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가변동회계의 의의
2. 물가변동회계의 목적
3. 물가변동회계의 장.단점
4. 물가변동이 회계에 미치는 영향
5. 물가변동에 따른 전통회계 정보의 문제점
2. 물가변동회계의 목적
3. 물가변동회계의 장.단점
4. 물가변동이 회계에 미치는 영향
5. 물가변동에 따른 전통회계 정보의 문제점
본문내용
말 화폐성자산,부채항목 :
기말시점 현행원가 이므로 수정할 필요 없음.
② 비화폐성항목 : 현행원가로 다시 표시함.
③ 자본금 : 현행원가로 표시할 필요 없으므로 수정할 불요없다.
【예제】해물(주) 의 2001.12.31 대차대조표는 아래와 같다.
역사적원가에 의한 대차대조표
-----------------------------+--------------------------------
현 금 220,000 | 매 입 채 무 130,000
매출채권 100,000 | 사 채 500,000
재고자산 300,000 | 자 본 금 500,000
토 지 400,000 | 잉 여 금 240,000
건 물 350,000 |
자산합계 1,370,000 | 부채및자본계 1,370,000
역사적원가에 의한 손익계산서
-----------------------------+--------------------------------
매 출 원 가 900,000 | 매 출 액 1,340,000
매출총이익 440,000 |
영 업 비 150,000 | 매출총이익 440,000
감가상각비 35,000 |
법인세 비용 80,000 |
당기 순이익 175,000 |
합 계 1,780,000 | 합 계 1,780,000
역사적원가 :
기초재고 200,000, 매출원가 900,000 기말재고 300,000
현행원가 :
기초재고 320,000, 기말재고 500,000, 매출원가 1,200,000, 토지 700,000, 건물 560,000 (취득일 200.1.1,내용년수 10년,감가상각법:정액법, 잔존가치 없음.)일때 현행원가에 의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면?
해 결
현행원가 대차대조표
-----------------------------+--------------------------------
현 금 220,000 | 매 입 채 무 130,000
매출채권 100,000 | 사 채 500,000
재고자산 500,000 | 자 본 금 500,000
토 지 700,000 | 잉 여 금 950,000
건 물 560,000 |
자산합계 2,080,000 | 부채및자본계 2,080,000
2) 손익계사서의 작성
① 실현보유이익계산:
현행원가에의한 매출원가 - 역사적원가에의한 매출원가
1,200,000 - 900,000 = 300,000
② 미실현보유이익계산
기말미실현보유이익 - 기초미실현ㅂ유이익
(500,000 -300,000) - (320,000 - 200,000) = 800,000
③ 감가상각비계산
기말현행원가감가상각 560,000 / 10= 56,000
기초와 기말시점의 차이조정계산 :
560,000 - 350,000 (2/10) = 42,000
현행원가에 의한 조정후 감가상각비
56,000 + 42,000 = 98,000
현행원가에 의한 손익계산서
----------------------------+--------------------------------
매 출 원 가 1,200,000 | 매 출 액 1,340,000
매 출 총 이 익 140,000 |
영 업 비 150,000 | 매출총이익 140,000
감 가 상 각 비 98,000 |
법 인 세 비 용 80,000 | 현행원가 영업손실 188,000
현행원가 여업손실 188,000 |
실 현 이 익 112,000 | 실현보유이익 300,000
| 실 현 이 익 112,000
| 미실현 보유 이익 800,000
현행원가 순이익 912,000 |
합 계 2,880,000 | 합 계 2,880,000
학 습 정 리
13장 물가변동회계
1. (주) 갑을은 취득원가 ₩10,000,000의 재고자산을 가지고 있다. 현행원가 시스템 을 사용하고 있는 이 회사는 재고자산을 취득 후 6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 중 1/2 을 ₩7,500,000에 현금대가를 받고 처분하였다. 미 판매된 재고자산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실현보유이익과 미실현보유이익은 얼마인가?
취득시점의 판매가액 : ₩ 6.600,000
판매시점의 현행원가 : ₩ 6,200,000
실현보유이득 미실현보유이득
① 900,000 2,400,000
② 1,200,000 1,200,000
③ 1,300,000 1,200,000
④ 2,500,000 1,200,000
⑤ 2,500,000 1,800,000
【해설】
1) 실현보유이익 : 6,200,000 - 10,000,000 1/2 = 1,200,000
2) 미실현보유이익 : 6,200,000 - 10,000,000 1/2 = 1,200,000
2. H회사의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400이며, 취득당시의 일반물가지수는 100이 었으며 팜매시점의 재취득원가는 ₩600이고 일반물가지수는 120이었다. 이때 보유이익은?
가. ₩80 나. ₩120
다. ₩200 라. ₩520
마. ₩400
【해설】
600 - 400 = 200
3.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 순이익을 적게 표시하고 법인세의 이연효과 를 가져오게 하는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은?
① 선입선출법 ② 후입선출법
③ 개별법 ④ 이동평균법
⑤ 비례법
【해설】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
후입선출법 : 기말재고액 과소, 매출원가 과대, 순이익 과소
선입선출법 : 기말재고액 과대, 매출원가 과소, 순이익 과대
4. 물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각 항목의 재고자산평가방법의 금액의 크기 를 옳게 한 것은?
① 기말재고자산 : 선입선출법<평균법<후입선출법
② 순현금흐름 : 후입선출법>선입선출법>평균법
③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후입선출법>평균법
④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평균법>후입선출법
⑤ 법인세비용 : 후입선출법>평균법>선입선출법
【해설】 물가상승시 각 항목의 재고자산평가방법의 금액의 크기는 다음과 같 다.
