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업태 소매상과 재래시장의 비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도매시장 위기론과 문제제기

2. 도매시장의 중요성과 유통실태 및 성과

3. 도매시장 발전의 위협적 요인

4. 도매시장 경쟁력 강화방안

본문내용

비스를 최대화하며, 다른 유통기구에 안락한 구매환경을 조성하여야 된다.
내부 요인에 대한 대응전략
도매시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외부의 도전적 요인에 대한 적절한 대응도 중요하지만, 도매시장 내부의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한 문제해결도 매우 중요하다. 도매시장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는 고비용구조, 거래방법, 시설의 확충·보완과 합리적 배치, 신뢰성 회복, 운영주체의 활성화 등이 있다.
첫째, 도매시장 고비용구조는 경쟁력 제고를 위한 가장 우선적인 해결과제이다. 도매시장의 고비용구조는 도매시장 거래량, 요율수준의 적정성, 요율 및 비용의 부담 및 수취주체, 운영주체의 경영실태, 시장내 물류시스템의 효율성 등 종합적인 관계에 의해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시장이용자 특히 출하자가 다른 유통경로에 비해 비용부담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저비용구조로의 전환이 시장활성화를 위한 우선적인 과제이다. 도매시장의 비용구조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해결방안의 제시는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거래량 확보를 통한 적정 수수료율의 재조정과 운영주체별 경영합리화, 하역체계 개선, 하역요율 조정, 하역비 부담주체의 전환 등을 통해 출하자로 하여금 상대적 저비용구조로 인식케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된다.
둘째, 거래방법의 적정화 문제이다. 경매제와 수의매매제에 대한 양측의 주장은 모두 합리적인 근거가 있다. 그러나 새로운 제도의 도입은 효율성, 투명성, 형평성, 거래비용, 안정성 등 유통효율성 지표에 의해 결정되어야 된다. 그리고 새로운 제도의 도입에는 시장참여자 모두의 합의에 의하여 필요성이 인정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되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입에 대한 논쟁은 도입여건의 충족성 여부에 대한 논쟁에 불과하기 때문에 도입을 위한 유통참여자의 합의와 필요성이 일치되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유통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매제원칙의 예외규정으로서 선취매매, 예약상대거래 등 다양한 거래제도의 도입을 시장별, 품목별로 신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거래제도의 완벽한 검증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도의 검증차원에서 지방도매시장이나 시설도매시장을 대상으로 시범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셋째, 도매시장의 이용자 및 일반국민에 대한 신뢰성의 확보가 중요하다. 유통시장개방으로 소비지에 신유통업태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도매시장에 대한 인식이 왜곡되고, 그 중요성과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흐려지고 있다. 따라서 도매시장의 공공성과 그 역할 및 중요성을 인식케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도매시장에 대한 이용자들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우선 도매시장내 거래의 부조리가 근절되어 출하자나 이용자들이 도매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인정해야 된다. 다음으로 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에 대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검사제도가 확립되어 소비자들이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농산물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된다. 이와 함께 도매시장에 참여하는 운영 및 관리주체들에 대한 철저한 신용평가가 이루어져 출하자나 구매자가 신용에 의해 도매시장을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운영주체의 경영효율화와 활성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된다. 현재 도매시장 문제만 거론되면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이 도매시장법인이다. 즉 도매시장법인이 수행하는 역할에 비해 법인의 수입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법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관적인 판단이지만 도매시장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도매시장법인의 기능과 역할이 뚜렷이 부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매시장법인은 경영에 대한 철저하고도 지속적인 경영진단을 통해 추가적인 비용절감을 위한 과감한 구조조정 노력이 필요하며, 절감된 비용은 출하자 및 구매자 서비스비용으로 충당하여 고객을 확보하도록 해야 된다. 이와 함께 도매법인간의 통합 등을 통한 규모화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영체질의 강화방안을 강구하여야 될 것이다. 그리고 중도매인 역시 규모화와 전문화를 통해 분산능력과 경영능력이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매시장내 비용절감과 효율화를 위해 시설보완과 확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되며, 장기적으로는 합리적 배치가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개장이 오래 전에 이루어진 도매시장의 경우 시설노후화, 취급물량 과다와 시설부족 등으로 도매시장 본래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으며, 이는 도매시장 고비용구조 및 도매시장 출하기피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도매시장의 노후시설 보완과 새로운 시설의 확충은 신규도매시장 건설 못지 않게 중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참 고 문 헌
권원달. 1998.11. 「유통환경 변화와 농수산물도매시장」.
김동환, 전창곤. 1995. 「유통서비스 시장개방에 따른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보고 R33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______, 1994. 「농산물 유통 관련 서비스 시장 개방과 대응방안」, 연구보고 R30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성훈 외. 1992. 「농수산물유통연구논총」,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협회.
농수산물유통공사. 1998. 「농산물도매시장 상장수수료 적정성 분석」.
대한상공회의소. 1997. 「21세기 환경변화와 유통업의 미래」.
성배영, 김정기, 전창곤. 1993. 「농산물 도매시장의 효율적 거래방식과 적정요율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배영 외. 1992. 「주요 청과물의 시장유통체계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허길행, 전창곤, 이용선. 1998. 「21세기에 대응한 농수산물 유통개선대책 연구-주요 외국의 농산물유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허길행 외. 1997. 「21세기에 대응한 농수산물 유통개선대책 연구-종합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小林康平 外. 1995. 「變貌する農産物流通 システム」農山漁村文化協會.
McLaughlin, E.W. and K. Park. 1997. The Fresh Produce Wholesaling System: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91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