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분단과 북한정권 수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국분단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2. 북한 정권의 수립

본문내용

회 선거 결정) 1946. 11. 3 북한의 각도, 시, 군 인민위원회의 선거가 실시 1947. 2. 17~20 '북조선 도, 시·군 인민위원회대회' 1947. 2. 21 제1차 북조선 인민회의(북조선인민위원회 창설).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성립을 계기로 인민정권에 대한 소련군 사령부의 지도와 감독은 사라졌고 행정권은 북한 사람들의 손으로 넘어갔다. 이러한 변화는 '북조선인민위원회에 관한 규정'에도 반영되어 나타났다. 이 규정의 제1조는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조선에 민주주의 임시정부가 수립되기까지 북조선 인민정권의 최고집행기관이다" 라고 규정했으며 제12조는 "각 국장 및 부장은 북조선인민위원회에 복종한다" 고 규정함으로써 사실상 소련군 사령부의 인민정권에 대한 간섭을 소멸시켰다.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1947년 11월 유엔총회의 남북총선거를 결의하자 정부수립을 서두름.
- 1947. 11. 18~19 북조선인민회의 제3차 회의는 '조선임시헌법제정위원회'를 조직하고, 12월 20일 헌법초안을 확정 1948. 4. 28 북조선인민회의 특별회의는 헌법 수정초안을 축조심의하여 북한헌법 초안으로 정식채택 1948. 7. 9~10 북조선인민회의 제5차회의는 헌법 실시를 규정하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와 관련된 규정을 북조선 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 위임 1948 . 8. 25.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를 실시
- 1948. 9. 9~10 최고인민회의는 제1차회의 헌법채택, 북조선인민위원회로부터 정권 이양받아 1948. 9. 9. 김일성을 수상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2.1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