕구를 만족시켜 줄만한 프로그램은 많지 않다. 그만큼 여가에 대한 정부나 학계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비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요즘의 청소년들은 개성과 주체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여가주의에 대한 지향성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 속에서의 여가 태도는 다르다. 우선 자신의 개성과 적성에 맞고 가장 잘 할 수 있는 여가를 찾는 안목은 없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개인적인 능력과 취향에 맞는 여가의 내용을 찾고, 이를 일상생활 속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줄 아는 방법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여가 생활은 청소년들을 건강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는 기틀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현행 교육제도이다. 현재의 입시 교육아래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유로운 여가생활을 누릴 수 없다. 또한 여가활동에 있어서 너무 청소년들의 개성을 중시하다보면 자칫 공동체적인 여가활동은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청소년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요구되며, 특히 민족적 전통에 기반하고 더불어 사는 사회에 적합한 여가 놀이 개발이 필요하다.
2) 여가문화 지도자의 양성
지금까지 청소년들은 적게 주어진 여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 지 전혀 배운적이 없으며, 여가를 즐기는 방법이나 자신의 적성에 맞게 여가를 스스로 찾아본 적이 없다.
학생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을 보면 오락이나 게임, 인터넷이나 pc통신 등 정적이며 소극적인 여가활동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가는 교육과 달리 고유한 내용과 리듬을 갖춘 하나의 존재양식이다. 따라서 여가도 자기에 대한 배려로 훈련되어지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여가 교육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다양한 여가문화에 대한 지도자를 양성하는 일이다. 여가문화 지도자의 확보는 지역 사회 안에 거주하는 전문예술가들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3) 여가 시설의 적절한 운영
청소년 여가활동은 시설을 필요로 한다. 물론 우리 나라에 청소년들을 위한 시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 수련원, 청소년 회관, 청소년 문화센터 등 많은 여가 시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이 모두 청소년들의 일상적인 여가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 수련원은 주로 방학기간에 집중되어 사용되는 시설이고, 청소년 회관이나 문화센터는 시설의 위치나 프로그램등이 청소년의 접근을 용이하지 못하게 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거주지역 중심의 사고에서 출발해야 한다. 여가 시설이 주거지역에 인접해 있으므로 해서 청소년들은 시간, 장소, 금전 제약으로부터 편하고 부담없이 접근 할 수 있다. 특히 청소년의 여가 시간이 학업을 마치고 오후에 하교 후 주어지므로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시간에도 시설을 개방해야 한다. 이로써 청소년 일탈 방지 효과도 거두고, 시설의 활용도도 높이며, 지역문화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증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는 체육시설과 놀이터/공원 조성에도 힘을 기울여서 청소년들이 정적이고 소극적인 여가활동에서 벗어나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이 월 평균 사용하는 여가비용이 대게 4만원 이하이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한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2.1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