기말재고 자산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순현금 흐름 : 법인세효과를 고려하면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법인세효과를 제외하면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법인세 비용 :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정 답
1. ② 2. 다 3. ② 4. ⑤
기말시점 현행원가 이므로 수정할 필요 없음.
② 비화폐성항목 : 현행원가로 다시 표시함.
③ 자본금 : 현행원가로 표시할 필요 없으므로 수정할 불요없다.
【예제】해물(주) 의 2001.12.31 대차대조표는 아래와 같다.
역사적원가에 의한 대차대조표
-----------------------------+--------------------------------
현 금 220,000 | 매 입 채 무 130,000
매출채권 100,000 | 사 채 500,000
재고자산 300,000 | 자 본 금 500,000
토 지 400,000 | 잉 여 금 240,000
건 물 350,000 |
자산합계 1,370,000 | 부채및자본계 1,370,000
역사적원가에 의한 손익계산서
-----------------------------+--------------------------------
매 출 원 가 900,000 | 매 출 액 1,340,000
매출총이익 440,000 |
영 업 비 150,000 | 매출총이익 440,000
감가상각비 35,000 |
법인세 비용 80,000 |
당기 순이익 175,000 |
합 계 1,780,000 | 합 계 1,780,000
역사적원가 :
기초재고 200,000, 매출원가 900,000 기말재고 300,000
현행원가 :
기초재고 320,000, 기말재고 500,000, 매출원가 1,200,000, 토지 700,000, 건물 560,000 (취득일 200.1.1,내용년수 10년,감가상각법:정액법, 잔존가치 없음.)일때 현행원가에 의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면?
해 결
현행원가 대차대조표
-----------------------------+--------------------------------
현 금 220,000 | 매 입 채 무 130,000
매출채권 100,000 | 사 채 500,000
재고자산 500,000 | 자 본 금 500,000
토 지 700,000 | 잉 여 금 950,000
건 물 560,000 |
자산합계 2,080,000 | 부채및자본계 2,080,000
2) 손익계사서의 작성
① 실현보유이익계산:
현행원가에의한 매출원가 - 역사적원가에의한 매출원가
1,200,000 - 900,000 = 300,000
② 미실현보유이익계산
기말미실현보유이익 - 기초미실현ㅂ유이익
(500,000 -300,000) - (320,000 - 200,000) = 800,000
③ 감가상각비계산
기말현행원가감가상각 560,000 / 10= 56,000
기초와 기말시점의 차이조정계산 :
560,000 - 350,000 (2/10) = 42,000
현행원가에 의한 조정후 감가상각비
56,000 + 42,000 = 98,000
현행원가에 의한 손익계산서
----------------------------+--------------------------------
매 출 원 가 1,200,000 | 매 출 액 1,340,000
매 출 총 이 익 140,000 |
영 업 비 150,000 | 매출총이익 140,000
감 가 상 각 비 98,000 |
법 인 세 비 용 80,000 | 현행원가 영업손실 188,000
현행원가 여업손실 188,000 |
실 현 이 익 112,000 | 실현보유이익 300,000
| 실 현 이 익 112,000
| 미실현 보유 이익 800,000
현행원가 순이익 912,000 |
합 계 2,880,000 | 합 계 2,880,000
학 습 정 리
13장 물가변동회계
1. (주) 갑을은 취득원가 ₩10,000,000의 재고자산을 가지고 있다. 현행원가 시스템 을 사용하고 있는 이 회사는 재고자산을 취득 후 6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그 중 1/2 을 ₩7,500,000에 현금대가를 받고 처분하였다. 미 판매된 재고자산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실현보유이익과 미실현보유이익은 얼마인가?
취득시점의 판매가액 : ₩ 6.600,000
판매시점의 현행원가 : ₩ 6,200,000
실현보유이득 미실현보유이득
① 900,000 2,400,000
② 1,200,000 1,200,000
③ 1,300,000 1,200,000
④ 2,500,000 1,200,000
⑤ 2,500,000 1,800,000
【해설】
1) 실현보유이익 : 6,200,000 - 10,000,000 1/2 = 1,200,000
2) 미실현보유이익 : 6,200,000 - 10,000,000 1/2 = 1,200,000
2. H회사의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400이며, 취득당시의 일반물가지수는 100이 었으며 팜매시점의 재취득원가는 ₩600이고 일반물가지수는 120이었다. 이때 보유이익은?
가. ₩80 나. ₩120
다. ₩200 라. ₩520
마. ₩400
【해설】
600 - 400 = 200
3.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 순이익을 적게 표시하고 법인세의 이연효과 를 가져오게 하는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은?
① 선입선출법 ② 후입선출법
③ 개별법 ④ 이동평균법
⑤ 비례법
【해설】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
후입선출법 : 기말재고액 과소, 매출원가 과대, 순이익 과소
선입선출법 : 기말재고액 과대, 매출원가 과소, 순이익 과대
4. 물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각 항목의 재고자산평가방법의 금액의 크기 를 옳게 한 것은?
① 기말재고자산 : 선입선출법<평균법<후입선출법
② 순현금흐름 : 후입선출법>선입선출법>평균법
③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후입선출법>평균법
④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평균법>후입선출법
⑤ 법인세비용 : 후입선출법>평균법>선입선출법
【해설】 물가상승시 각 항목의 재고자산평가방법의 금액의 크기는 다음과 같 다.
기말재고 자산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순현금 흐름 : 법인세효과를 고려하면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법인세효과를 제외하면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 < 평균법 < 후입선출법
법인세 비용 : 후입선출법 < 평균법 < 선입선출법
정 답
1. ② 2. 다 3. ② 4.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