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화교와의 관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949년 이전

1949년 이후

1. 연구의 필요성

2. 세계 화교 인구의 분포

1). 華僑의 起源과 歷史

(1) 화교사(華僑史)의 분기(分期)

(2) 송대(宋代)이후 中國人의 海外移住

(3) 華僑 出國의 原因

2). 現 華僑 人口의 狀況

3). 華僑 華人의 流動, 그리고 歸化

3. 각국의 對화교 政策

1). 서양에 대한 華僑의 影響

(1) 미국

(2) 캐나다

(3) 호주

(4) 영국

2). 韓國의 華僑 정황

4. 反 華僑의 기류

1). 반 중국 동맹의 가능성

<참고 서적>

본문내용

시아의 주요국가들에게 가담해야만 한다고 믿고 있다. 만약 이러한 기본적인 초점의 변화가 호주의 사업, 교육, 정치에 뿌리를 내린다면 호주의 미래는 매우 밝아질 것이다.
(4) 영국
1990년 9월 영국정부는 5만의 홍콩 출신 중국인들에게 영국 여권과 영주권을 부여했다. 캐나다, 호주, 미국의 경우와는 달리 이들이 영국으로 이주하도록 강요하지는 않았다. 대신 이 정책은 천안문사태로 홍콩 지도층이 가지게 된 공포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원래 이 정책은 학교교육이나 가정교육을 통해서 좋은 영어를 구사하고 영국과 일정한 유대가 있으면서, 전문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젊은 가정의 흥미를 끌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이 정책의 결과는 실망스러운 것이었지만, 많은 이주민들이 이 기회를 통해 영국에 정착하였다. 또한 이들에게 있어 유럽공동체의 진입자격은, 영국 여권을 가지는 홍콩인들에게는 큰 매력으로 작용했다. 영국 역시 이주민들의 소규모의 투자의 지속적인 혜택을 입어 왔으며, 이들의 유대관계는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다.
앞에서의 이러한 예들은 모두 좋은 유대관계에서의 모습들이었지만, 그 이면에 화교들의 범죄와 마약, 매춘, 그들의 암흑사회의 확산속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요소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외견상 보이는 모든 현상들은, 특히 중국인들의 세계에서는 믿을 수 없는 것들이며, 그들의 서구에 대한 영향은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다. 특히 의학과 법률분야에 있어서 중국의 전통사상은 매우 강력한 것이고, 21세기초가 되면서 동양에 대한 서양 압력의 조류는 반전될 것이다.
2. 韓國의 華僑 정황
제2차 세계대전 후, 초기한국화교가 한차례 증가하였다. 1948년, 17000여명에서 1953년 21000명, 1954년 22000여명에 이르렀고, 최고 80000명의 화교들이 한국에 자리잡고 있었다. 하지만 그 증가의 수와 폭이 그리 크지 않았고, 한국정부의 압박으로 근 20년동안 화교가 부동산을 사들이는데 제한이 엄격해져, 생계를 도모하는 것이 어려웠기에 어쩔 수 없이 많은 화교들이 출국의 길을 찾게 되었다. 노약자들은 주로 대만으로 다시 자리를 옮기고, 적지 않은 인원이 미주로 옮기었다. 이에 한국의 화교 인구는 점점 감소하였다. 법무부의 1989년말 통계에 따르면 한국화교 인구는 겨우 23585명으로 나타났고, 지리. 역사적인 원인으로 한국화교의 90%는 산동사람으로 나타났다.
