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복의 심감에는 노방주와 아사심이 있으며 간혹 광복이 부분
적으로 쓰일 때도 있습니다. (1)겉감의 종류
*옥양목
*광목
*포플린
*삼베
*모시
*명주
*공단
*양단
*호박단
*부사견
*색동
*갑사
*고사
*항라
*은조사
*자미사
*노방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료로 자수와 매듭으로 장식된다.
*귀주머니*
우리가 흔히 복주머니라 알고 있는 귀주머니는 복을 비는 마음을 담고 있는 데서 유래 되었다. 비단,혹은 양단에 고운자수를 놓아 여인들의 주머니로 사용 되었다. 요즘에는 한복지와 같은 원단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7.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복바지는 실제로 입어보면 겨울철에는 내복을 입지 않아도 따뜻하다. 넓은 공간이 열을 갈무리하여 단열층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또 여름옷은 성근 소재로 만들었기 때문에 통풍이 잘되고 통이 커 살에 잘 달라붙지 않아 시원함을 느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복 마케팅 강화 전략, 한복문화학회
○ 양경애·이주영, 여대생의 한복과 개량한복 착용에 대한 의식, 충청전문대학학생지도연구소
○ 양성은, 생활한복에 관한 고찰 :생활한복의 변천과 강릉지역 대학생 의식구조 조사, 관동대학교사범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복을 입을 때 대개 고무신이나 구두를 겸용하여 신었지만 한복에는 버선에다 고무신을 신는 것이 원칙이며 버선과 고무신의 실루엣은 한복의 선과도 아름답게 조화된다. 간혹 키가 커 보이도록 한복에 굽 높은 구두를 신는 경우가 있는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