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의 재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겉감의 종류
*옥양목
*광목
*포플린
*삼베
*모시
*명주
*공단
*양단
*호박단
*부사견
*색동
*갑사
*고사
*항라
*은조사
*자미사
*노방주

(2)안감의 종류

(3)심감의 종류

본문내용

.
색동의 색은 어떤 색에도 잘 어울리므로 단조로운 우리 옷에
변화를 주고 화사함을 더해 주는 역할을 해 준다. 젊은 이와 어
린이 옷의 소매, 끝동, 고름, 깃 뿐만 아니라,
치맛단에 이르기까지 부분적으로 이용된다.
*갑사
시실과 날실은 모두 생사로 하여 사직으로 짠 견직물.
얇고 성기면서도 씨실과 날실이 밀리지 않아, 봄, 가을용이나
여름용 옷감으로 널리 쓰인다.
갑사에는 무늬없이 짠 민갑사, 무늬를 넣어 짠 문갑사, 삼색실
로 짠 삼색갑사 등이있다.
*고사
평직 바탕에 사직으로 무늬를 표현 한 고급 견직물이다.
주로 둥근 수자 무늬가 많이 쓰이며, 생사로 짠 생고사와 숙사
로 짠 숙고사가 있다.
얇고 성기면서도 밀리지 않아 봄, 가을용이나 여름용 옷감으로
널리 쓰인다.
근래에는 합성 섬유사로 많이 짜고 있다.
*항라
여직으로 짠 고급 견직물로 은은한 윤기와 부드러운 감촉이 있
어서 품위가 있는 여름용 옷감이다.
무늬가 있는 항라는 문항라라고 한다. 근래에는 합성 섬유사로
도 짜고 있다.
*은조사
깔깔한 촉감을 지니며 비쳐보이므로 봄, 가을용이나 여름용 옷
감으로 널리 쓰인다.
*자미사
씨실, 날실에 숙사를 사용한 고급견직물. 무늬 없는 편직물 그
대로 사용하기도 하나 보통 꽃무늬가 드문드문 놓인 경우가 많
으며 제직 후에 염색한다. 봄, 가을용 옷감으로 널리쓰인다.
*노방주
생사로 짠 얇은 평직물. 일명 노방 또는 주아사라고 부른다. 정
련하지 않으므로 빳빳한 촉감을 가지며,
여름용 옷감이나 사철 안감용으로 널리쓰인다.
무늬가 있는 것은 문노방이라고 한다.
(2)안감의 종류
안감은 겉옷의 질감과 색채, 형태등을 살려주는 데에 매우 중
요합니다. 그러므로 겉감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두꺼운 겉감에는 겉감보다 연한 동색으로 하거나
보색으로 배색합니다. 얇고 비치는 겉감에는 되도록 질감이나
조직이 같은 흰색의 안감이 무난하나 겉감의 무늬와 색채를 조
화시키기 위해서 색이 있는 안감을 택하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노방을 사용했으나 요즘엔 얇은 감의 실크 아사를 사
용합니다.
그리고 두루마기의 안감으로는 명주나 명주 느낌의 옷감을 사
용합니다.
(3)심감의 종류
심감은 겉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옷 전체 또는 어느 한정된 부위의 보강이나 형태의 보존을 위
해 사용됩니다.
한복의 심감에는 노방주와 아사심이 있으며 간혹 광복이 부분
적으로 쓰일 때도 있습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