현재, 그들의 대부분은 대 도시에 집중되어 있는데 서울에 가장 많이 약 8000여명이 있으며 인천, 부산, 대구 등 48개 도시에 거주하여 살고 있다. 한국화교의 경제 사업은 가장 먼저 주단(비단과 공단)무역 경영에서 시작하여, 이로부터 식당을 경영하거나 채소 등의 재배에 이르렀다. 목전에 화교의 주요한 사업으로는 여전히 식당과 잡화 업에 그 주를 이르고 있으며, 이밖에 여러 식품공장과 철공업, 중의원, 중약방 등이 있다. 근 몇 십년동안 화교의 식당업은 커다란 성과를 이루었으며, 50년대 식당업은 화교의 독점시기였으며, 60년대 화교경영의 사업이 축소되는 추세였지만 여전히 식당업은 활발하여 4000여개에 이르렀다. 70년대후, 한국인들이 앞을 다투어 새로운 형식의 식당들을 투자경영하여 화영식당은 그들과의 경쟁에 어려움을 느끼고, 미주 등지로 자리를 옮기었고, 1985년에 단지 1000여개의 식당만이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서울의 아서원, 진화원, 대려도, 중화루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모두 중형 식당들이다. 잡화업은 화교의 제2의 사업으로 약5%를 차지하며, 모두 소자본 경영이다. 현재는 화교 개설의 중약점이 상당한 호응을 받고 있으며, 이를 "한약포"라 일컫는다. 1983년 전국의 화교 경영 중의원이 59개에 이르고 중약방이 61개에 서의원이 7개 서약방이 15개에 이르렀다.
한국 화교는 비록 두터운 경제적 실력은 없지만, 자녀들의 교육에 있어서 더욱 중시하여, 화교 문화, 교육은 더욱 발달하게 되었다. 청말에서부터 시작하여 각지에 수많은 사숙과 학당을 창설하였고, 통계에 따르면, 한국엔 현재 화교 국민학교가 30개, 중학교가 서울, 인천, 부산, 대구에 4개가 있다 한다. 이 화교 학교는 전부 자신들이 직접 관리하고 경영하며, 졸업자 모두는 대만 학위를 받게 된다. 최근에 화교 인구의 감소와 경제적인 불황 때문에 화교측은 적지 않은 경비와 관리에 있어 많은 어려움에 처하여 있다.
한국의 화교 조직은 비교적 발달하여 아주 오래 전부터 "華僑 商會"와 동우회 등의 조직이 생기었고, 1949년후엔, 각지에서 "華僑 協會"가 성립되어 거대한 규모의 조직이 서울과 인천, 부산, 대구에 자리잡고 있다.
4. 反 華僑의 기류
1. 반 중국 동맹의 가능성
일본을 비롯한 여러 서양국가는 중국이 이미 잠재적, 위협적인 존재라고 인색하고 있다.이에 중국을 배제한 형태에서 지역 동맹관계를 위한 일본의 정책과 전략은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화교 자본이 현지 국가에 대한 투자보다 대륙에 대규모 투자를 실행할 경우 현지 토착인과 중국인의 민족갈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예로, 1994년 4월 인도네시아에서는 반중국인 노동자 폭동이 일어나, 중국계 기업인이 죽고 150개 이상의 화교 상점, 자동차, 가옥이 파괴되었다. 필리핀에서도 이와 유사한 폭동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전체 동남아 중국계의 대부분은 중국을 더이상 모국으로 생각하지 않고 있으며, 투자동기 또한 민족정서, 유대감, 귀향의식이 아니라 이윤동기에 의하여 움직이고 있다.
여기세 화교 1대의 토착적인 경영방식과 구미의 경영을 배운 세대와의 갈등, 즉 동양적 경영과 구미를 둘러싼 중국과 인근국가의 문제가 야기되어 대중화 경제권이 경제협력이 정치, 군사적 문제로 확대될 개연성도 배제 할 수 없다.
이에 따른 세계 각국들의 중국의 진로를 변경할 수 있는 외부 사건의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아시아로부터의 미국의 전략적 철수, 일본의 핵무장, 한반도에서의 전쟁, 석유 사정의 대혼란, 대만의 독립선언, 러시아 연방에서의 극동러시아의 탈피, 핵무장한 북한등을 꼽고 있다.
참고 서적
華僑 華人의 槪況
동아시아 경제
메카트리드 아시아

키워드

중국,   화교,   관계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12.1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